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야근하는 문화만 없어져도 출산율 올라갈걸요

ㅇㅇ 조회수 : 1,930
작성일 : 2023-12-04 13:57:44

자기 아이도 돌보지 못하는 사회가

무슨 희망이 있나요.

 

아이는 낳아서 기관에 맡기고 남의 손에 맡기고

그렇게 아이 키울라면 뭐하러 낳나 싶죠

이게 지금 20대 생각입니다.

 

오늘 회사 인턴 하고 있는 후배들과 밥먹으면서 들은 이야기입니다.

 

IP : 223.39.xxx.204
3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대기업
    '23.12.4 1:59 PM (175.223.xxx.35)

    다니는 동생왈 요즘은 부부 둘다 의무적으로 육아 휴직 쓰라 한다네요. 야근은 출산률과 상관없어보이고요

  • 2. ...
    '23.12.4 2:01 PM (223.62.xxx.87)

    요즘 젊은애들 워라벨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데요
    예전만큼 야근하는 직종도 별로없어요

  • 3. ..
    '23.12.4 2:01 PM (61.40.xxx.45)

    육아휴직 남자들도 의무화하고 여성의 부담을 덜어주는 인식전환과 사회적인 합의가 생기면 출산률 올라가요

  • 4. 00
    '23.12.4 2:02 PM (1.242.xxx.150)

    야근은 출산율 높던 옛날에 더 많았어요

  • 5. ...
    '23.12.4 2:03 PM (123.142.xxx.248)

    주52시간 하면서 야근 많이 줄지 않았나요?(다시 이걸 폐기하려는게 문제긴합니다만..)
    그보다..안정된 직장이 많이 줄어서인거 같아요.
    20년전에..1000명 이렇게 뽑던 대기업에서 작년에 50명 뽑았대요.
    부서에 한명 들어온 신입사원도 서울대...
    세종시가 출산율 높은게 그래도 공무원부부들이 사니까 그런거 아닌가요?
    주52시간이랑 상관없는 자영업,일용직,소기업...이런데 근무하니까 결혼은 꿈도 못꾸는듯..

  • 6. …….
    '23.12.4 2:04 PM (114.207.xxx.19)

    야근 안해도 6시에 컴퓨터 끄고 집에가면 8시인걸요.
    저 외국에서 일할 땐, 근무시간을 유연하게 지정할 수 있고 점심시간이 따로 없어서 8-4가 가능했어요. 아이있는 사람들 8-4 많이 했죠. 4:30이면 아이 픽업해서 여름에는 해가 기니 놀이터에서 놀다 들어가도 집에가서 가족이 함께 저녁 먹을 수 있어요.

  • 7. 언젯적
    '23.12.4 2:05 PM (110.92.xxx.60)

    시절 야근입니까?
    요즘은 1.5배 야근수당에 기본이 칼퇴
    3일만 출근하고 일이 밀려진 특수경우 같은 자발이 대부분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도 법 무서워 야근이 없어요
    있어도 돈 때문에 하지

  • 8. ㅇㅇ
    '23.12.4 2:05 PM (223.32.xxx.135)

    저도 대기업이예요
    야근 하는 부서 아직많아요

  • 9.
    '23.12.4 2:06 PM (125.176.xxx.8)

    부부가 번갈아 가면서 아이가 클때까지만 3시경에 퇴근할수 있다면 출산율이 올라갈수도 ᆢ
    아이 둘 낳는 부부에게는 청약점수 후하게 주고 ᆢ
    나라가 소멸되는것 보다는 ᆢ

  • 10. ...
    '23.12.4 2:07 PM (211.234.xxx.191)

    강제 야근이 있다구요? 3교대도 아니고
    공짜 야근도 아니잖아요.

  • 11. 글쎄요
    '23.12.4 2:13 PM (118.221.xxx.87)

    저 공무원이고 육휴 보장되고 육아시간도 있지만 딩크예요.

  • 12. ㅇㅇ
    '23.12.4 2:21 PM (211.250.xxx.136)

    젊은 여자들의 생각은 아직도 맞벌이 살림,육아에대해 절반을 할 의지가 없는 남자들이 많아서 혹여 결혼 출산후 독박쓸까 두려워 한다네요 사회의 경력단절, 임금차별 줄어든다고는 하나 다 존재하고 피해보고 있답니다

  • 13. ……
    '23.12.4 2:21 PM (114.207.xxx.19) - 삭제된댓글

    와~ 회사가.. 근무시간 딱딱 정해진 생산직 현장직만 있는 게 아니에요.
    연봉계약하는 사무직군, it업종들도 시간외 수당 같은거 따로 없고 일이 몰리는 시기나 프로젝트 등이 있으면 야근하죠. 밤샘도 하고.. ㅠㅠ 에휴 예전같이 상사 눈치보면서 남아있는 건 없어졌지만요.

