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연세대 비대면 수업 한과목으로 4억5천을 땡기네요

...... 조회수 : 5,438
작성일 : 2025-11-09 16:08:54

공대생들이 들을만한 수업이니 등록금 1000만원

1000만원으로 1년 40학점 들으면

1학점당 25만원

3학점 과목이라면 75만원/1인당

600명 비대면 수강하니 4억 5천

돈벌기 쉽네요.

 

한학기 3학점에 2억 2천(등록금의50%)정도 

수업받는 학생들이 인정할정도는

되어야 할텐데 
아니라면 심각한거에요.

 

기자재도 안들어, 실습도 없어, 공간도 필요없어.

너무하네.

 

전문적으로 가르치는거면
600명 비대면 수업이라는게 말도 안되고
탁월한 ai교수라면 그나마 비대면 600명도 다행이고 
교수실력이 교양 수준 강좌라면  등록금 너무 아깝다.

 

교수하나가 9학점 강의 하면 10억 이상 땡기는데

교수 연봉도 매출액에 30%주는 시스템인가?

비대면 수업으로 600명을 땡기네요.

 

연세대도 파보면 재미있는일 많겠다

컨닝에만 촛점을 맞추지 말아요.

 

교양과목도 아니고
ai과목이라면 공대생들 거의 준전공 이상일텐데
학점당 등록금의 최소50% 정도는
반드시 그 수업을 위해 쓰여야 정상으로 보이는데 좀 심하네요.

 

부실수업이 만연해지는걸 방지하도록 해야지
썰듣는 교양 수업도 아니고
ai수업의 중대성을 인정한다면 개선해야지
어쩔수 없다하면서 놔두면 안된다고봅니다.
등록금만으로 모자르다면

기부금,지원금 받은거 중요한 교과교육에 투입할 결단도 있어야지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208773?sid=102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최근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다수 발견됐다"며 적발된 학생들의 중간고사 점수를 모두 '0점' 처리하겠다고 공지했다.

자연어 처리와 거대언어모델(LLM) 등 생성형 AI를 가르치는 이 수업의 수강생은 600명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강생이 많아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다. 중간고사도 지난 15일 비대면으로 치러졌는데, 이 과정에서 부정행위가 발생했다. 

 

 

 

 

 

 

 

후속 

이렇게 모아서 연세대가 1등했나봅니다

 

대학교육연구소는 7일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024년 사립대 적립금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늘어난 연세대는 올해 6548억원으로 지난해(6182억원)보다 365억원이나 증가했다. 이어 고려대(342억원), 홍익대(334억원), 한양대(317억원), 이화여대(204억원) 등의 순으로 적립금이 늘었다. 17곳 가운데 호남대(동결)를 제외한 16곳이 올해 등록금을 올렸다. 영남대(5.4%), 수원대(5.3%), 청주대(5.1%), 고려대(5%) 등 대부분이 올해 법정 상한선(5.49%)에 가깝게 등록금을 올렸다.

교육부는 지난해 ‘학교법인 및 사립대학 2025회계연도 예산 편성 및 관리 유의사항’에서 “이월금 및 적립금 비율이 높은 대학의 경우 등록금을 전년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했지만, 상당수 대학이 이를 외면한 것이다. 대학들은 적립금의 경우 건물 신축을 위한 건축기금 등 지정된 목적이 있어 등록금을 대신해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해명하지만, 용처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학생들의 불신이 크다.

IP : 182.213.xxx.183
4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등록금이 수업료
    '25.11.9 4:09 PM (1.239.xxx.246)

    등록금이 수업료로만 쓰이나요....

  • 2. ....
    '25.11.9 4:09 PM (223.38.xxx.15) - 삭제된댓글

    국내에 ai 전공 교수가 거의 없어요

  • 3. ....
    '25.11.9 4:11 PM (223.38.xxx.15)

    국내에 ai 전공 교수가 거의 없어요. 가르칠 교수가 없어요
    외국에서 박사 학위 받아도 한국에 안들어와요.
    처우 차이가 세네 배 차이가 나요.

  • 4. ......
    '25.11.9 4:12 PM (223.38.xxx.159) - 삭제된댓글

    비대면 할거면 해외 유명 능력자들에게 맡겨도 가능하겠어요

  • 5. ....
    '25.11.9 4:14 PM (223.38.xxx.15)

    해외 유명 교수에게 줄 엄청난 강의비 관련 조항이 있겠죠?

