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책을 많이 읽은 사람들은 어떤 면이 다른가요..?

독서 조회수 : 5,734
작성일 : 2022-08-19 16:32:49

책을 많이 읽은 사람은 어떤 면이 다른가요..?
지적인 면이 발달한다고 들었어요..
그외 독서의 장점이 있다면 뭐가 있을까요..?
본인이나
주변 지인중에 책 많이 읽은 분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IP : 119.17.xxx.158
3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2.8.19 4:34 PM (118.235.xxx.90)

    잘들어요. 경청할줄알고 재치가있어요.

  • 2. gma
    '22.8.19 4:35 PM (221.143.xxx.13)

    아무래도 생각이 깊어지죠
    책을 제대로 잘 읽었다면 겸손해지기도 하구요.
    책 속에서 배우는 게 많으니까요

  • 3. 자기생각만
    '22.8.19 4:37 PM (121.154.xxx.40)

    옳다고 고집하지 않죠
    책 한권 읽은 사람이 제일 무섭다는말

  • 4. 맞아요
    '22.8.19 4:39 PM (125.178.xxx.135)

    겸손할 줄 알죠.
    남들도 다 알겠거니 싶고요.
    이해심도 넓어지고요.

    단, 제대로 책을 읽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 5. 영통
    '22.8.19 4:40 PM (106.101.xxx.88)

    작가 황석영이 병원에 가니 무지랭이 할아버지로 보였는지 책 좀 읽어서ㅈ뇌 운동을 해야 한다고 했대요.
    책 다독으로 외모에서 유식해 보인다 지적으로 보인다 잘 몰라요.
    쓰는 단어와 대화 중 이해력 통찰력에서 티 나죠.

  • 6. ㅇㅇ
    '22.8.19 4:41 PM (119.194.xxx.243)

    단순히 책을 많이 그냥 읽는 경우는 모르겠는데
    한 권이라도 정독하며 잘 읽는 경우는 깊이가 다르죠.
    어떤 책을 읽느냐도 중요한 거 같아요.
    그냥 예쁜 말들 나열된 책들 요즘 많던데
    읽고 나서 허무한 경우 있어요..

  • 7. ㅁㅁ
    '22.8.19 4:48 PM (175.223.xxx.79) - 삭제된댓글

    최소 이틀을 2틀로 쓰진 않을거같은 ,,,

    남매키웠는데 큰아이는 주놀이가 책이었고
    작은놈은 하필 겜유행 시작시기여서 겜만 ㅠㅠ
    어려운 단어들 못알아들어요

  • 8. 선입견
    '22.8.19 4:48 PM (180.70.xxx.42)

    독서량과 상관없이 타고나길 통찰력에 재치있고 겸손하며 경청할줄알고 유연한 사고를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을 뿐이에요.
    제 주변에 독서모임하고 회자되는 책들 다 섭렵하는 지인 두세명있는 그들을 보니 독서와 인성은 참 별개구나싶어요.

  • 9. 운이
    '22.8.19 4:49 PM (219.249.xxx.181)

    나쁠수록 독서를 하라고 하죠.
    지혜와 통찰력이 생기면서 현재의 나를 돌아보게 되고 변화할려고 노력하게 되거든요.
    일희일비하지 않게 되고 마음이 안정되는것도 있어서 저도 다시 독서에 심취해봅니다.
    오늘 도서관에서 책 3권 빌렸고 서점가서 한권 샀어요.

  • 10. ...
    '22.8.19 4:51 PM (58.234.xxx.222)

    독서량과 상관없이 타고나길 통찰력에 재치있고 겸손하며 경청할줄알고 유연한 사고를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을 뿐이에요.22222222222

    제 주변에 겉멋으로 책 읽는것 같은 사람들이 간혹 있어요. 책 많이 읽는다고, 공부 많이 한다고 통찰력과 재치가 길러지지는 않는듯합니다.
    본인이 읽은 책 권수에 연연하며 자부심 갖는게 낙인 사람도 있어요.