  • 14. ……..
    '23.12.4 2:22 PM (114.207.xxx.19)

    와~ 회사가.. 근무시간 딱딱 정해진 생산직 현장직만 있는 게 아니에요.
    연봉계약하는 사무직군, it업종 중에도 시간외 수당 같은거 따로 없고 일이 몰리는 시기나 프로젝트 등이 있으면 야근하죠. 밤샘도 하고.. ㅠㅠ 에휴 예전같이 상사 눈치보면서 남아있는 건 없어졌지만요.

  • 15. ..
    '23.12.4 2:22 PM (106.101.xxx.56) - 삭제된댓글

    야근하는 곳 여전히 많아요

  • 16. 3~4시
    '23.12.4 2:23 PM (121.162.xxx.227)

    퇴근 좋네요
    일찍 출근하구요

    근데 남자들도 효도나 사회적 어울림보다 육아를 멋지게 생각하는 문화가 자리잡아야되는데

    이건 매체의 역할이 크다고 봐요
    근데 그 매체가 뉴스, 드라마의 시대는 갔고

    인터넷 커뮤니티... 씨니컬 해 진지 오래됐죠

  • 17. ..
    '23.12.4 2:24 PM (106.101.xxx.33) - 삭제된댓글

    근데 야근 문제보다는
    살림, 육아에 대한 남자들의 인식이 많이 바뀌어야죠

  • 18. ㅇㅇ
    '23.12.4 2:43 PM (118.235.xxx.71)

    우리회사 기준으로 보자면 퇴근시간 1시간 빨라지면 1시간 더 술먹을거에요.

  • 19. ...
    '23.12.4 2:43 PM (112.168.xxx.69)

    매우 공감합니다.

    옛날에야 외벌이고 남자들만 일했으니 육아는 여자들한테 맡겨버리고 야근할 수 있었죠. 하지만 지금은 맞벌이 시대인데 그때처럼 기업들이 똑같이 야근하길 바라니. 미혼이거나 결혼해도 애를 낳을 수가 없어요.

    다들 대기업만 다니는 거 아니잖아요. 야근 안 하면 실적 안 나와서 눈치보이는 곳 많아요. 솔직히 대기업도 실무자들은 일을 터무니 없이 많아 줘서 야근 안 하면 고과가 잘 나올 수가 없죠. 저도 대기업 다닐 때 애키우면서 야근 한다고 얼마나 힘들었는지 몰라요 12시간 시터를 고용해도 모자라서 시터분 퇴근하실때 택시로 애 같이 데려가시라고 하고 밤 12시에 자는 아이 안아서 데려온게 부지기수였습니다.

    기업들이 직원을 칼퇴근 시켜줘야 집에 가서 애들을 돌볼 수 있어요. 남자들만 일하던 옛날기준으로 회사를 운영하니 저출산인 겁니다.

  • 20. 이분도
    '23.12.4 2:48 PM (121.88.xxx.195)

    언제적 이야기 하시나요?

  • 21. 그냥
    '23.12.4 3:06 PM (121.188.xxx.8) - 삭제된댓글

    요즘 젊은사람들은 희생하기싫은거예요.
    근무조건.성평등.남녀임금차별등등 아무리 완화해줘도
    결혼.출산안해요.왜냐면 아이낳아서 돈쏟아붓고 희생하기싫기때문이에요.울집아이들도 저희부부보면서 절대 결혼안한대요.본인 입으로 자긴 이기적이라 아이키우는데 돈많이들고 희생하면서 아이낳기싫대요.
    물론 결혼도 안한다고..

  • 22. 아이 낳고
    '23.12.4 3:08 PM (211.206.xxx.180)

    키울 만한 안정된 직장이 한정돼 있어요.
    자산 많은 집 제외.
    평범한 일반 서민들 최소 정규직 맞벌이 돼야 애 낳죠.
    애 낳으면 일단 돈 쓸 일은 점점 많아지는데..

