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우리 어머니는 시집 친척들과 아주 가깝게 지내세요

ㅇㅇ 조회수 : 4,574
작성일 : 2025-09-27 17:55:48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1년반 정도 지났는데

아버지 돌아가신 뒤로도 어머니는 아버지 형제들, 친척들과 아주 가깝게 지내세요

 

고모랑은 같은 아파트 옆동 살면서 수시로 같이 점심 저녁 식사하시고

작은 어머니 자주 아프셔서 수시로 병문안 다니고

작은 어머니 입원하면 반찬 만들어서 작은 아버지 갖다드려요

이번주엔 아버지 이종사촌이 며느리 본다고 결혼식도 가신다고 하시네요

 

아버지 형제들은 다 1시간 이내 거리에 살아서 왕래가 잦은 거 같아요

어머니 형제들은 다 멀리 살아서 전화 통화는 자주 하시는데

직접 만나는 건 가끔 만나세요

 

어머니가 시집식구들 흉보실 때도 있지만

그렇게 가깝게 지내는 게 신기해요

40년 넘게 인연을 맺고 살아오면서 의리 같은 게 생기신 것인지

 

할아버지는 저 태어나기 전에

할머니는 저 초등학교 가기 전에 돌아가셨고

제가 중학생 때까지 외가랑 이웃에 살면서

저는 외할머니 외할아버지 손에 컸으니까

어머니가 시집살이를 하고 그런건 아니신데

 

아버지 돌아가신 뒤에도 친가 식구들과 교류가 줄어들지 않는 거 보니까 신기해요

 

인터넷이나 방송 보면

시집이라고 하면 엄청 불편해하고

남편 없어지면 바로 인연 끊어버리는 사람도 많은 것 같거든요

 

세대차이 같은 것이려나요?

 

 

IP : 218.236.xxx.130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9.27 5:57 PM (175.192.xxx.144)

    옛날분들은 시집식구와 사이 안좋은 사람들 거의 없던데요

  • 2. ㅇㅇ
    '25.9.27 5:58 PM (218.236.xxx.130)

    옛날분들이 시집살이는 더 심했을텐데 시집식구우 사이 안좋은 사람이 드문 이유가 뭘까요?

  • 3. 저희엄마도
    '25.9.27 6:02 PM (218.155.xxx.35)

    아빠 돌아가시고도 고모들과 작은아빠하고 잘 지내세요
    가끔은 흉도 보시는데 시집와서 젊을때부터 고모들 시집 보내고
    장가 보내고 함께 살아서 그런지 미운정도 쌓이면 정이 되나봐요

  • 4. 우리는
    '25.9.27 6:02 PM (118.218.xxx.119) - 삭제된댓글

    우리 시어머니는 시댁이랑 연락안하던데요
    우리 결혼할때 얼굴뵈었고 큰집에 제사지낼때는 우리만 보냈고
    거기서 시고모랑 시큰아버지 뵈었고
    남편 고모가 90넘었는데 연락안한지 꽤 되었어요
    시어머니는 본인 시누(형님)한테 연락안하니 저도 나중에 시누들한테 연락안할겁니다

  • 5.
    '25.9.27 6:03 PM (114.207.xxx.21) - 삭제된댓글

    엄마 본인 친정 식구가 많은가요?
    우리 엄마도 고모 사이 별로 그저그랬는데
    엄마도 고모도 주변 친지들이 빨리 돌아가셔서
    둘이 그럭저럭 지내시더라고요.

  • 6.
    '25.9.27 6:03 PM (114.207.xxx.21) - 삭제된댓글

    엄마 본인 친정 식구가 많은가요?
    우리 엄마도 고모 사이 별로 그저그랬는데
    엄마도 고모도 주변 친지들이 빨리 돌아가셔서
    산 친지둘이 별로 없으니 그럭저럭 지내시더라고요.

  • 7. ....
    '25.9.27 6:03 PM (175.193.xxx.138) - 삭제된댓글

    울엄마도(78세)도...큰아버지네 있는데, 울 아빠 막내인데도 할머니 모시고 살았어요. 큰고모, 작은고모,막내고모 다 친하고,저도 이모보다 고모들이랑 더 친해요.사촌들도 고종사촌들은 어릴때 수시로 만나고 우리집에서 저녁먹고 가고 등등 친해요. 울엄마도 고모들이랑 여행 같이 다녀요. 고모들다들 울엄마 챙겨요.(큰엄마는 안친했음. 지금은 돌아가셨고)
    엄마가 할머니 모시고 살고, 고모들이랑 잘 지냈는데..
    언니도 조카 시모에게 맡기고 시부모랑 사이 좋아요.
    저도 삼형제 중 장손이랑 결혼, 시가랑 같은 동네.
    여동생도 장남이랑 결혼해서 살아요.
    딸 셋(40대) 다 장남이랑 결혼, 다 맏며느리, 명절날은 시가에 있고, 명절 다음날 친정에서 모여요.

