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2영어_모의고사 문제 함 보세요

영어 조회수 : 1,424
작성일 : 2023-11-29 23:03:34

2022년11월 고등학교2학년 

전국 모의고사 문제인데요.

 

글의 순서 파악하기이고

정답은 B C A 입니다.

 

아래는 해석이고요. 

정말로 진지하게, 본문과 해석이 이해가 되는지 궁금합니다..ㅠ

 

저는 유학도 다녀왔습니다..ㅠ

 

To an economist who succeeds in figuring out a person’s preference structure — understanding whether the satisfaction gained from consuming one good is greater than that of another — explaining behavior in terms of changes in underlying likes and dislikes is usually highly problematic.(A) When income rises, for example, people want more children (or, as you will see later, more satisfaction derived from children), even if their inherent desire for children stays the same.(B) To argue, for instance, that the baby boom and then the baby bust resulted from an increase and then a decrease in the public’s inherent taste for children, rather than a change in relative prices against a background of stable preferences, places a social scientist in an unsound position.(C) In economics, such an argument about birth rates would be equivalent to saying that a rise and fall in mortality could be attributed to an increase in the inherent desire change for death. For an economist, changes in income and prices, rather than changes in tastes, affect birth rates.

 
해석

한 사람의 선호도 구조를 알아내는 것, 즉 한 상품을 소비함으로써 얻는 만족도가 또 다른 상품을 소비함으로써 얻는 만족도보다 더 큰지를 이해하는 것에 성공한 경제학자에게는 행동을 기저에 있는 호불호의 변화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매우 문제가 많다. (B) 예를 들어, 베이비 붐과 그 후의 출산율의 급락이 변동이 없는 선호도를 배경으로 한 상대적 비용의 변화보다는 아이에 대한 대중의 내재적인 기호의 증가와 그 후의 감소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사회 과학자를 불안정한 입지에 놓는다. (C)경제학에서 출생률에 대한 그러한 주장은 사망률의 상승과 하락이 죽음에 대한 내재적 욕구 변화의 증가에 기인한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 경제학자에게는 기호의 변화보다는 소득과 물가의 변화가 출산율에 영향을 미친다. (A) 예를 들어, 소득이 증가할 때 사람들은 자녀에 대한 자신의 내재적 욕구가 그대로 유지되더라도 더 많은 자녀(또는 여러분이 나중에 알게 되겠지만, 아이로부터 오는 더 큰 만족감)를 원한다.

IP : 223.38.xxx.162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넝쿨
    '23.11.29 11:12 PM (114.206.xxx.112)

    내용 자체가 이해가 안가시는걸까요?
    Underlying=inherent desire/preference/likes and dislikes vs. relative changes in prices and income 이건 이해하실까요?

  • 2. dav
    '23.11.29 11:18 PM (112.153.xxx.63)

    현직 수능 영어 강사로서, 내용이 어려운 부분은 원문의 내용이 경제학 내용이거니와 해당 분야에서 새로운 내용과 관점이라 어려운 거고요.
    저 문제는 순서를 맞추는 게 출제 의도입니다. 원문이 이해되냐 아니냐는 개인의 역량 + 앞뒤 맥락(문제에는 나오지 않은 실제 원글)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

    요지는! 저 필자의 글의 흐름, 순서를 따라오고 있는지만 확인하는 문제입니다. 그리고 저 지문은 내용이 이해가 되는 편인데 해석이 오히려 에러네요

  • 3. 지문이 어렵네요
    '23.11.29 11:20 PM (58.78.xxx.150)

    이해를 완벽히 못 해도 답은 찾겠는데, 우리말 해석이 더 이해하기 어렵네요.ㅠㅠ

  • 4. 넝쿨
    '23.11.29 11:21 PM (114.206.xxx.112)

    저게 내용 자체가 어려우시면
    영어의 문제가 아니예요 국어 풀어보셔도 비슷할듯

  • 5. ...
    '23.11.29 11:23 PM (117.111.xxx.50) - 삭제된댓글

    해석은 이상하지만 원문은 이해됩니다.
    수학능력시험의 취지를 생각해보면 모의고사 지문이 학문적인 것이 당연하다 싶기도 해요.

  • 6. ...
    '23.11.29 11:24 PM (117.111.xxx.50) - 삭제된댓글

    해석은 이상하지만 원문은 이해됩니다.
    수학능력시험의 취지를 생각해보면 모의고사 지문이 저런 내용인 것이 당연하다 싶기도 해요.

  • 7. ……
    '23.11.29 11:49 PM (114.207.xxx.19) - 삭제된댓글

    음.. 사회과학전공자로서, 저런 해외 학술지 논문이나 칼럼들, 국내에 저런번역으로 출판된 책들이 수두룩한지라…
    한국대학이지만, 한국 관련 과목이 아니고서야 실라버스에서 번역 텍스트 보는 일은 드물고 영어원문으로 보는 일이 많아서, 수능지문이나 문제가 아주 현실적으로 느껴집니다. 용어 정의와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맥락을 이해하는 게 중요합니다.

