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미국에게 엄청 퍼주어서 얻은게
자동차 품목관세 15%인데
이건 우리랑 경쟁관계.
그럼 현기차는 그대로 25% 맞으면 굉장히 불리한 상황인데
현기차 주가는 기대감으로 날아가네요.
우리도 그정도 얻어올수 있다고 생각하나봐요.
이게 소스가 있는걸까요.
아님 그냥 배팅하는걸까요.
그리고 어쨌든 처음에는 관세0%였는데 15% 된다고 해도 현대차 마진이 줄어들 확률이 높으니
악재라고 생각했는데 말이죠.
알다가도 모르겠네요.
일본이 미국에게 엄청 퍼주어서 얻은게
자동차 품목관세 15%인데
이건 우리랑 경쟁관계.
그럼 현기차는 그대로 25% 맞으면 굉장히 불리한 상황인데
현기차 주가는 기대감으로 날아가네요.
우리도 그정도 얻어올수 있다고 생각하나봐요.
이게 소스가 있는걸까요.
아님 그냥 배팅하는걸까요.
그리고 어쨌든 처음에는 관세0%였는데 15% 된다고 해도 현대차 마진이 줄어들 확률이 높으니
악재라고 생각했는데 말이죠.
알다가도 모르겠네요.
주식은 뻥입니다. 기대감이 중요한거죠. 실제보다요.
올려 팔고 도망가는걸수도 있잖아요.
이익 10프로 났는데 팔까요말까요? 계속 보고 있어요 ㅠ
1. 그렇게 생각하는거죠. 한국 일본은 최초 유사했으니...
2. 트럼프가 자유무역 질서를 완전히 극단적으로 망가뜨리려는 의도는 아니구나...
주가의 흐름을 볼때
1. 선반영
2. 과잉반응
을 깨닫지 못한다면 계속 이해할수 없는 흐름이라고 혼람스러울수 밖에 없어요.
주식시장은 실물경제를 6-12개월 앞서서 선반영하고
개별 기업의 뉴스도 아이큐 1,000의 수준으로 선반영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주가는 악재가 쏟아지고 실적이 극단으로 망가질때 사서
호재가 뉴스로 발표되고 실적이 환상적으로 나올때 팔라고 하는 겁니다.
그리고 주가가 10만원이 적당하다고 판단되도 한번 쏠림이 발생하면 과하게 오르고 떨어질때도 과하게 떨어집니다.
진동하는 추가 극단과 극단을 오가는 걸 상상하면 됩니다.
현차그룹은 글로벌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상승으로 경쟁력을 입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보조금문제, 관세문제로 주가가 극담적으로 짓눌린 상태입니다. 즉 이미 주가 폭락으로 관세 25%를 선방영한 상태인데(관세 0%를 시장이 반영하는 중이 아닙니다 ) 일본이 15%로 결정나니 다시 우리도 그 수준에서 결정될수 있을 거라는 기대를 반영하며 오르는 겁니다.
굳이 미국이 일본과 한국 수입차에 관세 차이를 둘 이유가 없잖아요.
오늘 주가 상승은 그래서 충분히 이해가 되는 관세상황 반영인거죠.
어쨌든 불확실성이 해소 돼서 그런면이 있어요
팔고 있겠죠. 오른다고 해서 모든 종목이 다
좋은 건 아닙니다. 세력들은 손해 안봅니다.
주식시장은 실물경제를 6-12개월 앞서서 선반영하고
----> 이게 중요하군요.
전 일본이 너무 퍼줘서 우리가 그정도까지는 받기 힘들꺼라 생각했는데 말이죠.
어쨌든 지금이 25% 관세상황을 고려한 주가라면 20%맞아도 호재라고 생각할수 있겠네요.
예상보다 낮아졌으니까...
미국내 생산차량보다 고급으로 만들든가 잘만들어 가격차이를 뛰어넘게 해야겠어요
계속 보수적으로 생각하는 편인데 긍정적인 쪽으로 봐야겠네요.
주식은 흐름 심리싸움 선반영 큰손들의 움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