  • 8. 우리는
    '25.9.27 6:04 PM (118.218.xxx.119)

    우리 시어머니는 시댁이랑 연락안하던데요
    우리 결혼할때 얼굴뵈었고 큰집에 제사지낼때는 우리만 보냈고
    거기서 시고모랑 시큰아버지 우리만 뵈었고
    남편 고모가 90넘었는데 연락안한지 꽤 되었어요
    시어머니는 본인 시누(형님)한테 연락안하니 저도 나중에 시누들한테 연락안할겁니다

  • 9. 유리
    '25.9.27 6:04 PM (114.207.xxx.21) - 삭제된댓글

    엄마 본인 친정 식구가 많은가요?
    우리 엄마도 고모 사이 별로 그저그랬는데
    엄마도 고모도 주변 형제 자매 친지들이 빨리 돌아가셔서
    산 친지둘이 별로 없으니 그럭저럭 지내시더라고요.
    남은자들끼리 친목

  • 10. 유리
    '25.9.27 6:05 PM (110.70.xxx.73)

    엄마 본인 친정 식구가 많은가요?
    우리 엄마도 고모 사이 별로 그저그랬는데
    엄마도 고모도 주변 형제 자매 친지들이 빨리 돌아가셔서
    산 친지둘이 별로 없으니 그럭저럭 지내시더라고요.
    남은자들끼리 친목
    근데 막말 심한 친척은 절대 안보더라고요.
    보누 그 구성원이 원수는 아니었던거겠죠.

  • 11. 00
    '25.9.27 6:08 PM (58.224.xxx.131) - 삭제된댓글

    옛날분들은 자랄때 부터 출가외인 이라고 교육받고 자랐고
    결혼도 워낙 일찍했고
    기본적인 인권도 무지했고
    그려려니 수긍하고 살아 습관이 되었을거라 봅니다
    좋든싫든 남편가족이 울타리라 생각하는거 같음

    제가 50대중반인데 60대 여자분들 하고 대화해도 말이 안통한다
    느낄 때가 많아요
    5살~10살 위인 분들과 생각 차이가 많더라구요

  • 12. 근데
    '25.9.27 6:09 PM (104.28.xxx.38)

    며느리 시집살이는 어떠세요?

    저희 시모는 자식들 보라고 그러고 사시더라구요
    효 강요하면서요... 저한테도 니는 좋더라 이래서 기겁

  • 13. ㅋㅋㅋ
    '25.9.27 6:15 PM (49.161.xxx.218) - 삭제된댓글

    저도요
    우리막내시누이랑 형제같이 지내요
    남편살아서도 잘지냈지만
    남편보내고도 일년에 4번은봐요
    서울 부산 떨어져살아도요
    제가 12월에 수술하는데
    10일 입원한다니
    시누이가 올라와서 병간호해준대요
    울아이들 직장다녀 시간없다구요
    본인 친언니들보다 제가 더 좋대요
    저보고 오래살면서 같이 여행다니자고해요
    울딸이 고모가 외로운 엄마랑 너무 잘놀아준다고
    고모오면 차비 용돈줘요

  • 14. ...
    '25.9.27 6:15 PM (39.7.xxx.194) - 삭제된댓글

    옛날 분들은 배움도 짧고
    직장생활의 네트워크도 없으니
    시집 식구들이 본인 인간관계의 바운더리가
    될 수 밖에요.
    출가외인이라는 가스라이팅!
    + 시집 식구들이 좋으나 싫으나 버티고 순응하며 살았던 거죠

  • 15.
    '25.9.27 6:31 PM (61.74.xxx.175)

    며느리라는 존재에 대해 시집이나 며느리나 생각 차이가 별로 없던 시절이었던 거 같아요
    며느리가 억울해 하지 않는....
    또 사람간에 정이 있던 시절이기도 했구요
    요즘처럼 하나 하나 따지고 조금도 손해 보지 않으려고 하지 않았던 거 같아요

  • 16. 아닙니다.
    '25.9.27 6:35 PM (103.5.xxx.188)

    위의 ...님, 너무 단정적이시네요. 옛날 분들 배움도 짧아서 그렇다니요. 싫으면 친정식구도 안보는데 그 나이면 뭐가 겁나서 껄끄러운 시집을 구태어 보겠어요. 그런데도 시집과 관계가 좋은 건 좋으나 싫으나 버티고 순응해서가 아니라 좋아서 좋은 겁니다. 저희 어머니도 아버지 돌아가시고도 가까이 사는 멀리 사시는 이모들보다 가까이 사시는 고모를 더 자주 봅니다. 특별히 사이좋다 그런 건 아니고 그냥 가족인거죠. 늙어가니 서로 동병상련 감정도 드시는 듯하고.