  • 6. ......
    '25.11.9 4:16 PM (223.38.xxx.159)

    ai교수 없다는건 핑계고
    비대면이라면
    해외 유명 ai 석학들에게 3학점 수업 요청해도 들어주겠다 싶네요.

  • 7. ......
    '25.11.9 4:17 PM (223.38.xxx.159) - 삭제된댓글

    ai로 각국이 난리인데
    오히려 비대면으로
    해외 ai전문가에게 수업 둘어야 할시기 아닌지

  • 8. ......
    '25.11.9 4:19 PM (223.38.xxx.159)

    ai로 각국이 난리인데
    오히려 비대면으로
    해외 ai전문가에게 수업 들어야 할시기 아닌지

  • 9. 뭐든 싸게
    '25.11.9 4:19 PM (27.1.xxx.17)

    석학도 싸고 공짜로 강의 해준대요? 이런 마인드니 애들이 공대 안가려고 하지요.교수님과 해외 석학의 가치가 거저먹나요? 다들 공짜 너무 좋아하고 날로 먹으려드네요.

  • 10. 아니
    '25.11.9 4:21 PM (114.203.xxx.133)

    600명 강의라니, 이건 너무 한 거 아닌가요.
    교수가 그렇게 없나요??

  • 11. ......
    '25.11.9 4:22 PM (223.38.xxx.159)

    누가 공짜래요?
    50% 2억2천 주고 3학점 짜리 제대로된 수업 요청하면 없겠어요?

  • 12. ......
    '25.11.9 4:31 PM (223.38.xxx.159) - 삭제된댓글

    학점당 등록금의 최소50% 정도는
    반드시 그 수업을위해 쓰여야해요.
    안그러면 강의의 질이 형편없어집니다.

    반을 나누어 교수나 강좌수를 늘리거나
    3학점에 2억 2천정도 수업일만하다고 수업받는 학생들이 인정할정도는 되어야 할텐데
    아니라면 심각한거에요.

  • 13. ....
    '25.11.9 4:32 PM (223.38.xxx.15) - 삭제된댓글

    2억2천만원 아니죠.
    지금 학생수 때문에 이 글을 쓴거니까
    교수 1인 한학기에 2억2천원이라면, 학생수 50명이라면
    2억2천만원×(6백명÷12)=110억

  • 14. ......
    '25.11.9 4:33 PM (223.38.xxx.159)

    교양과목도 아니고
    ai과목이라면 공대생들 거의 준전공 이상일텐데
    학점당 등록금의 최소50% 정도는
    반드시 그 수업을위해 쓰여야해요.
    안그러면 강의의 질이 형편없어집니다.

    반을 나누어 교수나 강좌수를 늘리거나
    3학점에 2억 2천정도 수업일만하다고 수업받는 학생들이 인정할정도는 되어야 할텐데
    아니라면 심각한거에요.

  • 15. ....
    '25.11.9 4:33 PM (223.38.xxx.15) - 삭제된댓글

    2억2천만원 아니죠.
    지금 학생수 때문에 이 글을 쓴거니까
    교수 1인 한학기에 2억2천원이라면,
    학생수 50명으로 나누면
    2억2천만원×(6백명÷12)=110억 필요하네요.
    학생수 100명으로 하면 13억2천만원 필요하구요

  • 16. ....
    '25.11.9 4:36 PM (223.38.xxx.15) - 삭제된댓글

    2억2천만원 아니죠.
    지금 학생수 때문에 이 글을 쓴거니까
    교수 1인 한학기에 2억2천원이라면,
    학생수 50명으로 나누면
    2억2천만원×12=26억4천만원 필요하네요.
    학생수 100명으로 하면 13억2천만원 필요하구요

  • 17. ....
    '25.11.9 4:37 PM (223.38.xxx.15) - 삭제된댓글

    2억2천만원 아니죠.
    지금 학생수 때문에 이 글을 쓴거니까
    교수 1인 한학기에 2억2천원이라면,
    학생수 50명으로 나누면
    2억2천만원×12=26억4천만원 필요하네요.
    학생수 100명으로 하면 13억2천만원 필요하구요.
    학생수 30명으로 하면 44억원이 한학기 한과목 강의비로 필요해요.

