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명절 당일 아침은 대부분 시가에서 드시나요?

ㅇㅇ 조회수 : 4,061
작성일 : 2025-10-04 06:39:08

명절 당일 아침에 손주(며느리)들까지 전부 모여서

대가족이 다 같이 식사 하는 집은 별로 없겠죠?

IP : 223.38.xxx.183
3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5.10.4 6:48 AM (140.248.xxx.1)

    시부모가 죽어야 끝난다는 말이 사실이더라구요
    징글징글하네요. 앞으로 세대는 각자 자유롭게
    지내면 좋겠어요

    맞벌이 바라면서 이런 문화도 사라지길

  • 2. 여태
    '25.10.4 6:56 AM (58.29.xxx.131)

    여태 그래왔는데
    명절은 당연하다 생각했어요

  • 3. ,,
    '25.10.4 7:02 AM (121.124.xxx.33) - 삭제된댓글

    차례 지내는집은 지금도 그렇지 않을까요?
    저희도 차례 지낼때는 각자 음식 해와서 명절 아침에 차례 지내고 다같이 아침 먹고 헤어졌어요

  • 4. ..
    '25.10.4 7:04 AM (180.228.xxx.78)

    국내에 있으면 명절에는 시부모 살아계시면 대부분 대부분 그렇게 하실걸요? 제사지내던안지내던지간에

  • 5. ..
    '25.10.4 7:05 AM (180.228.xxx.78)

    시부모 돌아가시면 내자식들도 커서 지들은 지네들끼리 여행가고 부부만 덩그러니 집에 있는거라고 하던군요.

  • 6. 케바케
    '25.10.4 7:08 AM (211.211.xxx.168)

    당일만 가면 아침부터 먹는게 그리 힘든가요?
    전날 가면 당연히 아침 같이 먹고.
    전 전자에요.

    물론 교통이 몇시간 거리고 불편하면 다른 이야기고요.

  • 7. 으하하하
    '25.10.4 7:12 AM (118.218.xxx.119)

    당일이면 좋구로요
    시부모님 없어도 손위미혼시누가 있으니 끝이 없네요
    손위미혼시누가 전날 오래요
    시부모 있을때랑 같아요

  • 8. 윗님
    '25.10.4 7:19 AM (121.124.xxx.33) - 삭제된댓글

    손위미혼시누가 오랜다고 가나요?
    시누따위가 뭐라고요
    저도 미혼시누 있지만 저따위 소리하면 머리채 잡고 맞짱뜨고 손절하겠네요

  • 9. 반반시대
    '25.10.4 7:21 AM (140.248.xxx.1)

    명절 번갈아 가는게
    답일 듯요
    한번은 친정에서 명절 아침
    한번은 시집에서.

  • 10. 희망사항
    '25.10.4 7:25 AM (223.38.xxx.22)

    추석엔 시집
    설엔 친정
    다음해엔 반대로
    이런 식으로 했으면 딱 좋겠는데

  • 11. .....
    '25.10.4 7:33 AM (1.241.xxx.216)

    시가 형제나 친정 형제들 상황도 맞아야
    번갈아 가는 것도 가능하던데요
    그런 상황이 서로 된다고 하면 시도해 보세요 원글님

  • 12. ..
    '25.10.4 7:36 AM (211.44.xxx.155)

    위에 시누요?
    왜 명절에 만나야해요????
    전이나 후에 밖에서 밥한끼 먹어도 잘 하는 거 아닌가요?
    남편만 보내세요

  • 13. . .
    '25.10.4 7:48 AM (180.228.xxx.78)

    원글님~댓글대로하세요. 그렇게 못할이유도 없죠

  • 14. .....
    '25.10.4 7:48 AM (175.117.xxx.126)

    흠..
    '반드시'는 없을 것 같은데요.
    다 각자 상황대로 하는 거죠.

    저는 신혼때는 가능하면 시댁에서 하루 자고 다음날 아침 먹고 친정가고 그랬는데
    나이 들어서 남편이 공휴일도 당직이면 일해야되는 직장으로 이직해서..
    연휴 중에 남편 당직 아닌 날로 시댁 가게 되고..
    친정은 그냥 저랑 애들만 가게 되었네요.
    그러다가 양가 어머님들 수술 받으신 뒤로는..
    그 다음부터는 양가에서 안 자는 걸로 했어요.
    저희가 자면 아무래도 이불빨래 나오니 양가 어머님들이 말은 안 해도 힘들어 하시더라고요.