  • 17. ....
    '25.9.27 6:50 PM (211.184.xxx.246)

    세월 속에 미운정 고운정들이 있으니 이제는 가족으로 지내시는 거 아닐까요.
    친정식구들도 이런 저런 감정들이 있어도 잘 지내는 것 처럼, 40년 세월이면 완전 원수질만한 일이 아니라면 편할 수도 있을 듯.

  • 18. ㅌㅂㅇ
    '25.9.27 8:38 PM (182.215.xxx.32)

    상식적인 사람들인가 보네요

  • 19. 적당한 거리
    '25.9.27 8:50 PM (211.247.xxx.84)

    서로 성인이 되어 만난 사이라 존중이 있어서 잘 지내기가 더 쉽지 않나요?
    친 자매는 너무 가깝다 보니 무례할 때도 많고.
    전 시댁 형제들이 더 편하고 부담 없어요.

  • 20. ??
    '25.9.27 10:25 PM (223.38.xxx.136)

    인년 끝는게 더 이상하고만
    저희 부모님 돌아가셔도
    이모네 작은 아버지네
    양가 친척들 경조사 다 다니고
    안부도 물으면서 지내요

  • 21. 덩연
    '25.9.27 11:55 PM (59.8.xxx.68)

    예전분이잖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57711 50중반 어디가 젤 안좋으세요 22 2025/09/28 6,989
1757710 카톡 프로필 설정하는 1분짜리 쇼츠예요 7 카톡 2025/09/28 2,597
1757709 내란빤스 재판보니 여전하네요.. 2 ㅋㅋㅋ 2025/09/28 1,652
1757708 임세영 쇼호스트 넘 좋아하는데요 8 ㅣㅣㅣ 2025/09/28 3,837
1757707 인생은 너무 외롭고 심심한 거네요. 8 엉만 2025/09/28 4,727
1757706 트럼프, '개인적 악연' MS 사장 해고 요구…"국가안.. 13 ㅇㅇ 2025/09/27 3,750
1757705 어쩔수가없다 관람평만 보면 17 ㅇㅇ 2025/09/27 4,557
1757704 아들맘은 아들 낳은 며느리한테 꼭 너도 당해라 악담 6 2025/09/27 3,356
1757703 정말 못봐줄 인간 1 허허허 2025/09/27 1,568
1757702 한동훈 “李 ‘방북 대가’ 증명하겠다, 與, 무고죄로 맞고발” 21 ㅇㅇ 2025/09/27 2,179
1757701 사마귀 뭐죠? 2 2025/09/27 4,938
1757700 부모님게 선물보단 용돈이 더 좋겠죠 ? 5 명절날 2025/09/27 1,664
1757699 한미 관세 협상 현재 상황 51 ㅇㅇ 2025/09/27 5,220
1757698 주한미군 철수 45 ... 2025/09/27 6,852
1757697 환율협상 완료란게 뭘까요 4 ,,,,, 2025/09/27 2,156
1757696 소년의 시간은 진짜 원테이크로 찍었을까요 (스포) 12 ㅇㅇ 2025/09/27 3,413
1757695 초보 성인 발레... 다리가 안붙어요...ㅜㅜ 13 ... 2025/09/27 2,803
1757694 [펌] 정부기관장에 외국인 임명하여 기밀을 유출되게 한 윤거희 4 Lemona.. 2025/09/27 2,047
1757693 허지웅 인스타 글 보셨나요? 24 ㅇㅇ 2025/09/27 24,727
1757692 “목숨 걸고 지키겠다”… 尹 모습을 본 전한길, 눈물 ‘왈칵’ 19 ㅇㅇ 2025/09/27 4,879
1757691 청바지랑 잠옷 같이 빨았다가 잠옷에 물이 들어버렸어요ㅜ 4 ..... 2025/09/27 1,721
1757690 고2딸 비만인데 배가 자꾸 아프대요. 8 ㅇㅇ 2025/09/27 2,250
1757689 수백억 재산 죽을때 까지 다 쓸까요? 18 0000 2025/09/27 6,454
1757688 리쥬란 주사 정말 혐오 스럽네요 39 f 2025/09/27 17,343
1757687 전세에 대출 들어가 있는지 알 수있나요? 5 Ek 2025/09/27 1,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