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7.31 4:13 AM
(61.79.xxx.23)
재건축 20년 걸린다고 봐요
2. 서울시 땅이면
'25.7.31 4:22 AM
(85.119.xxx.30)
서울시 땅이면 왜 개인에게 이익을 줘야 하나요?
재건축을 해도 공공의 이익으로
3. ....
'25.7.31 4:32 AM
(98.31.xxx.183)
-
삭제된댓글
ㄴ행정오류 가능성 있다잖아요 ㅋㅋㅋ 먼 놈의 공공
20년이 머에요 압구정3구역도 40년은 넘었을 텐데
하긴 이재명은 국유지로 몰수하고 민간 분양해서 돈빼멱는 재주가 있으니 또 모르겠네요
조합원들은 그냥 더 둬도 나쁘지 않음
4. ...
'25.7.31 4:39 AM
(198.244.xxx.34)
-
삭제된댓글
'25.7.31 4:32 AM (98.31.xxx.183)
하긴 이재명은 국유지로 몰수하고 민간 분양해서 돈빼멱는 재주가 있으니 또 모르겠네요
조합원들은 그냥 더 둬도 나쁘지 않음
.................
이거 책임질 수 있는 발언인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5. ㄱㄴㄷ
'25.7.31 6:12 AM
(209.131.xxx.163)
아이유가 할머니도 돼도 안된다는 말이 맞나벼~~
6. 봄날처럼
'25.7.31 6:15 AM
(116.43.xxx.180)
은마 승!
7. ...
'25.7.31 7:10 AM
(175.211.xxx.67)
단순해보이지만 아주 복잡하네요. 진짜 저기 산다면 머리 아플듯
8. 아이쿠
'25.7.31 7:12 AM
(112.169.xxx.252)
70억에 팔고 나간 사람이 똑똑한 사람
9. ㅐㅐㅐㅐ
'25.7.31 7:32 AM
(116.33.xxx.157)
재판판결은 생각보다 단순할 것 같은데
진행속도가 관건일 것 같아요
그동안 집소유주를 상대로
토지관련 세금 부과한 걸
어떻게 바로잡겠나요?
누가봐도 행정착오로 이해되지 않겠나요?
10. 이상하네요
'25.7.31 7:35 AM
(174.233.xxx.243)
그 이야기 6개월 전부터 유튜브 등에서 나온건데..
저도 알고 있던건데 이제서야?
11. ,,,
'25.7.31 7:46 AM
(121.173.xxx.70)
-
삭제된댓글
윗님 말대로라면
그럼 모르는 소유주들도 많았다는 얘기네요?
미리 알고 팔고 나간자가 진짜 위너군요
12. 등본
'25.7.31 7:54 AM
(211.221.xxx.43)
아니 집 사고팔때 등본부터 떼서 확인하는데
어떻게 반세기가 되도록 아무도 모를 수가 있죠?
이해가 안돼요
13. 은마도
'25.7.31 7:54 AM
(211.234.xxx.121)
원래 한보건설 오너의 땅으로 표기된 부지가 있었는데
해결 된건가요?
몇년전부터 시끄러웠잖아요?
14. ...
'25.7.31 7:59 AM
(175.207.xxx.21)
-
삭제된댓글
저기는 재건축되기 쉽지 않겠네요...
15. ㅡㅡ
'25.7.31 8:11 AM
(112.169.xxx.195)
한강변 아파들이 토지 소유 문제가 좀 있죠.
한신2차, 4차
거기 재건축 늦는 이유
16. ㅇㅇ
'25.7.31 8:56 AM
(119.192.xxx.40)
강남에 땅 주인 간물주인 따로 있는 건물들 많아요
17. ..
'25.7.31 9:16 AM
(194.124.xxx.86)
-
삭제된댓글
70년대 거기 미분양나고 인기없어 현대그룹 무주택 회사원들한테 강제로 떠넘길때
건물 지상권만 주고, 대지권은 안넘겨서 이런일이 터졌단 얘기가 있더라고요.
그시절에는 꽤나 흔한일. 지금처럼 재건축 유행으로 대지지분이 중요해지는 시절이 올줄 몰랐던거죠.