  • 23. ...
    '23.12.4 3:25 PM (106.101.xxx.13) - 삭제된댓글

    이건 님이 잘못 생각하시는 거예요.
    저 91학번이고 대기업 10년 일하다 지금은 다른일 하는데
    저희때 야근은 진짜 안하는 날이 드물었어요.
    시기별로 야근수당 없이도 야근 해야 할때도 있었구요.
    프로젝트 마감땐 거의 맨날 12시구요.
    그때는 출산율 걱정 많이 할때가 아니었고
    딩크 부부가 보기 드문 시절이었네요.

  • 24. 야근아니라도
    '23.12.4 3:29 PM (110.15.xxx.45)

    정시퇴근해도 일하면서 아이 키우기 힘들어요
    집에 아이 찾아 귀가하면7시
    쉬지않고 밥해서 먹고 씻기고 조금만 놀아줘도 10시죠
    쉴 시간없이 내일 아침식사 준비하고 애들 등원등교준비하다보면 ㅠㅠ
    요즘애들은 누군가의 빡쎈 노동이거나 돈이 들어가지 않으면 일상이 굴러가지 않는다는걸 너무나 잘 알죠
    저라도 아이 낳는것 신중해질듯.

  • 25. 여자경제력이
    '23.12.4 5:42 PM (123.199.xxx.114)

    좋으면 남자랑 같이 살 필요가 우선 없죠.
    그남자가 여자가 경제력이 없어도 친절하게 생활비 주고 여자만 사랑해준다면 출산율이 올라가죠.

    남자가 그런놈이 없으니 여자들이 인생 망가질까 결혼을 안하는거죠.

  • 26. ...
    '23.12.4 6:10 PM (211.234.xxx.191) - 삭제된댓글

    무슨 생산직 현장직이라고 ㅎㅎ
    아이티쪽있다가 빡시다는 광고기획 쪽으로 전형 의무 야근 거의 없습니다. 야근해도 수당이 무조건 배인데 돈 때문에 하는 경우죠. 프로젝트 때문이란거는 일 못하니 남는건데 무슨 야근으로 애를 못났는다고 그러시나요?

  • 27. ...
    '23.12.4 6:12 PM (211.234.xxx.191) - 삭제된댓글

    무슨 생산직 현장직이라고 ㅎㅎ
    아이티쪽있다가 빡시다는 광고기획 쪽으로 전향 옛날같은 의무 야근 거의 없습니다. 야근해도 수당이 무조건 배인데 돈 때문에 하는 경우죠. 아님 탄력으로 늦게 퇴근
    프로젝트 때문이란거는 일 못하니 남는건데 무슨 요즘 몇년사이 임원급 아니면 근무환경이 달라 사람이 나가요
    야근으로 애를 못낫는다고 그러시나요?

  • 28. ...
    '23.12.4 6:17 PM (211.234.xxx.191) - 삭제된댓글

    무슨 생산직 현장직만 야근없다 그러시나요ㅎ

    아이티쪽있다가 빡시다는 광고기획 쪽으로 전향 옛날같은 의무 야근 거의 없습니다. 야근해도 수당이 무조건 배인데 돈 때문에 하는 경우죠. 아님 탄력으로 늦게 퇴근이죠

    프로젝트 때문이란거는 일 못하니 남는건데 무슨 요즘 몇년사이 임원급 아니면 근무환경이 달라 사람이 나가요
    야근으로 애를 못낫는다고 그러시나요?

  • 29. ...
    '23.12.4 6:18 PM (211.234.xxx.191) - 삭제된댓글

    무슨 생산직 현장직만 야근없다 그러시나요ㅎ
    아이티쪽있다가 빡시다는 광고기획 쪽으로 전향 옛날같은 의무 야근 거의 없습니다. 야근해도 수당이 무조건 배인데 돈 때문에 하는 경우죠. 아님 탄력으로 늦게 퇴근

    프로젝트 때문이란거는 일 못하니 남는건데
    무슨 요즘 몇년사이 임원급 아니면 근무환경이 달라 사람이 나가요. 야근으로 애를 못낳는다고 그러시나요? 더 한 시절도 낳았어요

  • 30. ...
    '23.12.4 6:19 PM (211.234.xxx.191) - 삭제된댓글

    무슨 생산직 현장직만 야근없다 그러시나요ㅎ
    아이티쪽있다가 빡시다는 광고기획 쪽으로 전향 옛날같은 의무 야근 거의 없습니다. 야근해도 수당이 무조건 배인데 돈 때문에 하는 경우죠. 아님 탄력으로 늦게 퇴근