  • 11. ..
    '22.8.19 4:52 PM (118.221.xxx.98) - 삭제된댓글

    독서와 인성은 별개 222

  • 12. ...
    '22.8.19 4:52 PM (220.116.xxx.18)

    책을 읽기만 하는 건 중요한게 아니고요
    그 뒤에 깊이 생각하는게 따라갈 때, 독서의 효과가 제대로 반영되는 거고요
    그냥 많이 읽기만한다고 중요한 건 아닌 것 같아요
    낱낱의 지식이 아무리 많아도 제대로 생각해서 거기서 통찰을 이끌어내지 못하면 그냥 지식창고일 뿐
    사길 거기 머무르는 사람도 많아요

  • 13. dlfjs
    '22.8.19 4:54 PM (180.69.xxx.74)

    어휘력 이해력이 좋죠

  • 14. 아무
    '22.8.19 4:58 PM (211.117.xxx.139)

    관련없어요~
    어떤 사람이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달라지는것뿐.

  • 15. 아는 게 힘일 듯
    '22.8.19 5:01 PM (59.28.xxx.63)

    그러나 인성과는 별개인 듯

    책을 많이 읽어도 그것을 자신의 삶과 현실 세계에 잘 녹이려는 노력을 안하는, 못하는, 했다고 착각하는,
    그런 사람들이 많은 듯.. 겉만 지식인..

  • 16. 지나다
    '22.8.19 5:03 PM (119.71.xxx.60) - 삭제된댓글

    시야가 넓어지고 사고가 깊어요

  • 17.
    '22.8.19 5:04 PM (39.123.xxx.168) - 삭제된댓글

    제가 외국 나가 사는 동안 한글이 너무 보고파서
    친구가 선물 보내면서 박스 위에 덮어 온 신문까지 소중하게 보곤 했는데요
    -그땐 그랬-
    그곳 문화원을 발견하고 책을 어마어마하게 읽었어요
    공부도 해야하니 이번엔 반납만 하고 대출은 삼가자..
    마음을 먹고 가도, 또 빌리고 빌리고
    이러다 문화원 책들을 다 읽겠구나~ 싶을 정도로 봤는데
    책을 통해서 배운 많은 것들, 그로 깨달은 것들에 고마운 생각이 들며 스스로 기특해요

    많이 읽은 건 알겠고, 인성 더럽네~
    그런 분들 계시겠죠
    또 시건방져지며 인성 개되는 분들도 계시겠죠
    그나마 독서가 없었으면 더 개소리였을 수도 있어요
    여튼 저는 독서는 좋다는 결론입니다

  • 18. 확실한 건
    '22.8.19 5:04 PM (211.49.xxx.138) - 삭제된댓글

    사용하는 단어의 스펙트럼이 달라요.

    어휘력이 좋음.

  • 19. 문해력
    '22.8.19 5:05 PM (211.36.xxx.248) - 삭제된댓글

    좋아집니다. 어휘량 늘고요.
    인성 상관없습니다..

  • 20. ㆍㆍ
    '22.8.19 5:11 PM (175.119.xxx.110)

    독서량과 상관없이 타고나길 통찰력에 재치있고 겸손하며 경청할줄알고 유연한 사고를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을 뿐이에요.3333333
    ㅡㅡㅡㅡㅡ
    상간년이었던 여자가 그렇게나 독서광이었죠.
    도덕성은 책에선 못배웠나벼.

  • 21. ..
    '22.8.19 5:17 PM (211.215.xxx.213) - 삭제된댓글

    제가 책을 좀 읽은편인데요
    어느자리에서나 어느부류하고도 대화가 가능해요.
    도서관이 가까이있기도하고 책을 좋아해서 여러분야 책을 골고루 읽거든요.

  • 22. 정말
    '22.8.19 5:24 PM (221.164.xxx.72) - 삭제된댓글

    한시도 손에서 책을놓지않는 독신의 교사
    아이들이라면 이를 갈고
    돈 무지무지 밝히고 50넘어도 팔순의 노모가 차려주는 밥상받아먹고 형제들과는 전부 절연하고 주기적으로 외롭다며 노모 괴롭히고....
    도대체 저 여자에게 저 어마무시한 독서가 무슨 의미가있을까? 연구 대상임ㅡㆍㅡ