  • 8. …….
    '23.11.29 11:53 PM (114.207.xxx.19) - 삭제된댓글

    음.. 사회과학전공자로서, 저런 해외 학술지 논문이나 칼럼들, 국내에 저런번역으로 출판된 책들이 수두룩한지라…
    한국대학이지만, 한국 관련 과목이 아니고서야 실라버스에서 번역 텍스트 보는 일은 드물고 영어원문으로 보는 일이 많아서, 불어 원분을 영어로 번역한 것, 러시아어를 영어로 번역한 글을 영어원어민이 아닌 한국학생들이 읽어야 하는 경우는 더욱 해괴한지라.. 번역수능지문이나 문제들이 아주 현실적으로 느껴집니다. 용어 정의와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맥락을 이해하는 게 중요합니다. 저런 수능영어를 안했더라면 대학에서도 힘들었을 것 같습이다 ㅎㅎ

  • 9. …….
    '23.11.29 11:54 PM (114.207.xxx.19)

    음.. 사회과학전공자로서, 저런 해외 학술지 논문이나 칼럼들, 국내에 저런번역으로 출판된 책들이 수두룩한지라…
    한국대학이지만, 한국 관련 과목이 아니고서야 실라버스에서 번역 텍스트 보는 일은 드물고 영어원문으로 보는 일이 많아서, 불어 원분을 영어로 번역한 것, 러시아어를 영어로 번역한 글을 영어원어민이 아닌 한국학생들이 읽어야 하는 경우는 더욱 해괴한지라..수능지문들이 아주 현실적으로 느껴집니다. 저런 수능영어를 안했더라면 대학에서도 힘들었을 것 같습이다 ㅎㅎ

  • 10. 영어과외샘
    '23.11.29 11:59 PM (118.235.xxx.242)

    문제 없이 평이하게 보입니다
    dav 님과 의견 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26335 동네멋집 재밌었는데 종영되네요ㅠ 6 82쿡쿡 2023/11/30 2,224
1526334 무너지고 있는 한국.. 2 ㄴㄴ 2023/11/30 2,813
1526333 찹쌀이 섞인 쌀 어찌 드시나요?? 7 2023/11/30 2,324
1526332 인사동.삼청동.가회동 쪽 한정식 어디가 좋아요? 7 ..... 2023/11/30 1,417
1526331 에그 샌드위치 6 .. 2023/11/29 2,842
1526330 17기의 위너는.............. 21 456 2023/11/29 6,342
1526329 열폭인지 정상인지 구분이 안가요 6 그냥 2023/11/29 1,234
1526328 미숫가루에는 우유 vs 물 vs 보리차 8 2023/11/29 1,937
1526327 사회생활 많이 해보신 분들 조언 좀.. 16 이해 2023/11/29 4,090
1526326 척추 협착증으로 14 BB 2023/11/29 2,538
1526325 정부 '한국이 질 수도 있다는 보고를 한 번도 한적이 없었던 것.. 19 ... 2023/11/29 5,580
1526324 지금 듣고 있는데 너무 좋아서 링크 걸어요 5 고막힐링 2023/11/29 2,145
1526323 전두환은 아직 집에 시신 보관중이라던데 개인집에서 어찌해요 32 전두환지옥행.. 2023/11/29 20,821
1526322 부산 엑스포 개최 준비 시작 - 2014년 12 10년 2023/11/29 2,255
1526321 서울의봄보니 정말 속상하고 마음아파요. 5 . . 2023/11/29 1,897
1526320 띄어쓰기 퀴즈! 11 나나리로 2023/11/29 1,490
1526319 대구에 운전연수 선생님 소개 해주실 분 계실까요??? 1 궁금궁금 2023/11/29 449
1526318 건강검진 피검사 다시하라고 하는건 2 건강 2023/11/29 1,794
1526317 어르신 알뜰폰 하는데 얼마쯤 들까요? 5 ㅇㅇ 2023/11/29 1,058
1526316 고2영어_모의고사 문제 함 보세요 6 영어 2023/11/29 1,424
1526315 나솔남자들.. 21 흠흠 2023/11/29 5,910
1526314 시터 조건 어떤가요 10 ... 2023/11/29 2,100
1526313 돈이 엄청 많다면 식단은 18 ㅇㅇ 2023/11/29 5,208
1526312 어쩜 이러죠 제가 방금 누워서 가스배출했는데 8 실화 2023/11/29 3,248
1526311 호의가 계속되면 둘리가 된다고ㅠㅠ 4 ... 2023/11/29 2,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