  • 18. ...
    '25.11.9 4:40 PM (223.38.xxx.15)

    2억2천만원 아니죠.
    지금 학생수 때문에 이 글을 쓴거니까
    교수 1인 한학기에 2억2천원이라면,
    학생수 50명으로 나누면
    2억2천만원×교수 12명=26억4천만원 필요하네요.
    학생수 100명이면 교수 6명 13억2천만원 필요하고,
    학생수 30명이면 교수 20명으로 44억원이 한학기 한과목 강의비로 필요해요.

  • 19. ...
    '25.11.9 4:43 PM (211.178.xxx.17) - 삭제된댓글

    연세대는 모르겠지만
    학생들이 편하다고 비대면 수업 선호도가 높아서 입문수업등은 저렇게 비대면 하나둘씩 개설하기도 하더라고요.
    학생들 입장에서 꿀강이라고 많이 몰리니 학교에서도 계속 개설.
    사실 비대면 수업 배우는 것도 거의 없고 읽고 쓰는 과제도 대면 수업에 비해 현저히 적고. 학교가 무책임한거에요.

  • 20. ...
    '25.11.9 4:44 PM (211.178.xxx.17)

    연세대는 잘 모르겠지만
    인서울 대학들도 학생들이 편하다고 비대면 수업 선호도가 높아서 입문 수업 등은 저렇게 비대면 하나둘씩 개설하기도 하더라고요.
    학생들 입장에서 꿀강이라고 많이 몰리니 학교에서도 계속 개설.
    사실 비대면 수업 배우는 것도 거의 없고 읽고 쓰는 과제도 대면 수업에 비해 현저히 적고. 학교가 무책임한거에요.

  • 21. 사이버강의
    '25.11.9 4:48 PM (112.172.xxx.223)

    각 대학마다 사이버 강의가 여러개 개설되어 있어요
    교양뿐 아니라 전공과목도요
    여러 이유가 있죠
    인기 강좌 800명 되는 곳도 있는데 이런 수요 해소를 못해서 그렇고
    대형 강의실도 구할수 없거나
    학생들 선호도가 높은것도 있고
    재직자 전형이라고 산업체 연계 학생들 위한 강의도 많고요
    연세대만 그런게 아닌데
    부정행위가 문제이지
    대학 현실을 파악하고 비난을 하세요

  • 22. ......
    '25.11.9 4:56 PM (182.213.xxx.183) - 삭제된댓글

    이래서 연세대가 1둥했구나.

    대학교육연구소는 7일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024년 사립대 적립금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체 사립대학 274곳 중 184곳(67.2%)이 적립금이 늘었다고 밝혔다. 이들이 보유한 적립금은 11조5644억원으로 전년보다 4287억원(3.8%)이 증가했다. 적립금은 대학이 재정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유보해두거나 남는 이익금을 쌓아두는 회계를 뜻한다.특히 지난해 적립금이 100억원 이상 급증한 학교는 17곳이었다.

    가장 많이 늘어난 연세대는 올해 6548억원으로 지난해(6182억원)보다 365억원이나 증가했다. 이어 고려대(342억원), 홍익대(334억원), 한양대(317억원), 이화여대(204억원) 등의 순으로 적립금이 늘었다. 17곳 가운데 호남대(동결)를 제외한 16곳이 올해 등록금을 올렸다. 영남대(5.4%), 수원대(5.3%), 청주대(5.1%), 고려대(5%) 등 대부분이 올해 법정 상한선(5.49%)에 가깝게 등록금을 올렸다.

    교육부는 지난해 ‘학교법인 및 사립대학 2025회계연도 예산 편성 및 관리 유의사항’에서 “이월금 및 적립금 비율이 높은 대학의 경우 등록금을 전년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했지만, 상당수 대학이 이를 외면한 것이다. 대학들은 적립금의 경우 건물 신축을 위한 건축기금 등 지정된 목적이 있어 등록금을 대신해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해명하지만, 용처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학생들의 불신이 크다.

