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녀가 큰 짐이었다고

ㅎㄹㅇㄴ 조회수 : 5,767
작성일 : 2025-06-22 17:49:15

제 은사님과 얘기하다가

자녀둘을 키웠는데 둘다 잘 자랐아요

근데 물론 자녀가 이쁘기도 했지만

사실 큰 짐이기도 했다고 하시네요

아마 책임감 때문일텐데요

그래서 손주가 이쁜건 책임감이 덜해서 인거 같다고..

 

또 제 친구들보면 중년의 위기나 노년 모두 부모

잘만난애들이 여전히 잘사는데요

또 노년의 인생은 자식이 큰 변수라고도 해요.

 

자녀가 잘풀려야 본인 인생도 잘 마무리한다고..

 

참 인생은 정답이 없고 끝까지 모른다는게

맞는말인거 같아요.

IP : 61.101.xxx.67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5.6.22 5:51 PM (218.48.xxx.188)

    애 성인되고 자주 느끼는게
    애 하나만 낳길 천만다행
    안낳은 사람보단 못한건가요ㅎㅎ

  • 2. ..
    '25.6.22 5:54 PM (118.235.xxx.138)

    저도 안 낳았으면 좋았을텐데. 그나마 하나라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더 낳았음 큰일났을 뻔..

  • 3. 고1
    '25.6.22 5:55 PM (59.13.xxx.164)

    겜돌이 고1 아들 키우는데 공부 스스로 열심히 하는 애들 부모는 얼마나 좋을까
    내가 스카이를 가란것도 아니고..진짜 무자식이 상팔자다 매일 느껴요
    자식이 없었으면 인생 난이도가 확 내려갔을텐데
    내가 낳아 키운 놈이니 참고 또 참지만 하필...이하생략입니다

  • 4. ..
    '25.6.22 5:57 PM (211.44.xxx.118) - 삭제된댓글

    부모가 자식에게 큰 짐이 되기도 합니다.

  • 5. 진짜
    '25.6.22 5:59 PM (175.113.xxx.3)

    남편 안 좋아도 결혼은 후회 안 하는데 자식 낳은건 가끔 후회돼요. 자식 엄청 이쁘고 무한사랑 이긴 한데 그 책임감이 말도 못하고 진짜 짐스러운 느낌 어쩔수 없죠.

  • 6. 555
    '25.6.22 6:00 PM (112.151.xxx.75) - 삭제된댓글

    경우에 따라 다르죠
    저희 부모님은 언니 이혼 후 사망해서 조카도 책임지심

  • 7. 자식
    '25.6.22 6:02 PM (58.230.xxx.181)

    명수대로 고통과 걱정이 배가 되는듯 해요. 부모 입장에서 자식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은 간절한데 자식이 항상 잘되거나 잘풀리지만은 않으니.. 우리 인생처럼요.. 잘될때 있고 또 안될때 있는데 내가 안될때보다 자식이 안될때 더 고통이 커요..

  • 8. 남편이 존경하는
    '25.6.22 6:04 PM (175.123.xxx.145)

    남편이 존경하는 인물이
    인생은 운과 환경이 본인 노력보다 더 큰 가치가?있다
    라고 말해서 상당히 수긍하더라구요
    실제 똑똑했는데 가정환경때문에 친구들중
    제일 성장이 더뎠어요
    제 아이가 상당히 똑똑한데 남편은 끝까지 성장할수있게
    아버지로써 노력한다고 합니다
    물론 저도 같은 생각이구요
    본인이 간절했던 부분이 일정부분 책임감으로 남았고
    아이가 성공한다면 남편의 노후는 더 보람이 클것 같아요

  • 9. ...
    '25.6.22 6:05 PM (61.255.xxx.179)

    예나 지금이나 자식 하나만 낳아 키운거 정말 잘한 결정이었다 생각해요
    딩크였다면 자식 키우는 애환을 몰랐을 것이고
    애가 둘 이상이었다면 아이들 키우는데 드는 비용이 무지막지 해서 여러 가지 면으로 고민하며 살았을거란 생각이 들거든요
    아이 한명이니 자식 뒷바라지도 할수있을 만큼 하고
    우리 노후 준비도 가능하고요

  • 10. 당연
    '25.6.22 6:24 PM (112.167.xxx.92)

    가지 많은 나무 바람 잘날없단는 말이 맞죠 더구나 지금 같이 산업 말기에는

    역으로 말도 안되게 너무 오래사는 잘 죽지 않는 노부모가 짐이기도 하고 노후준비된 노령층이 한국에 몇프로나 되겠나요 서민들은 부모 자식 양쪽다 부담이죠

  • 11. 저도요
    '25.6.22 6:25 PM (1.235.xxx.138)

    댓글처럼 그나마 하나만 낳았길 망정이지...주변 외동맘들도 다 그소리해요.

