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보면 너무 뭐 달라는 사람만 옆에 남아있는 느낌? 그리고 일반적인 사람들도 있기는 한데 제가 얼만큼 줘야 하는지 그런 경계를 잘 모르겠어요 그런거 생각 안 하고 만나면 참 좋겠는데....
그러다보니 사람들이랑 만나고 오면 기분이 좋은 건 아주 소수고 대부분은 좀 스트레스 받아요 내가 뭐 잘못한 건 없나 이런 식으로 되돌아보게 되고..
항상 보면 너무 뭐 달라는 사람만 옆에 남아있는 느낌? 그리고 일반적인 사람들도 있기는 한데 제가 얼만큼 줘야 하는지 그런 경계를 잘 모르겠어요 그런거 생각 안 하고 만나면 참 좋겠는데....
그러다보니 사람들이랑 만나고 오면 기분이 좋은 건 아주 소수고 대부분은 좀 스트레스 받아요 내가 뭐 잘못한 건 없나 이런 식으로 되돌아보게 되고..
주긴 뭘 줘요??
정보를? 물질적인 것을?
딱히 누군 만날 때 뭘 준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없는데요.
기브앤테이크죠..뭘 주나요.
도움이나 정보 같은 거요 아니면 물질적인 것들요
성장힐 때 양육환경이나 주양육자와의 관계를 살펴보세요.
조건이 있고, 그걸 수행해야 사랑이나 관심, 격려나 칭찬을 받을 수 있었는지 해서요.
윗님 네 그래서 부모님 둘 다 안 봐요
웃긴건 저런 사람들이 다 부모님보다는 편해요 ㅎㅎㅎㅎㅎ
부모님이 학비 같은 걸 안 준 건 아니예요
묘하게 힘든게 쌓이고 쌓여서 이제는 보면 체하고 해서 안 본지 몇년 되었어요
부모도 저한테 무심했는데 다른 사람들이라고 뭐 별건가 싶기도 한데 남들은 잘 만나고 잘 사는 거 같은데 왜 나는 맨날 혼자가 안심이 되나 궁금해요
사람 싫은데 이유가 있나요.. 그냥 혼자인 게 편하고 제일 좋은 사람들이 있어요. 그게 남에게 피해를 주는 것도 아닌데 하고 싶은대로 살면 되죠. 전 직장 다니는데 딱 정말 제 할일 하고 집에 와서 헬스 필라테스 요가 하고. 밥 해먹고 혼자 하고 싶은 거 하고 놀아요. 물론 아이 있고 남편 있는데 아이는 시터가 보고, 남편은 남편대로 할 일 하고.. 그렇다고 사이가 나쁜 것도 아니에요. 그냥 자기 일에 각자 집중할 뿐. 이런 사람들의 최대 강점은 자립심이 엄청 강하고 모든 걸 혼자서도 해내요. 어느 누가 중간에 사라져도 인생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거죠. 심적 동요가 별로 없죠.
부모도 저한테 무심했는데 다른 사람들이라고 뭐 별건가 싶기도 한데
2222222222
----
저도 부모님이 무심하고 귀찮아하는 스타일이었어요.
자식한테 상냥하고 절절매고 그런 부모들 보면 신기할 지경...
부모랑 관계가 그래서 그런지 다른 인간들한테도 별 기대 없고
제가 적당히 잘해줘도 돌아오는 건 딱히 없고 해서
인복도 없고 인간관계를 안 하는 게 더 편하더라구요.
스트레스 안 받게 아주 소수랑만 연락하고 지내요.
부모도 저한테 무심했는데 다른 사람들이라고 뭐 별건가 싶기도 한데
2222222222
----
저도 부모님이 무심하고 귀찮아하는 스타일이었어요.
자식한테 상냥하고 절절매고 그런 부모들 보면 신기할 지경...
부모랑 관계가 그래서 그런지 다른 인간들한테도 별 기대 없고
제가 잘해주고 좋은 정보줘도 돌아오는 건 딱히 없고 해서
인복도 없고 인간관계를 안 하는 게 더 편하더라구요.
스트레스 안 받게 아주 소수랑만 연락하고 지내요.
그렇다면 관계형성을 처음 시작할 때 잘 못 하고 계신가 봐요.
상대가 어떤 필요한 부분이나 그간 해결이나 어려웠던 부분에 대한 소회나 하소연을 할 때에 본인이 아는 인맥이나 자원, 시간, 정보를 동원할 수 있다고 타인에 비해 선뜻 얘기하는 사람일 수 있어요.
상대의 직접적 요청이 있었는가 아닌가가 도울지 말지를 “생각“이라도 해보는 기본 세팅이예요.
주변에 그런 사람이 많다면 그들에게 의도했든 안 했든 뭔가 밑밥을 낚시를 던진 사람들에게 준 건 자신이예요.
누군가의 고민거리를 들어주고 해결을 위한 도움을 잘 주는 것이 유대감을 돈독하게 하지는 않아요.
그렇다면 관계형성을 처음 시작할 때 잘 못 하고 계신가 봐요.
상대가 어떤 필요한 부분이나 그간 해결이나 어려웠던 부분에 대한 소회나 하소연을 할 때에 본인이 아는 인맥이나 자원, 시간, 정보를 동원할 수 있다고 타인에 비해 선뜻 얘기하는 사람일 수 있어요.
상대의 직접적 요청이 있었는가 아닌가가 도울지 말지를 “생각“이라도 해보는 기본 세팅이예요.
주변에 그런 사람이 많다면 그들에게 의도했든 안 했든 뭔가 밑밥을 낚시를 던진 사람들에게 준 건 자신이예요.
누군가의 고민거리를 들어주고 해결을 위한 도움을 잘 주는 것이 유대감을 돈독하게 하지는 않아요.
아니면, 원가족에게서 싫었던 부분을 민감하게 알아차릴 수 있어서 그런 사람들이 아주 쉽게 식별해지고 싫을 수 있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