  • 23.
    '22.8.19 5:24 PM (14.55.xxx.239) - 삭제된댓글

    어려선 심심해서 읽었고,
    커서는, 커서도 심심해서 읽는 거 같아요.
    어려서 책 많이 읽는다고 선생님이 독후감, 글짓기 대회 이런데 내보냈는데, 너무 싫고 당혹스러웠어요.
    글 진짜 못쓰거든요. 지금도.
    계속 독서를 하는 이유가,
    호기심이 많은거같아요. 나이 들어서도.
    사람들의 생각이 궁금하고, 세상 돌아가는건 궁금하고, 우주 돌아가는게 궁금하고ㅋ
    예전에 돌아가신 엄마가 그랬어요. 책 좋아하면 게으르다고ㅋ. 책 좋아하면서 엄청 부지런했던 엄마였고, 책 좋아했지만 사회활동 엄청하신 외할아버지여서
    그 말 뜻은 지금도 모르겠어요.
    책만파서 사념에 빠지지말고, 열심히 행동하라는 뜻이었을까요?
    장점이 뭘까요?? 좀 덜 심심하고 혼자서도 잘 놀수 있다는점?

  • 24. 황석영
    '22.8.19 5:30 PM (14.32.xxx.215)

    말빨이 얼마나 좋은데...
    근데 뭐 독서량이라면 문단 최고일 이문열님도
    치매증세 있으시다니....
    독서는 그냥 취미에요
    그걸로 뭔가 성과를 바라는게 모순이죠

  • 25. 한마디로
    '22.8.19 5:33 PM (39.7.xxx.20) - 삭제된댓글

    박학다식해지죠.
    깊이는 없으나 두루두루 아는게 많죠.

  • 26. 독서로
    '22.8.19 5:48 PM (175.119.xxx.110) - 삭제된댓글

    얻는 이점은 분명 있음.
    버뜨
    양서를 자주 보고 잘 참고해서 독창성있게 체화하면 좋겠지만
    그냥 중독에 가까운 부류라면 글을 쓸때 말을 할때
    카피문구 미사여구 난해한 단어 남발
    인텔리 코스프레.

  • 27. 독서로
    '22.8.19 5:50 PM (175.119.xxx.110)

    얻는 이점은 분명 있음.
    버뜨
    양서를 자주 보고 잘 참고해서 독창성있게 체화하면 좋겠지만
    그냥 중독에 가까운 부류라면 글을 쓸 때 말을 할 때
    카피문구 미사여구 난해한 단어 남발
    인텔리 코스프레.

  • 28. ...
    '22.8.19 5:53 PM (58.234.xxx.21)

    여기 댓글들 처럼 그럴거 같은데
    책 많이 읽었다고 다 그렇지도 않음
    사고가 유연하지도 통찰력도 없든데
    결국 사바사

  • 29. 어설프게 읽으면
    '22.8.19 6:10 PM (49.174.xxx.232)

    어설프게 많이 읽으면 아는 척
    대화 중 응용
    똑똑한 척 다 이 세상을 아는 사람인 듯 말하는 사람도 많아요 책을 읽고 깊이 생각하는 마음과 사람과의 사회생활도 적절히 이루어져야 깊은 성찰이 되는 듯 해요

  • 30. B00
    '22.8.19 8:11 PM (175.223.xxx.88)

    황석영 작가에게 책 많이 읽을라고 말한 의사는
    어떻게 황석영을 모를 정도로 무식했을까요?
    동명이인이라고 생각했을까요?

  • 31. ㅇㅇ
    '22.8.19 8:30 PM (39.7.xxx.151)

    운이 없을수록 독서를 하라
    그럴수있겠네요

  • 32. ㄱㄴ
    '22.8.19 8:43 PM (211.112.xxx.173)

    다른건 모르겠고 말싸움을 잘합니다 ㅎㅎㅎ
    이미 머릿속에 쏴야할 말과 경우의 수가 다다다 대기 하고 있어요. 책속에 별별 캐릭터와 상황을 간접 경험해서 그런가봐요. 평소엔 말수가 없는편인데도요.

  • 33. 카톡에
    '22.8.19 9:49 PM (108.236.xxx.43)

    자기 읽은 책 올려놓는 사람 있는데
    아무 관련 없습디다. 더 못됐어요.
    그냥 나 많이 읽는 사람이야 자랑인듯.

