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4~7세 교육에서 제일 중요한게 "정서" 라는거 동의 하세요?

dd 조회수 : 2,787
작성일 : 2023-11-30 12:16:24

일반 유치원 가면 그 부분이 많이 충족 될까요?

유치원이 생각보다 중요한거 같아요 

한 인간의 인생에서요 ㅠㅠ 

IP : 119.69.xxx.254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11.30 12:17 PM (112.214.xxx.147) - 삭제된댓글

    정서는 유치원이 아닌 부모가 중요하죠.

  • 2. ㅇㅇ
    '23.11.30 12:18 PM (119.69.xxx.254)

    사회적 정서라 해야 하나..
    타인과의 교류에서 얻는거요

  • 3. ...
    '23.11.30 12:20 PM (122.36.xxx.161)

    아이마다 다르죠. 타고난 성향에 따라 좀 신경써야 하는 아이도 있고요.

  • 4. 알아서
    '23.11.30 12:20 PM (14.32.xxx.215)

    판단하세요
    부모와 가정에선 뭘 하나요...

  • 5. 유치원억
    '23.11.30 12:23 PM (58.148.xxx.110)

    12시간 이상 있나요?
    그게 아닌다음에야 아이정서에는 부모가 제일 중요하죠

  • 6. ..
    '23.11.30 12:33 PM (119.201.xxx.65)

    그래서
    어린이집 평가인증때
    무슨놀이 하자라고 말하면 학대라고
    무슨놀이 해볼까
    친구때려도 누가친구를 때려가 정서학대
    ㅇㅇ가 무슨 장난감이 가지고 놀고 싶어 기분이 안좋았구나 하지만 때리면 친구 마음이 아푸잖아 우리 저쪽에가서 같이 놀이할까
    장난감 뺏어도 뺏는거 아니에요가 정서학대 ㅇㅇ가 무슨장난감 자지고 놀고싶었구나 많이 가지고 놀았으니 양보할까

  • 7. 저는
    '23.11.30 12:40 PM (121.168.xxx.246)

    중요하다 생각되요.
    대학다니는 조카나 동네. 친구 아이들에게 물어봤는데 유치원 좋은기억을 가지고 있는 얘들이 많더라구요.
    그때 사회성. 도덕성 엄청 키워지고~.
    그 도덕성을 바탕으로 결국 커가는거 같아요.

    저희아이가 7세인데 영유도 고민하다 가서보니 영유랑 유치원이랑 교실도 교육관도 달라 저랑 교육관 맞는 유치원 보냈는데 너무 만족합니다.

    배워오고 생각하는게 다르다고 해야하나?

    매달 하나의 인성에 대해 얘기하고.
    친구들과 서로 배려도 하고 양보도 하고
    입장을 바꿔서도. 동화책도 다양하게 읽고. 동요도 좋은 창작 동요 많이 부르고~ 그 안에서 커가는게 좋더군요.

  • 8. 엥?
    '23.11.30 12:42 PM (49.175.xxx.75) - 삭제된댓글

    처음 사회기관에서 적응하면서 일어나는 무제를 해결하며 생기는 피곤함을 ? 치유받는곳이 가정이죠 그 가정에서 얼마나 믿음직하게 치유받는 공간이 되는건 양육들이고요

  • 9. 암튼
    '23.11.30 12:44 PM (121.168.xxx.246)

    요즘 아이덕에 제 도덕관도 다시 둘러보고 함께 유치원 생활 얘기하며 저는 제가 많이 자랐어요.
    인성도 감사에 대해서도 배려도 유머도~ 다시 아이에게 배웁니다.

    매주 배워오는 창작동요 함께 부르며 다시 열심히 살아야겠다 다짐도 하구요^^~.

    포기하지마 할 수 있어.

    난 내가 좋아.

    창착동요 들어보세요.
    너무 좋습니다

  • 10. 살아보니
    '23.11.30 12:48 PM (125.179.xxx.40)

    교육 백년대계는 사라진지 오래 같아요.
    어린이집
    유치원
    그냥 보육 기관 같아요.
    마이쮸 미끼로 교육 시키고
    아이돌 댄스 틀어주고
    캐릭터 만화영화 보여주고


    요즘 현실 보고 좀 놀랐어요
    어쩔수 없는 현실인지는 모르겠지만
    티비 나오는 학대 수준만 아니어도 감지덕지
    해야 하는지

    정서교육요?
    글쎄요.

    답은 없네요

  • 11. ㅇㅇ
    '23.11.30 12:51 PM (106.102.xxx.133)

    전 어릴때 일반유치원에서 기억이 안좋아서…
    아이는 일유 안보냈는데 각자 경험에 따라 다르겠죠
    유치원에서 기억이 너무 좋았으면 대를 이어 보내는 사람도 있을거구요

  • 12. ....
    '23.11.30 12:54 PM (118.221.xxx.87) - 삭제된댓글

    애초에 한명한명이 돈 인 곳에 많은 걸 기대하나요?
    정서는 가정에서 채워줘야죠.

