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호주제 폐지반대했던 당시 젊은 여성들 말이죠

................ 조회수 : 1,600
작성일 : 2025-07-25 17:31:39

호주제 폐지가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거죠

특히 재산상속 관련되서 호주제가 많이 관련되어있죠.

호주가 되고 집안 대를 이어야할 아들이...

다른집 딸과 상속에서 대등해지는것은 볼수가 없는거죠

그래서 호주제 폐지반대한것임

호주제가 폐지되고 상속문제에 대해서 많이 평등해졌어요...

장남 의미가 사라지고....띨과 며느리도 존중받게 되니까요..

IP : 221.167.xxx.113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넝쿨
    '25.7.25 5:33 PM (118.235.xxx.55)

    호주제 폐지 주장했던 여성들 말씀하신거죠?

  • 2. ...........
    '25.7.25 5:35 PM (221.167.xxx.113)

    폐지반대 주장한 여성들이요

  • 3. ...
    '25.7.25 5:36 PM (211.243.xxx.59)

    호주제 폐지 전부터 90년대 초반부터 법적 상속은 배우자 자녀 모두 동등하게 1:1:1이었어요
    호주제 폐지는 노무현 때구요

  • 4. 어머나
    '25.7.25 5:47 PM (211.58.xxx.161)

    젊은여자들이 반대했다고요???

  • 5. 데모도 했음
    '25.7.25 5:54 PM (211.247.xxx.84)

    밭과 씨는 다르다며.
    지들이 무 배추 인줄 아는 것들.

  • 6. ㅅㅅ
    '25.7.25 5:58 PM (218.234.xxx.212)

    호주제 폐지 관련 주요 내용


    헌법재판소는 호주제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습니다 (2005년 2월 3일).
    국회는 호주제 폐지를 내용으로 하는 민법 개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2005년 3월 2일).
    개정 민법은 3년의 준비 기간을 거쳐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호주제 폐지와 함께 호적 제도가 폐지되고, 개인을 기준으로 하는 가족관계등록부가 도입되었습니다.

  • 7. ㅅㅅ
    '25.7.25 5:59 PM (218.234.xxx.212)

    민법 개정에 따른 상속 지분 변화

    1960년 1월 1일 이전 사망자: 호주 상속인이 전부 상속.

    1960년 1월 1일 ~ 1978년 12월 31일 사망자:

    호주 상속인: 1.5
    호주 상속인 이외의 아들: 1.0
    배우자: 0.5
    미혼 딸: 0.5
    기혼 딸: 0.25


    1979년 1월 1일 ~ 1990년 12월 31일 사망자:

    호주 상속인: 1.5
    배우자: 1.5
    기타 자녀: 1.0
    기혼 딸: 0.25


    1991년 1월 1일 이후 사망자 (현행 민법):

    배우자: 1.5
    직계비속 (아들, 딸 구분 없음): 1.0

  • 8. 뭔소리야
    '25.7.25 6:00 PM (106.102.xxx.51)

    호주제 폐지 훨씬 이전에 민법에서 차별적 상속은 사라졌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2534 자녀가 주담대 상환이 어려우면 5 ... 2025/08/05 1,812
1742533 노인들 생일, 명절 모임 벗어나고 싶어요 . 36 지겹다지겨워.. 2025/08/05 6,516
1742532 심심해서. 최고 드라마 투표해주세요 26 00 2025/08/05 2,947
1742531 고가 위스키 5천여병 밀수입한 교수·의사들…41억원 추징 5 ㅇㅇ 2025/08/05 2,829
1742530 분양 받은 강아지가 아파서 병원 가신다고... 17 오매불망 2025/08/05 3,227
1742529 애만 가면 되는데.... 5 0011 2025/08/05 1,806
1742528 자전거 타고 시장 가려하는데… 4 이 햇볕에 2025/08/05 1,170
1742527 "~적으로" 거슬리게 쓰는 사람이 너무 많아요.. 17 ㅇㅇ 2025/08/05 2,537
1742526 이사 후 에어컨 설치 5 에어컨설치 2025/08/05 1,210
1742525 요점정리를 안하면 머리에 남질 않아요 7 뎁.. 2025/08/05 1,320
1742524 공공시설에서의 행동 (특히 도서관) 13 공공 2025/08/05 2,061
1742523 햇빛 너무 밝으면 두통 오는 분 있나요 14 두통 2025/08/05 1,488
1742522 동남아에서 절반씩 사는 거 어떨까요 27 ..... 2025/08/05 4,612
1742521 오늘 날씨가 1 .... 2025/08/05 1,244
1742520 하루종일 공부만 하는 아이 vs 하루종일 잠만 자는 아이 4 ........ 2025/08/05 1,722
1742519 외국에는 버거킹이 맛있나봐요 14 .... 2025/08/05 2,596
1742518 과일포장제 일반쓰레기에 버리나요? 4 일반 2025/08/05 1,265
1742517 윤통이 잘못했지만 침대같은건 서울시장 집무실에도 있었어요 39 윤통 2025/08/05 4,870
1742516 겸공 정정래 넘 웃겨요 14 ㄱㄴ 2025/08/05 3,599
1742515 김거니, 최근까지 비화폰 한 대 사용하고 있었다 3 ㄱㅈㄴㅈㄹ하.. 2025/08/05 2,343
1742514 50대 여성 2명 살해 후 투신한 창원 50대 남성 3 2025/08/05 7,103
1742513 초보 식집사의 긴 수다 5 살짜꿍 2025/08/05 1,135
1742512 이런경우 법적처벌 2 무념무상 2025/08/05 548
1742511 "우리 도현이 살 수 있었어요" 아들의 마지막.. 7 우리의미래 2025/08/05 5,101
1742510 프랑스 게랑드 해초 소금 비소 과량 검출이래요 6 ... 2025/08/05 1,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