  • 34. 22
    '22.8.19 10:06 PM (14.6.xxx.13)

    독서량과 상관없이 타고나길 통찰력에 재치있고 겸손하며 경청할줄알고 유연한 사고를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을 뿐이에요.
    제 주변에 독서모임하고 회자되는 책들 다 섭렵하는 지인 두세명있는 그들을 보니 독서와 인성은 참 별개구나싶어요.22

  • 35. ㅎㅎ
    '22.8.19 11:37 PM (180.66.xxx.124)

    국어 실력 보장되고요..최고대학 갔어요
    저는 어릴 때 문학을 너무 탐독해서 일찍 염세적이 됐어요
    20대 지나면서 그건 좀 나아졌고
    책은 자기한테 가장 좋은 거 같아요.
    언제 어디로든 다른 세계로 도망가서 빠져들 수 있고
    시간이 잘 가는 좋은 취미죠

  • 36. ...
    '22.8.20 9:37 AM (223.38.xxx.149)

    ...

    '22.8.19 4:52 PM (220.116.xxx.18)

    책을 읽기만 하는 건 중요한게 아니고요
    그 뒤에 깊이 생각하는게 따라갈 때, 독서의 효과가 제대로 반영되는 거고요
    그냥 많이 읽기만한다고 중요한 건 아닌 것 같아요
    낱낱의 지식이 아무리 많아도 제대로 생각해서 거기서 통찰을 이끌어내지 못하면 그냥 지식창고일 뿐
    사길 거기 머무르는 사람도 많아요



    -----‐-----------

    이말이 맞음
    그냥 많이 읽는거 소용없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90420 내 남자의 여자...다들 젊어요. 16 재미지다 2022/09/13 4,145
1390419 당뇨전단계이신 분들 8 건강 2022/09/13 3,840
1390418 사리면은 참 맛없지 않나요? 13 ㅇㅇㅇ 2022/09/13 1,896
1390417 중학생이 낮에는 안하고 너무 새벽(3-4시)까지 공부하는데..... 9 중등엄마 2022/09/13 1,994
1390416 아직도 왕실 있는 영국이 미개해 보여요. 26 ㅇㅇ 2022/09/13 3,075
1390415 소득공제 현금영수증 2 ........ 2022/09/13 449
1390414 거실 소파에 앉으면 냄새 혹시 전자담배냄새인가요? 5 2022/09/13 1,202
1390413 요즘 인테리어, 주방창문을 없애버리네요.. 13 후회할걸 2022/09/13 6,011
1390412 40원 .... 클릭 18 ㅇㅇ 2022/09/13 2,724
1390411 이제 남편과 한 침대에서 자야 될 것 같아요. 5 이젠 더 이.. 2022/09/13 5,234
1390410 BTS 군대갔으면 좋겠어요 23 아미 2022/09/13 3,050
1390409 4인 밥짓기... 스타우브 몇센치 해야할까요? 8 키친니 2022/09/13 2,424
1390408 하하하 이정재 대박이네요 9 자랑스러워 2022/09/13 5,797
1390407 이마가 볼록하고 번쩍번쩍거리게 할려면 어떻게 13 반짝 2022/09/13 3,932
1390406 당근이야기 10 오늘의 2022/09/13 1,945
1390405 집값 이번 하락장은 20 ... 2022/09/13 5,186
1390404 다육이 키우는 즐거움 4 2022/09/13 703
1390403 닥스 같은 유명메이커 잠옷 알려주세요 선물 2022/09/13 789
1390402 저 밑에 꾸안꾸 가고 꾸꾸가 온다는데 7 선견지명??.. 2022/09/13 5,418
1390401 운전한지 20년인데 자동차보험료 문의 12 질문 2022/09/13 1,329
1390400 명절나물 냉동해도 되나요? 4 나물 2022/09/13 1,151
1390399 부동산 너무 후회돼요 54 Rr 2022/09/13 29,870
1390398 오늘 삼성전자 날라가네요. 10 ㅇㅇ 2022/09/13 6,864
1390397 공정 3 공정을 밥 .. 2022/09/13 445
1390396 없이 결혼해서 잘 사는 부부도 많은데 43 ㅇㅇ 2022/09/13 6,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