  • 15. ..
    '25.10.4 7:55 AM (112.164.xxx.37) - 삭제된댓글

    합리적인 생각이라고는 없이
    명절 당일날 아침 한끼 먹는게 뭐가 힘드냐고 하는것 때문에 명절이 안 없어질 거 같아요
    연휴중에 명절날 딱 보려면 그 전날도 그 뒷날도 둥둥 떠버려서 일하는 사람들은 쉬는것도 아니고 노는 것도 아니고 뭘 할 수가 없지요. 융통성 있게 어떤 날은 전에도 보고 어떤날은 전주나 다음주에도 보고 그렇게 살면 안되나요?

  • 16. ..
    '25.10.4 8:04 AM (112.164.xxx.37) - 삭제된댓글

    진짜 시부모가 돌아가셔야 끝나는게 명절이란 말이 맞나봅니다.
    내 자식 며느리들이 나 죽기만 기다리게 만들지말고 얼른 없애버려야겠어요.

  • 17. 의외로
    '25.10.4 8:07 AM (223.38.xxx.3)

    명절 당일 아침 한끼 먹는게 뭐가 힘들지?
    이렇게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주부들 많더라구요

  • 18. 우리집은
    '25.10.4 8:16 AM (59.7.xxx.113)

    양가 모두 제사 없는 집이라 그런지 별 불만 없어요.

  • 19. ..
    '25.10.4 8:44 AM (112.164.xxx.37) - 삭제된댓글

    여자들이 명절은 힘든게 당연한 걸로 생각해서 그러나봅니다.
    남자들은 명절을 힘든걸로 생각 안하잖아요?
    외국도 크리스마스나 땡스기빙을 힘들다고 생각 안하는 것처럼.
    우리도 명절은 힘든게 기본이 아니라. 좋은 날이 기본이라고 생각을 바꿔 봅시다.
    3일씩 있는게 아니라 당일 아침 하루인데 뭐가 힘드냐. 하지말고
    달일아침 먹는거 보다 첫날 찾아뵙고 쉬는게 더 좋다, 또는 전주에 찾아뵙고 오랜만에 길게 여행가니 더 좋다. 이런 식으로 더 좋은걸 찾아서 해봅시다.
    뭘 맨날 이정도면 옛날보다 안힘드니까 그냥 해. 아침만 먹는게 어디야. 이제 차례는 안지내고 그냥 밥 한끼 먹으니 다행이지. 그래도 친정은 갈 수 있잖아. 이러지 말고요 !!

  • 20. ..
    '25.10.4 8:46 AM (112.164.xxx.37) - 삭제된댓글

    즐거운 명절 캠페인이라도 시작해야겠어요.
    일년에 두번 있는 긴 연휴를
    덜힘든 명절말고 더 즐거운 명절로바꿔봅시다.

  • 21. ...
    '25.10.4 8:46 AM (219.255.xxx.142) - 삭제된댓글

    합리적인 생각이라고는 없이
    명절 당일날 아침 한끼 먹는게 뭐가 힘드냐고 하는것 때문에 명절이 안 없어질 거 같아요
    22222222

    아래위층 만나서 미역국에 김치 하나 놓고 아침 먹는거 아니잖아요.
    아침 한끼 같이 하려면 전날부터 손 가는 음식은 다 해놓고,
    아침에 새벽같이 일어나서 먼거리 운전하고 가서 또 고기굽고 준비해야 밥 한끼 먹는거에요.

  • 22. ...
    '25.10.4 8:52 AM (223.39.xxx.87) - 삭제된댓글

    친정 시가 모두 근처에 사는 집이에요.