원래 부촌은 아니었고 얌전한 중산층 회사원 정도 동네였는데 최근 재건축으로 부촌으로 리브랜딩 홍보 성공한 케이스 정도로 보이네요
18. 어차피
'25.7.31 9:35 AM
(123.142.xxx.26)
그사세, 남의 얘기임.
압구정 현대가 그러거나 말거나
19. ..
'25.7.31 9:39 AM
(45.88.xxx.20)
70년대 거기 미분양나고 인기없어 현대그룹 무주택 회사원들한테 강제로 떠넘길때
건물 지상권만 주고, 대지권은 안넘겨서 이런일이 터졌단 얘기가 있더라고요.
그시절에는 꽤나 흔한일. 지금처럼 재건축 유행으로 대지지분이 중요해지는 시절이 올줄 몰랐던거죠.
원래 부촌은 아니었고 얌전한 중산층 회사원 정도 동네였는데 최근 재건축으로 부촌으로 리브랜딩 홍보 성공한 케이스 정도로 보이네요. 근데 70년대에 현대 회사원 직원정도면 그사세 맞죠.
20. ...
'25.7.31 9:45 AM
(220.75.xxx.108)
재산세 낼 때 토지분도 같이 집주인이 낸 거 아니에요?
21. ㅇㅇ
'25.7.31 10:04 AM
(62.182.xxx.112)
토지분이 2차 3차로 손바뀜될때 안넘어온것 같네요
22. ㅋㅋ
'25.7.31 11:51 AM
(14.63.xxx.60)
알아서 하겠죠
그러거나 말거나
그사세
23. ..
'25.7.31 11:57 AM
(212.15.xxx.241)
진짜 그사세에요 여긴
현대 직원들 단단한 회사원들로 시작한 알짜 동네 ㅎㅎ
24. 이래서..
'25.7.31 12:06 PM
(221.138.xxx.71)
70억에 팔고나간 사람이 승자네요 222222
초기에는 부촌 아니였던건 팩트죠,,,,
딱봐도 재개발 20년은 넘게 걸릴 텐데 지금처럼 전국민이 노인화되는 상황에서
20년후에도 거기가 부촌일까요?
25. ㅇㅇ
'25.7.31 12:22 PM
(118.235.xxx.171)
-
삭제된댓글
어메이징하네요
행정 오류가 아니라 의도적 담합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 때 서류도 하나 남아있지 않을 거고요
26. ㅇㅇ
'25.7.31 12:23 PM
(118.235.xxx.21)
-
삭제된댓글
어메이징하네요
행정 오류가 아니라
당시 서울시와 현대의 의도적 담합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 때 서류도 하나 남아있지 않을 거고요
27. 옛날 아파트
'25.7.31 12:24 PM
(49.1.xxx.69)
소유권 등기문제 진짜로 개짜증이에요
저흰 압구정 아니지만 서울 강동구 40년 아파트거든요
진짜 그 옛날 일들을 더럽게 해놔가지고 등기문제가 너무 꼬이고 그 업체는 소멸되고 이상한 곳으로 되어 있고 소송하니 소송비들고(물론 승소하는 상황이지만)
28. ㅇㅇ
'25.7.31 12:30 PM
(118.235.xxx.229)
-
삭제된댓글
어메이징하네요
행정 오류가 아니라
당시 서울시와 현대의 의도적 담합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박정희, 최현옥(당시 서울시장), 정주영 트리오
그 때 서류도 하나 남아있지 않을 거고요
29. ㅇㅇ
'25.7.31 12:31 PM
(211.234.xxx.182)
현대는 횡재했네요
서울 노른자땅이 갑자기 뙇 ㅋ
서울시는 뭐
공원같은거 만들라하고 잘 타협해야죠
재건축해야지 언제까지 그렇게 둘순 없잖아요
30. . .
'25.7.31 12:32 PM
(59.10.xxx.58)
어떻게 반세기가 되도록 아무도 모를 수가 있죠?
이해가 안돼요 222
31. 6개월전에
'25.7.31 12:35 PM
(221.149.xxx.36)
나왔었다면 그동안 쉬쉬했나봐요. 엄청난건데요.
몇평가지고도 알박기 하고 소송하고 공사 지연되던데
4만제곱미터라니....
