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년 여름 서울대 졸업축사에서 이어령교수님의 축사가 인상적이어서 소개합니다. 요즘 초중생 예방접종때문에 말이 많은데 나와 남을 위한 마스크라는 말 대신 내아이와 다른 이를 위한 예방접종으로 대체해도 같은 뜻이 될듯 하네요.병중에 점점 여위셔도 의연해지시는 이어령교수님 생각하며 올립니다.
축사 전문
영광스러운 졸업식에 축사를 하려고 나왔지만 제 눈앞에서는 검은 카메라 렌즈만이 지켜보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자랑스러운 얼굴은 말할 것도 없고 축하의 꽃다발도 축하객들의 모습도 보이지 않습니다!
100년 가까운 서울대의 역사 가운데 오늘과 같은 졸업식을 치른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되겠습니까. 좋든 궂든 여러분들은 비대면 강의를 듣고 학위를 취득한 최초의 그룹에 속한 졸업생이 된 것입니다. 역설적으로 디지털 세계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10년 앞당겨서 학습하게 되었고 그리고 살결냄새 나는 오프라인의 아날로그 세상의 소중함도 깨닫게 되었을 것입니다. 강의를 듣는 수업만이 대학이 아니라 잔디밭 교정을 거닐며 사사로이 친구들과 잡담을 나누던 것 역시 대학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사실 말입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은 디지털 공간의 ‘접속’과 아날로그 현실의 ‘접촉’이 상반 대립하는 관계가 아니라 그것들이 하나로 ‘융합’한 디지로그 (digilog=digital x analog) 시대를 살아갈 주역이 된 것입니다.
또한 코로나 팬데믹을 퉁해서 나와 무관하다고 생각한 사람의 기침 하나가 내 일상의 생활을 뒤집어 놓은 상황도 겪었습니다. 그 영향으로 어떤 물질적 가치보다도 생명의 내재적 가치가 우선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고 그 순간 물질 자본이 생명 자본으로 전환하는 현장을 목격하게 되었을 것입니다.
이러한 코로나 팬데믹의 학습효과로 누구나 쓰고 다니는 똑같은 마스크 한 장에서도 새로운 의미를 찾아 낼 수 있는 시각과 생각을 얻게 되었으리라 믿습니다. 그래서 만약 누군가 여러분에게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이유를 물으면 “나와 남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답변할 것입니다. 간단한 대답 같지만 우리는 지금까지 그렇게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나를 위해서 쓴다”라는 사적/이기적 답변이 아니면 “남들을 위해서 쓴다”의 공적/이타적 답변밖에는 할 줄 몰랐던 것입니다.
오늘날같은 경쟁사회에서는 나[自]에게 득이 되는 것은 남[他]에게는 실[失]이 되고 남에게 득이 되는 것은 나에게는 해가 되는 대립관계로 형성되어 있었던 것이지요. 그래서 이것 아니면 저것의 이분법적 배재의 논리가 지배해 왔던 까닭입니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코로나 팬데믹으로 우리는 마스크의 본질과 그 기능이 그 어느 한쪽이 아니라 양면을 모두 통합한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 것입니다. “나를 위해 쓰는 마스크는 곧 남을 위해서 쓰는 마스크”라는 공생관계는 지금까지 생명의 진화를 먹고 먹히는 포식관계에서 남을 착취하는 기생관계로 해석해 왔던 편견에서 벗어 날 수 있게 한 것입니다.
똑같은 마스크를 쓴 얼굴이지만 그것을 쓰고 있는 마음에 따라서 포스트 코로나의 앞날이 결정될 것입니다. 상상해 보십시오. 70억의 세계 사람을 향해서 당신은 왜 마스크를 쓰고 있는가 물어보면 어떤 대답이 돌아 올까요. “나와 남을 위해서” 라고 말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정부에서 쓰라고 하니까 쓴다고 대답 할지 모릅니다. 오랫동안 획일주의 전제주의 밑에서 길들여진 사람들이 많은 까닭입니다.
여러분들은 자타(自他)와 공사(公私)의 담을 넘은 포스트 코로나의 시대를 만들어가는 주역들입니다. 지금 여러분들의 손안에 있는 학위수여증은 바로 우리의 미래를 담보하고 있는 보증서인 것입니다. 이것이 비대면으로 치루어진 졸업생 여러분들에게 보내는 저의 축하 메시지입니다.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어령교수 서울대 졸업축사
유종의 미 조회수 : 2,399
작성일 : 2021-12-11 11:22:30
IP : 112.169.xxx.175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아..
'21.12.11 11:28 AM (118.46.xxx.14)정말 석학의 혜안과 공공의 의미에 대한 가치가 드러나는 축사네요.
판에 박힌 번드르르한 말 한마디도 없이.2. .....
'21.12.11 11:31 AM (223.38.xxx.64)나와 남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포식관계가 아닌 공생관계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주역...
이어령 교수님 진짜 존경합니다.3. ……
'21.12.11 11:32 AM (210.223.xxx.229)너무 좋은 글이예요..
나를 위하는게 결국 남을 위하는 공생관계의 시대..
자타와 공사를 넘은 포스트 코로나시대라
시사하는 점이 많네요.
좋은글 공유 감사합니다.4. 음....
'21.12.11 11:51 AM (182.215.xxx.15)평생을 끊임없이 연구하시고 공부하시는 진정한 학자시죠.
내시는 책을 읽다보면
시대변화의 흐름을 읽어내고 사고하시는 것이
젊은이들보다 앞서시는 듯.
아... 정말 평생을 성장하시는 것 같아요.5. ㅡㅡ
'21.12.11 1:52 PM (223.62.xxx.133)덕분에 좋은 깨달음 감사합니다
6. 그렇군
'21.12.11 6:51 PM (114.201.xxx.215) - 삭제된댓글글이 너무 멋지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