    혼자이신 현명하신 시어머니께서 차례 모두 절로 옮긴 뒤로 명절 점심 외식합니다.
    남편과 시어머니는 불교 신자라 아침 일찍 절에 가서 차례 지내고, 천주교도인 저랑 무교인 아이는 점심 시간에 맞춰서 미리 예약한 식당으로 따로 가요.
    점심 먹고 시어머님 댁에 들러서 다과 먹고, 오다가다 들르는 친척 잠깐 보고 옵니다.
    다과상 차리고 설거지하는 일만 하믄 됩니다.
    이렇게 한지 몇 년 됐는데 진짜 편해졌어요. 그 전에는.............ㅠㅠ

    친정도 아버지 혼자 계신데 차례 지내지 않아요(장남 아니심).
    남동생네 처가가 다른 지방인데 기차표 구하기 함들어서 명절 전후로 가더라고요.
    그래서 명절 연휴 기간 동안 당일 상관없이 남동생네랑 모두 편한 시간 맞춰서 점심 외식하고 엄마 성묘 가요(같은 도시 내 공원묘원).

    올해는 친정은 오늘인데 제가 간단히 음식해서 집에서 먹기로 했네요.
    아버지 밥상 차려드린지 너무 오래 된 것 같아서 그냥 명절 기분만 나게 하려고요(전, 송편 다 샀고 탕국이랑 나물 몇가지만 무치고 고기 조금 구워서 먹을 예정).
    후식은 남동생 담당.

    성묘는 과일 조금이랑 엄마 좋아하시던 쿠키, 커피 싸가지고 갑니다. 공원묘원 매점에서 생화 한다발 사서 간단히 차려놓고 담소 나누고 헤어져요.

    어제 국이랑 나물 해뒀는데 할 만해서 추석 당일 점심도 외식 말고 제가 해간다고 했어요.
    올해는 내켜서 하는거고 내년엔 피곤하면 안 하고 그거 가능하거든요. ㅎㅎㅎ
    오랜 세월 시어머니와 많이 맞춰 와서 이제 억지로 뭐 하라시는 것도 없고 하라신다고 하지도 않고, 그냥 올해는 제가 해갈께요 하면 그래 하시고 올해는 외식해요 하면 그러자 하시고 그래요.

    처음에도 말했지만 시어머니께서 지혜롭게 생각을 많이 바꾸셨고, 친정 아버지도 모이는 데 의미가 있지 당일이나 격식은 상관없다 열린 사고하시고 가족들 모두 이 정도는 괜찮은 것 같다고 양보하고 합의해준 덕이라 생각해요.

    제가 시집살이 조금 힘들게 해서 친정에서는 그런 일 없기를 바랬고 올케가 정말 착하고 마음이 예쁜 사람이라 시누 입장에서 부담주기 싫어서 애쓰는데요, 다행히 남동생이 자기 가족 챙길줄 알고 안되면 No하는 타입이라 아직까지는 그럭저럭 잘 굴러가는 것 같습니다.

    50이 넘으니 이제 이런걸 제가 조율하고 의견내고 관철해가는 위치가 되었다는 것이...젊은 시절 찍소리 못하고 힘들게 지냈던 거 생각하면 만감이 교차하네요. ㅠㅠ

  • 23. ...
    '25.10.4 8:54 AM (223.39.xxx.87) - 삭제된댓글

    아 그리고 아이 입시 끝나면 저는 명절 때마다 여행 갈거에요. 제 사전에 당일 이런거 없어요 ㅎㅎㅎ

    저는 고2 아이 입시 끝나기만 기다려요~~~~

  • 24. 전날가서
    '25.10.4 9:36 AM (112.186.xxx.86)

    음식하고 자는 사람들도 많은데 아침먹는건 뭐 ㅎㅎㅎㅎ
    시부모님 돌아가시면 안가야지 하는데
    정정하심 ㅎㅎㅎㅎㅎㅎㅎ

  • 25. ...
    '25.10.4 9:42 AM (112.148.xxx.119)

    연휴중에 명절날 딱 보려면 그 전날도 그 뒷날도 둥둥 떠버려서 일하는 사람들은 쉬는것도 아니고 노는 것도 아니고 뭘 할 수가 없지요.
    -------
    명절 연휴는 직장인들 쉬라고 있는 날이 아니고
    노인들한테 효도하라고 있는 날이더라구요.