  • 12. 당연
    '25.6.22 6:30 PM (112.167.xxx.92)

    더구나 중국인들에게 무비자 개방하면서 조선족에 불법체류자들을 양산하고

    부동산도 중국인들이 사들이고 올리고 국민연금 의료보험혜택도 받게 하니 고갈되고

    2005년인가 한나라당이 중국인들에게 투표권을 만드는 등쉰같은 짓꺼리들 해놓고 이재명은 한국 수자원을 황당하게 중국과 연계 협력한다는 이상한짓을 하고 한국을 중국에 다 개방, 중국 재고 덤핑 전기차며 산업이 들어오기 시작

    그러니 한국기업들을 죽이는 이상한짓을 하는 이재명ㅉ

  • 13. 근데
    '25.6.22 6:31 PM (217.149.xxx.219)

    또 자식 내던지고 사는 부모도 많고
    그런 부모들이 또 자식들 짐덩어리.

    자식한테 제대로 해준 부모들은 바라는게 없는데
    해준거 없는 부모는 자식 골수까지 빼먹으려하죠.

  • 14. ..
    '25.6.22 9:33 PM (218.153.xxx.32)

    저는 자식 셋 키우면서
    아이 키우려고 내가 세상에 나왔구나 생각하며 살아요.

    이세상속에서 각자의 밥벌이를 해내는 사회인을 만들어 독립시키는게 제 할 일이라 여깁니다.
    가끔 너무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지만 저에게 삶은 이런거였더라구요.

    일단 하나는 해냈고 이제 둘 남았네요~~

  • 15. ㅏ아
    '25.6.23 8:17 AM (182.221.xxx.29)

    한명있는 사람너무 부러워요
    두명이나 낳아서 너무 이쁘지만 책임감이 말도못하고 부모봉양하는 시대도 아니고 애들키우고 우리 노후는 또 알아서 준비해야하는데 끝이 안날것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8451 민생지원금 주민센터가면 그 용도로만 쓰는 카드로도 받을수있나.. 6 잘될 2025/07/23 1,676
1738450 아들 친구네 집 초대ᆢ 답례 아이디어 부탁드려요 11 여름방학 2025/07/23 1,377
1738449 민생자금 사용기 11 참참 2025/07/23 2,281
1738448 변기수리시킨 강선우 아직도 버티네요. 26 대단타 2025/07/23 1,595
1738447 시어머님이 작년 요추 5번 압박골절로 6 맏며느리 2025/07/23 1,619
1738446 미용실 예약했는데 잠겨있어 기다리고 있어요.. 9 ㅁㅁ 2025/07/23 2,031
1738445 부동산, 자녀교육, 커리어 다 성공한 17 awgw 2025/07/23 2,968
1738444 공모주 3 청약 2025/07/23 825
1738443 ㅋㅋ 동네 인사무새 초딩 만낫는데여 9 안녕하시렵니.. 2025/07/23 2,242
1738442 기초수급자는 '남색'…소득별로 소비쿠폰 색상 달리한 광주시 '황.. 11 ... 2025/07/23 2,691
1738441 시험볼때 도시락으로 빵을 싸달라네요 8 ㅇㅇ 2025/07/23 1,409
1738440 최강욱 아버님 하늘나라로 가셨나봐요 22 ... 2025/07/23 4,510
1738439 대학생아이 둘 용돈? 23 사랑해^^ 2025/07/23 2,330
1738438 날이 더우니 운동 효과는 있네요 10 그치만 시러.. 2025/07/23 2,331
1738437 소상공인 부담경감 매출신고 증빙자료 제출하라는데.. ㅇㅇ 2025/07/23 526
1738436 요즘 아파트는 콘센트를 많이 안만드나요? 12 2025/07/23 2,795
1738435 초3 아이... 친구엄마들... 7 .... 2025/07/23 1,600
1738434 민생지원금 오프라인발급과 온라인발급 차이 1 ㄱㄱ 2025/07/23 1,501
1738433 ‘경청·소통’ 강조해온 이 대통령, 강선우 여론에는 ‘침묵’ 일.. 9 ㅇㅇ 2025/07/23 1,013
1738432 욕창 부위를 자꾸 긁은데 어디 방법 없을까요? 2 2025/07/23 610
1738431 Pd수첩 부산 브니엘예고 사건 보셨나요? 5 부산 2025/07/23 2,935
1738430 박주민 인스타 보고 실환가 싶어서 들어가봤는데 진짜 오세훈 유튜.. 5 5세돌았나 2025/07/23 2,792
1738429 갑상선저하 약 안먹고 좋아지신분 계셔요? 5 ... 2025/07/23 958
1738428 초등 수학문제 다운 받을 곳 있을까요? 5 2025/07/23 561
1738427 제가 82쿡 막내겠죠? 21 ㅇㅇ 2025/07/23 2,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