현대랑 짬짜미로 딜한다고 쳐도
서울시와는 쉽게 짬짜미 딜이 안되죠.
서울시민 재산이라.
32. 알아서
'25.7.31 12:50 PM
(211.234.xxx.140)
하겠죠...
33. …
'25.7.31 12:52 PM
(118.235.xxx.40)
-
삭제된댓글
서양에서 빈민들을 위한 공동주택을
한국 재벌이 성장하면서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브랜딩한 것이고
1975년 당시에는 아파트 개념도 확산되지 않았을 때라
적당히 아무 견제 받지 않고 담합이 가능했을 겁니다
지금 개인정보나 ai 관련 데이터 등도
나중에 보면 야만적인 게 아주 많을 거예요
우리 데이터를 구글이나 이런 데서 다 흡수하는 거
이게 말이 되느냐고요
34. ㅇㅇ
'25.7.31 12:55 PM
(118.235.xxx.40)
어메이징하네요
행정 오류가 아니라
당시 서울시와 현대의 의도적 담합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박정희, 김현옥 외 당시 서울시장, 정주영 트리오
그 때 서류도 하나 남아있지 않을 거고요
https://www.seoul.go.kr/seoul/mayor.do
서양에서 빈민들을 위한 공동주택을
한국 재벌이 성장하면서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브랜딩한 것이고
1975년 당시에는 아파트 개념도 확산되지 않았을 때라
적당히 아무 견제 받지 않고 담합이 가능했을 겁니다
지금 개인정보나 ai 관련 데이터 등도
나중에 보면 야만적인 게 아주 많을 거예요
우리 데이터를 구글이나 이런 데서 다 흡수하는 거
이게 말이 되느냐고요
35. .......
'25.7.31 1:25 PM
(106.101.xxx.154)
현대가 몰랐을리가요ㅋㅋ
36. ㅇㅇ
'25.7.31 3:10 PM
(211.235.xxx.8)
점유취득시효 때문에 별 상관없음
37. ㅇㅇ
'25.7.31 3:50 PM
(39.7.xxx.112)
70억에 팔고나간 사람이 승자네요3333333
38. 중국 땅은 국가꺼
'25.7.31 4:22 PM
(211.48.xxx.45)
중국이 땅은 국가거예요. 공산당 독재국가라 가능하다고.
국민들 아파트는 건물만 자기꺼로 된답니다.
서울시 땅이면 사기업이 아니라 어렵겠어요.
39. ,,,,,
'25.7.31 4:26 PM
(110.13.xxx.200)
70억에 팔고나간 사람이 최고의 승자네요...444 천운인듯..
40. ㅇㅇ
'25.7.31 6:09 PM
(89.147.xxx.179)
70억에 팔고나간 사람이 승자네요 5555
초기에는 부촌 아니였던건 팩트죠,
41. ..
'25.7.31 9:54 PM
(211.112.xxx.69)
-
삭제된댓글
점유취득시효요?
이건 집짓고 살던 사람들이 남의땅인지 몰랐다는 건데요..
서울시가 그동안 내용증명같은걸 한번도 보내지 않았을까요?
그리고 비슷한 사례로 나라땅에 유치원인지 지어서 오래 살다가 나중에 자기땅으로 우겼는데 법원에서 나라손 들어준 선례가 있을껄요?
남의땅 거저 먹기 그렇게 만만치 않아요.
특히 비싼 땅일수록
42. ..
'25.7.31 9:57 PM
(211.112.xxx.69)
점유취득시효요?
이건 집짓고 살던 사람들이 남의땅인지 몰랐다는 건데요..
정말 몰랐을까요?
서울시 대상이라 만만치 않을걸요?
나라땅을 단순히 그렇게 짬짬이가 될 수 없죠.
이제 이렇게 너도나도 알게 됐는데 더더욱.
그리고 비슷한 사례로 나라땅에 유치원인지 지어서 오래 살다가 나중에 자기땅으로 우겼는데 법원에서 나라손 들어준 선례가 있을껄요?
남의땅 먹기 그렇게 만만치 않아요.
특히 비싼 땅일수록
43. 공공토지에
'25.8.1 1:27 AM
(59.7.xxx.217)
점유시효 인정이 쉬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