  • 23. ......
    '25.11.9 4:56 PM (182.213.xxx.183) - 삭제된댓글

    이래서 연세대가 1등했구나

    대학교육연구소는 7일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024년 사립대 적립금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체 사립대학 274곳 중 184곳(67.2%)이 적립금이 늘었다고 밝혔다. 이들이 보유한 적립금은 11조5644억원으로 전년보다 4287억원(3.8%)이 증가했다. 적립금은 대학이 재정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유보해두거나 남는 이익금을 쌓아두는 회계를 뜻한다.특히 지난해 적립금이 100억원 이상 급증한 학교는 17곳이었다. 가장 많이 늘어난 연세대는 올해 6548억원으로 지난해(6182억원)보다 365억원이나 증가했다. 이어 고려대(342억원), 홍익대(334억원), 한양대(317억원), 이화여대(204억원) 등의 순으로 적립금이 늘었다. 17곳 가운데 호남대(동결)를 제외한 16곳이 올해 등록금을 올렸다. 영남대(5.4%), 수원대(5.3%), 청주대(5.1%), 고려대(5%) 등 대부분이 올해 법정 상한선(5.49%)에 가깝게 등록금을 올렸다.

    교육부는 지난해 ‘학교법인 및 사립대학 2025회계연도 예산 편성 및 관리 유의사항’에서 “이월금 및 적립금 비율이 높은 대학의 경우 등록금을 전년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했지만, 상당수 대학이 이를 외면한 것이다. 대학들은 적립금의 경우 건물 신축을 위한 건축기금 등 지정된 목적이 있어 등록금을 대신해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해명하지만, 용처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학생들의 불신이 크다.

  • 24. ......
    '25.11.9 4:57 PM (223.38.xxx.28)

    이래서 연세대가 1등했구나.

    대학교육연구소는 7일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024년 사립대 적립금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체 사립대학 274곳 중 184곳(67.2%)이 적립금이 늘었다고 밝혔다. 이들이 보유한 적립금은 11조5644억원으로 전년보다 4287억원(3.8%)이 증가했다. 적립금은 대학이 재정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유보해두거나 남는 이익금을 쌓아두는 회계를 뜻한다.특히 지난해 적립금이 100억원 이상 급증한 학교는 17곳이었다. 가장 많이 늘어난 연세대는 올해 6548억원으로 지난해(6182억원)보다 365억원이나 증가했다. 이어 고려대(342억원), 홍익대(334억원), 한양대(317억원), 이화여대(204억원) 등의 순으로 적립금이 늘었다. 17곳 가운데 호남대(동결)를 제외한 16곳이 올해 등록금을 올렸다. 영남대(5.4%), 수원대(5.3%), 청주대(5.1%), 고려대(5%) 등 대부분이 올해 법정 상한선(5.49%)에 가깝게 등록금을 올렸다.

    교육부는 지난해 ‘학교법인 및 사립대학 2025회계연도 예산 편성 및 관리 유의사항’에서 “이월금 및 적립금 비율이 높은 대학의 경우 등록금을 전년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권고했지만, 상당수 대학이 이를 외면한 것이다. 대학들은 적립금의 경우 건물 신축을 위한 건축기금 등 지정된 목적이 있어 등록금을 대신해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해명하지만, 용처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학생들의 불신이 크다.

  • 25. ....
    '25.11.9 4:57 PM (223.38.xxx.15)

    미국 대학에서 ai 신입 교수가 초봉 4억원이에요.
    한과목 강의비가 대략 5천만원이라고 한다면
    학생수 50명이면 교수 12명이 필요하죠.
    유명교수도 아니고 비대면 미국 신입교수에서 강의 맡긴다고 할 때
    5천만원× 교수 12명=6억원 필요해요.

  • 26. ....
    '25.11.9 5:01 PM (223.38.xxx.15)

    ai교수 없다는건 핑계고
    비대면이라면
    해외 유명 ai 석학들에게 3학점 수업 요청해도 들어주겠다 싶네요.

    ai로 각국이 난리인데
    오히려 비대면으로
    해외 ai전문가에게 수업 들어야 할시기 아닌지

    누가 공짜래요?
    50% 2억2천 주고 3학점 짜리 제대로된 수업 요청하면 없겠어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말이 앞뒤가 안맞아요

  • 27. ......
    '25.11.9 5:06 PM (223.38.xxx.28)

    등록금 4억5천중 50%만 수업료로 사용하면 2억2천정도 가용가능

    지금교수가 2억2천짜리 수업을 가르치고 있다면 논란종결.