    프로젝트 때문이란것도 일 못하니 남는거죠
    무슨 요즘 몇년사이 임원급 아니면 근무환경이 달라 사람이 나가요. 야근으로 애를 못낳는다고 그러시나요? 더 한 시절도 낳았어요

  • 31. ...
    '23.12.4 6:20 PM (211.234.xxx.191) - 삭제된댓글

    무슨 생산직 현장직만 야근없다 그러시나요ㅎ
    아이티쪽있다가 빡시다는 광고기획 쪽으로 전향 옛날같은 의무 야근 거의 없습니다. 야근해도 수당이 무조건 배인데 돈 때문에 하는 경우죠. 아님 탄력으로 늦게 퇴근

    프로젝트 때문이란것도 일 못하니 남는거죠
    아님 재택으로 돌리는 경우도 천지네요
    무슨 요즘 몇년사이 임원급 아니면 근무환경이 달라 사람이 나가요. 야근으로 애를 못낳는다고 그러시나요? 더 한 시절도 낳았어요

  • 32. ...
    '23.12.4 6:23 PM (211.234.xxx.191)

    무슨 생산직 현장직만 야근없다 그러시나요ㅎ
    아이티쪽있다가 빡시다는 광고기획 쪽으로 전향 옛날같은 의무 야근 거의 없습니다. 야근해도 수당이 무조건 배인데 돈 때문에 하는 경우죠. 아님 탄력으로 늦게 퇴근

    프로젝트 때문이란것도 일 못하니 남는거죠
    아님 기간 재택으로 돌리는 경우도 천지네요
    요즘 몇년사이 임원급 아니면 근무환경이 달라 사람이 나가요. 야근으로 애를 못낳는다고 그러시나요? 더 한 시절도 낳았어요. 능력 때문이지 야근때문 아니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31593 요즘 애들 유행, '서울의 봄' 안보면 '너 전두환 지지자야??.. 15 전두광 2023/12/17 5,706
1531592 어제 동치미 방송 보신분 계신가요? (솔로특집) 3 .. 2023/12/17 3,531
1531591 친구와 지인은 뭐가 다를까요? 7 ..... 2023/12/17 2,502
1531590 다들 별로 추위를 안타시나봐요,......... 18 e 2023/12/17 7,109
1531589 조의금 봉투에.. 3 2023/12/17 2,565
1531588 피검사만 받는다면 뭐뭐 해볼까요. 1 .. 2023/12/17 985
1531587 자동차 정리 3 도레미 2023/12/17 1,488
1531586 영양제 약국에서 구입하시나요? 3 궁금해서요 2023/12/17 1,750
1531585 12월 만기인 정기예금을 올해 안찾으면... 6 ... 2023/12/17 3,230
1531584 암스테르담 여행일정인데... 혹시 오로라보신분 계신가요? 2 급여행 2023/12/17 1,073
1531583 60대가 퇴직후 할 수 있는 직업 ? 69 2023/12/17 26,874
1531582 서울의 봄 연기 32 2023/12/17 4,786
1531581 전국특파원 눈소식좀 전해주세요 1 터질거예요내.. 2023/12/17 719
1531580 트레이더스 푸드나 베이커리도 괜찮나용? 6 ㅇㅇ 2023/12/17 1,682
1531579 저는 모든걸 말하는 스타일이에요 38 2023/12/17 8,085
1531578 서울의 봄을 보고.... 13 낯선경험 2023/12/17 2,727
1531577 독감 걸렸는데 백신 맞아야할까요? 1 진달래 2023/12/17 1,049
1531576 초딩들 사이에서 명품패딩 안입으면 거지라는 기사 17 ㅇㅇㅇ 2023/12/17 5,517
1531575 루미오븐 쓰시는분 계신가요 3 베이킹 2023/12/17 1,051
1531574 내복입으면 다 될줄 알았는데… 14 ㅇㅇ 2023/12/17 7,466
1531573 예비고 인강 5 ... 2023/12/17 979
1531572 무통장 입금할때 입금자명이 다른 경우 1 ㅇㅇ 2023/12/17 1,432
1531571 티쳐스 보시나요? 6 .. 2023/12/17 3,917
1531570 홧병이라는게 유교로 부터 비롯된거 아닌가요? 10 한국정서 2023/12/17 1,703
1531569 헬스런닝머신에서 11 oo 2023/12/17 2,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