  • 13. 아휴
    '23.11.30 1:07 PM (118.235.xxx.164)

    일반유치원이라고 크게 다를거 없습니다 요새 누가 남의애들을 내 애처럼 봐주나요

  • 14.
    '23.11.30 1:42 PM (121.162.xxx.174)

    하지만 그 몫은 가정에서죠

  • 15. 정서를
    '23.11.30 1:48 PM (211.250.xxx.112) - 삭제된댓글

    신경쓰려면 유치원이 아니라 또래랑 놀이터에서 놀아야죠.

  • 16. 유치원은
    '23.11.30 2:30 PM (211.250.xxx.112)

    학교입학전 단체생활을 익히는 곳이죠. 정서가 중요하지만 정서가 교육의 대상은 아니라고 봅니다. 유치원 마케팅에서 정서는 중요한 아이템이지만 그렇다고해서 그 유치원에 보내면 정서발달이 잘되는 것도 아니죠.

  • 17. ...
    '23.11.30 2:37 PM (223.38.xxx.34)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가르치는 내용 중요하지만 올바른 가치관이 애들에게 먹히는 건 그 애 자체가 어떠냐가 더 중요한 것 같아요. 불안정한 가정에서 자라는 애가 유치원 간다고 정서적으로 나아지지 않아요. 애들 보면 어떤 기관 나왔냐는 안 중요해보여요. 타고난 성정 + 가정환경(부모의 천성, 교육수준, 인성교육, 가정불화) 영향이 거의 전부임.

  • 18.
    '23.11.30 5:49 PM (175.213.xxx.37) - 삭제된댓글

    정서가 안중요한 시기도 있나요? 적어도 0-19살까진 늘 가장 중요하고 그 중심은 가정이지요
    가정과 부모가 올바르면 아이도 부모보고 바로 자랍니다

  • 19. 정서는
    '23.12.1 10:54 AM (211.36.xxx.147)

    정서는 가정에서 부모와...
    유치원은 보육의 개념정도.
    친구와 잘 지내다 오는 기관정도로
    생각함 될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31089 전문대 유망학과 추천부탁드립니다 8 학과추천 2023/12/16 2,285
1531088 예비고 국어 준비 어떻게 해야하나요ㅠ 13 .... 2023/12/16 1,250
1531087 눈떨림이 오십견이랑 연관이 있다니 8 2023/12/16 2,504
1531086 나의 인생 책들..추천해주고 싶은 책 알려주세요~~!! 35 독서하자 2023/12/16 4,038
1531085 아침에 딸 학원데려다주고 빵집에서 7 2023/12/16 3,258
1531084 미국에 보이로 전기매트파나요? 12 56 2023/12/16 1,791
1531083 남편과 같이 보려고요 49 내가 이상한.. 2023/12/16 12,770
1531082 국어 맞춤법 좀 설명해 주세요 7 ... 2023/12/16 934
1531081 윤과 재벌들 파리 술자리 관련 들은 찌라시 14 ㅋㅋㅋ 2023/12/16 6,258
1531080 알리익스프레스 결제 오류 알리 2023/12/16 562
1531079 평생 이러고 살았으면 좋겠어요. 37 입원중 2023/12/16 20,790
1531078 생수 어디꺼 드세요 12 눈오는아침 .. 2023/12/16 2,514
1531077 분당구축 빨래 오늘 안될까요 6 ㅇㅇ 2023/12/16 2,431
1531076 커피맛? 오십평생 몰라요 19 겁나무디다 2023/12/16 3,653
1531075 저보다 얼굴 큰 사람을 못 봤는데 어떻게 된 일일까요 19 2023/12/16 3,876
1531074 밑에 경북대 vs 국민대 고민하시는 지역 학부모님 글을 보고.... 52 Mosukr.. 2023/12/16 8,709
1531073 흰눈이 폴~폴~ (서울) 6 고요 2023/12/16 3,257
1531072 자식에 대한 간섭 16 무사히 2023/12/16 4,721
1531071 울산에 사는 동료가 서울에 왔는데요 5 ㅇㅇ 2023/12/16 3,853
1531070 아이가 연락이 안되면요. 18 .... 2023/12/16 5,330
1531069 보일러 예약해놓고 외출해야겠죠.. 1 1박 2023/12/16 1,681
1531068 대통령직에 대한 네이버 베댓 17 공감. 2023/12/16 3,690
1531067 대학선택 고민입니다 49 고3맘 2023/12/16 5,993
1531066 오레전 글인대 아파트 두채로 몰래 친정식구 살게 하자는 글 5 잠안와 2023/12/16 5,195
1531065 가난에 최적화된 인생 116 맞춤 2023/12/16 33,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