    국내 제대로 가르칠 ai전문가 없다 하셨으니
    아니라면 2억2천으로 제대로된
    비대면 600명 짜리 수업을 가르칠 교수를 구하자.
    비대면이니 한국 상주 안해도 되는조건.

    각국마다 ai전문가 모시기 전쟁중인데 배울라면 제대로 배우자입니다.

  • 28. ....
    '25.11.9 5:09 PM (223.38.xxx.15)

    원글님이 대학 세워야 할 듯 ㅎ

  • 29. 그럴거면
    '25.11.9 5:27 PM (59.7.xxx.113)

    그냥 유튜브로 강의 듣고 리포트 써라고 해도 되겠어요. 600명에게 공중으로 뿌리는 비대면 수업

  • 30. 아뮤
    '25.11.9 6:26 PM (61.105.xxx.14)

    연대가 등록금 1위라고 들었는데
    기부금도 많고 학교에 돈 쌓아두면서
    등록금좀 낮추지
    이대도 등록금은 비싸면서
    건물에만 투자하지
    학생들 복지에는 별로 투자를 안하는거 같더라구요

  • 31. ㅇㅇi
    '25.11.9 6:55 PM (1.225.xxx.133) - 삭제된댓글

    AI 업계에 있는데
    한국에서 AI 제대로 가르칠 교수 데려오기 힘들어요
    그래서 포닥도 안한 막 졸업한 교수라도 고용하려고 했다가 실패한 인서울 대학도 있구요

    그리고 대학교수 연봉 인상 안한지 오래되었어요
    그래서 연봉 엄청 낮고, 그래서 안오는 거구요

    저는 진짜 아무것도 모르면서 이렇게 글쓰는 사람보면 한심하더라구요

  • 32. ㅇㅇiii
    '25.11.9 6:56 PM (1.225.xxx.133)

    AI 업계에 있는데
    한국에서 AI 제대로 가르칠 교수 데려오기 힘들어요
    그래서 포닥도 안한 막 졸업한 교수라도 고용하려고 했다가 실패한 인서울 대학도 있구요

    그리고 대학교수 연봉 인상 안한지 오래되었어요
    그래서 연봉 엄청 낮고, 그래서 안오는 거구요

    그리고 님은 교수가 강의만 하는 줄 아나보네요
    교수는 학교 행정도 많고, 학생들 지도도 해야해요
    대학을 안다녀보신건가요

    저는 진짜 아무것도 모르면서 이렇게 글쓰는 사람보면 한심하더라구요

  • 33. ㅇㅇ
    '25.11.9 6:58 PM (169.197.xxx.208)

    교수는 수업 강의만 하는 사람이 아닌데요, 수업만 가르칠 사람은 강사겠죠.
    공대 교수는 랩실 운영하며 석박 키우는 연구도 강의 못지 않게 중요합니다.

    뭘 좀 알고 쓰던가

  • 34. ㅇㅇ
    '25.11.9 7:00 PM (169.197.xxx.208)

    추가하자면 등록금 더 낮추면 교수 연봉은 누가 맞춰줄건가요? 교수 연봉이 현재 거의 10년 이상 동결상태라 이 사태가 난건데요

    앞뒤가 안맞잖아요

    https://www.mk.co.kr/news/society/11212312
    “쓰러져 가는 연구실서 세계 대학과 경쟁하라니”…등록금 16년 동결의 그림자

  • 35. 해외석학 온라인?
    '25.11.9 7:35 PM (112.172.xxx.223)

    온라인 강의해줄거 같으세요? 강사료 맞춰줄수 있을거 같으세요?
    그 대학들 등록금만 1년에 주립대 5천- 7천만원
    사립대 1억입니다
    등록금 1년에 천만원도 비싸다고 난리면서 교육의 질은 미국대학 수준으로 하라고요?

  • 36. ......
    '25.11.9 7:40 PM (182.213.xxx.183)

    등록금 내역 공개도 못하는 대학들 편을들고 웃기네
    등록금 사용 내역이라도 공개하면서 이야기를 해야지.

    투명하게 공개하면 누가 뭐래요?