  • 26. ..
    '25.10.4 9:54 AM (223.39.xxx.79) - 삭제된댓글

    명절 당일 아침 한끼 먹는건 안힘들죠.
    안힘든데 좋은것도 아니지요.
    결혼하고 20년은 전날 전전날부터 가다가 이제 집에서 준비 다 해서 당일만 가서 차례지내고 시누이들 오면 점심상 차리고 치우고 헤어지는데, 매년 두번씩 어머님이 명절날 상차리고 모리는걸 원하시니까 효도차원에서 하자 스스로를 다독이는디 끝이 안보이는 그 효도가 너무 길어서 지쳐갑니다.

  • 27. 아마도
    '25.10.4 10:04 AM (203.128.xxx.79)

    대부분의 분들이 시집먼저가서 한두끼하고 친정간다고
    언능 나서는걸 더 선호하실걸요
    숙제하듯 시집에서 한두끼 하고 나면 그다음은 프리~~잖아요

  • 28. ..
    '25.10.4 10:16 AM (223.39.xxx.251) - 삭제된댓글

    시부모님 돌아가시니 차례없애고 마지막으로 계시던 친정어머님 요양병원 들어가시니 명절날 내려오는거 안하더라구요.

  • 29. ..
    '25.10.4 11:14 AM (182.220.xxx.5)

    할머니 할아버지가 힘 있으실 때나 가능하죠.
    장손이 추진력이 있거나.

  • 30. kk 11
    '25.10.4 1:20 PM (125.142.xxx.239)

    생전엔 3ㅡ4일 있었는데
    사후엔 남편만 보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0821 식전야채 뭐가 좋을까요? .... 20 ........ 2025/10/05 3,321
1760820 김종찬 목사님이었네요 5 가수 2025/10/05 3,055
1760819 콩비지찌개에 쇠고기 다짐육 넣어도 되나요 5 요리 2025/10/05 814
1760818 윤석열을 대통령으로 만든건 문재인 정권의 힘의 컸다고 봐요 40 ㅇㅇ 2025/10/05 2,695
1760817 오세훈, "한강버스 없는 한강 상상하기 힘들어".. 16 .. 2025/10/05 2,550
1760816 여자연예인들 뭐 먹을때 왜 옴뇸뇸 먹을까요 8 이상하다 2025/10/05 3,693
1760815 공황장애일때 놀라거나 충격받으면 ᆢ 4 루비 2025/10/05 2,076
1760814 "장외집회 의미없다" 의원 한숨에도…장동혁은 .. 5 국민의짐 2025/10/05 1,985
1760813 강훈식이 서울시장 나올까요 19 ㅇㅇ 2025/10/05 2,819
1760812 두부조림 질문이요 5 요리는82 2025/10/05 1,746
1760811 청와대 참모 3명중 1명 강남아파트 소유 19 ..... 2025/10/05 2,375
1760810 요즘 82는 사주 맹신하던 분들이 챗지피티로 옮겨 간 것 갑습니.. 12 사주 2025/10/05 2,551
1760809 운전초보) 목동 이마트 주차장 출구 길 알려주세요~ 4 초보운전 2025/10/05 792
1760808 너무색이 빨간? 명란젓 우짤까요 2 선물 2025/10/05 542
1760807 이태원에서 그렇게 많는 국민들이 죽어가도 34 이태원 2025/10/05 4,881
1760806 넷플 스파이가 된 남자 6 넷플 2025/10/05 2,555
1760805 연휴가 길은게 너무 싫어요. 33 ** 2025/10/05 9,628
1760804 러닝 시작하고 싶은데요 7 oliola.. 2025/10/05 1,912
1760803 김치찌개 먹던거 있어서 엄마가 삼겹살 굽고 계란후라이해서 12 2025/10/05 3,779
1760802 버거킹 롱치킨버거 영원단종인가요? 4 ........ 2025/10/05 1,583
1760801 시어머니 너무 싫어요 ㅜㅜㅜ 30 ... 2025/10/05 16,376
1760800 주진우 오늘 고발당함 12 o o 2025/10/05 3,708
1760799 자매형제 결혼 축의금 얼마하셨어요? 9 S 2025/10/05 3,385
1760798 박지원 “김현지, 담양 출신·광주서 고교…야무지고 똑똑” 21 .. 2025/10/05 4,179
1760797 저희 엄마 며느리에게는 말 못하면서 9 ㅇㅇ 2025/10/05 4,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