  • 37. 정보공시
    '25.11.9 7:49 PM (112.172.xxx.223)

    대학마다 홈페이지에 경영정보 공시가 다 되어 있어요
    대학 홈페이지마다 방문해서 찾아보세요
    투명하게 공개를 안해요?
    학생회가 공개하라고 다 요구합니다
    입시 경영 평가 다 공개되어 있어요
    대학 근처도 안가보신 분인가

  • 38. ......
    '25.11.9 8:05 PM (182.213.xxx.183)

    2024년 연세대
    학생부담 3578억중 교직원 인건비 사용금액 2027억
    등록금의 교직원 인건비 부담율 평균 57%
    3학점 수업 600명에 대한 등록금 4억5천
    교수인건비의 적정비율 57%적용 2억5천6백
    행정직원 비욕 대략 7%제외 50% 2억2천

    3학점 한수업에 사용되는 등록금 대비 교수인건비 2억2천은 너무 과해보이는데 이게 적정해요?
    3학점 수업 하나하고 연구 매진하는 교수정도 되나 봅니다.
    다른 수업을 더 많이 맡기면 교수착취이고 등록금 착취로 이해되는데요.

    교수가 3학점 저수업 하나만 하는거면 오하려 이해를 하겠습니다.


    2024년 연세대 등록금 사용근거제출
    학생부담 등록입학금 3천578억

    학생에게 직접 환원되는 지출
    2.장학금 등의 지급 학생 부담 완화를 위한 장학금 추가 확충 편성 71,375,614,000 전년
    80,417,404,000 금년
    9,041,790,000 증가
    2.실험실습비 등 기타지원 경비 학생 활동 증가로 인한 실험실습비, 학생지원비 및 기타학생경비 등 증액
    16,411,039,000
    19,400,886,000
    2,989,847,000 증가
    2.입시관리에 따른 지출 동결
    1.대학 연구 성과를 위한 연구비
    2.연구비 및 연구관리비 연구비 총액은 전년도 보다 증가 편성하였으나 학생지원 확대로 등록금 회계
    비중 감소
    16,130,804,000
    12,440,034,000
    -3,690,770,000 감소
    1.대학 구성원에게 지급되는 인건비
    2.교직원 인건비 및 수당 지급 (법정부담금 및 퇴직급여 포함) 중장기 인력 운영계획에 따른 예산 편성임
    (법정부담금은 등록금회계로 편성하지 않음)
    202,726,488,000
    205,563,367,000
    2,836,879,000 증가


    1.기본적 대학경영을 위한 필수운영비
    2.시설유지보수를 위한 운영비 시설 리모델링 공사 종료에 따른 비용 감소
    21,603,880,000
    15,113,419,000
    -6,490,461,000 감소
    2.관리 및 운영을 위한 운영비 등 총 관리운영비는 증가하였으나, 장학금 및 학생경비 증가로 인한 등록금회계
    부담분 감소
    13,245,402,000
    9,547,265,000
    -3,698,137,000 감소
    2.홍보 및 교육을 위한 운영비 사업심의를 통한 핵심사업 선택 방식으로 운영비 최소화
    9,939,719,000
    12,112,980,000
    2,173,261,000 증가
    1.경상이전 성격의 지출
    2.(타회계)전출금 전년 수준으로 편성
    2,568,640,000
    2,511,032,000
    -57,608,000 감소

  • 39. ......
    '25.11.9 8:12 PM (182.213.xxx.183)

    전문적으로 가르치는거면
    600명 비대면 수업이라는게 말도안되고

    탁월한 ai교수라면 그나마 비대면 600명도 적정하고
    교수실력이 교양 수준 강좌라면 둥록금이 아까운거지요.

  • 40. ㅇㅇ
    '25.11.9 8:34 PM (1.225.xxx.133)

    어휴

    답정너네

  • 41. ......
    '25.11.9 8:37 PM (182.213.xxx.183)

    어휴 재단 일가정도 되나보네

  • 42. ㅇㅇ
    '25.11.9 8:40 PM (211.234.xxx.28)

    AI 인력, 연봉 문제도 모르고
    대학교수가 뭐하는지도 모르고
    대학등록금과 교수 몸값의 연관관계도 모르고

    어디서 카피한 뭔지도 모르는 자료만 들이대고
    정작 핵심 문제가 뭐인지는 모름

    이런 이들이 AI 교수로 이력도 없는 무용과 교수를 뽑겠지

  • 43. ......
    '25.11.9 8:45 PM (182.213.xxx.183) - 삭제된댓글

    그래서 600명 비대면 수업이 당연한거다.

  • 44. ......
    '25.11.9 8:46 PM (182.213.xxx.183)

    그래서 600명 비대면 수업이 당연한거다.
    핵심문제가 뭐에요?

  • 45. ㅇㅇ
    '25.11.9 8:46 PM (211.234.xxx.12)

    대체불가능한 중요한 과정인데 교수가 모자르면 그럴수도 있겠죠
    지금 한국에서 AI 교수 구하기 어렵습니다

  • 46. ......
    '25.11.9 8:53 PM (182.213.xxx.183) - 삭제된댓글

    부실수업이 만연해지는걸 방지하도록 해야지
    썰듯는 교양 수업도 아니고
    ai수업의 중대성을 인정한다면 개선해야지
    어쩔수 없다하면서 놔두면 안된다고봅니다.

    기부금,지원금 받은거 중요한 교과교육에 투입할 결단도 있어야지요.

  • 47. ......
    '25.11.9 8:55 PM (182.213.xxx.183)

    부실수업이 만연해지는걸 방지하도록 해야지
    썰듣는 교양 수업도 아니고
    ai수업의 중대성을 인정한다면 개선해야지
    어쩔수 없다하면서 놔두면 안된다고봅니다.

    기부금,지원금 받은거 중요한 교과교육에 투입할 결단도 있어야지요.

  • 48. ㅇㅇ
    '25.11.9 9:17 PM (211.234.xxx.252)

    그러러면 등록금을 올리거나, 정부 지원금이 더 있어야겠죠
    인풋이 고정되어 있는데 어떻게 아웃풋을 올립니까? 게다가 한국은 연구비도 대폭 삭감해서 연구지속성도 떨어져요

    시장 수준에 맞게 교수 연봉과 연구비를 맞춰줘야 말이 되죠
    이걸 단순히 대학탓으로만 돌리면 해결 못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1785 지피티 사주랑 타로는 좋은 소리만 둘러대는듯 ㅇㅇ 21:55:41 37
1771784 싱글 나이 60에 전재산 모두합쳐 8 언제까지나 21:51:13 598
1771783 김만배, 감옥서 하루 2억씩 번다 6 ... 21:49:50 469
1771782 페이커는 남자가 아니고 장원영은 여자가 아니라면서요??? ..... 21:44:00 353
1771781 태풍상사 준호랑 김민하랑 어쩜 저렇게 4 ㄷㄴ 21:41:26 918
1771780 상안검 실리프팅 21:40:57 105
1771779 태풍상사는 걍 장사 때려쳐야 할 듯 4 ... 21:34:43 1,017
1771778 사주 아시는 분 .. 21:31:55 171
1771777 ‘지브리풍 영상 생성’에 칼 뽑은 지브리 “오픈AI, 무단학습 .. 0000 21:30:28 499
1771776 손씻고 뭘로 딖으세요? 1 ........ 21:28:40 504
1771775 페이커 팬입니다 2 .... 21:23:45 775
1771774 대장돈 돈 환수 못한다는 건 가짜뉴스라네요 6 .. 21:20:37 455
1771773 나경원 "GPU 민간성과" 박은정 ".. 1 그냥 21:14:23 642
1771772 절에 대해서 좀 아시는 분 계실까요 15 이상 21:10:17 924
1771771 고난은 축복이다란 말 11 .. 21:10:16 992
1771770 지금도 모기가 있네요 4 ..... 21:10:04 371
1771769 발레복 좀 찾아주셔요 ㅠㅠ 4 ........ 21:09:43 297
1771768 1억원이 넘는 금쪽이 로봇이래요 10 ... 21:02:15 2,110
1771767 겨울 캐시미어코트 안에 얇은 경량 패딩 조끼 조합 겨울 21:01:46 473
1771766 검찰 대장동 항소포기 정리 5 김규현변호사.. 21:01:07 698
1771765 초등학생 용돈 2 ........ 20:56:00 252
1771764 잇몸이 농이 나온다는데 4 병원 어찌 .. 20:52:49 1,321
1771763 남편에게 지인의전화 13 이해안됨 20:52:21 1,560
1771762 전지현 시어머니 패션디자이너 기억나세요 4 .. 20:52:05 2,020
1771761 시부모 짐짝취급 하는 분들 23 ... 20:42:19 2,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