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설대학생들은 사교육 많이 받았을까요
불우한 환경에 태어나서 남이쓰던 책쓰고
이비에스보고 그러면서 설대가고 의대가는 사람 있짆아요
이건 특이한 경우일거고
대체로 설대학생들
중고딩때 사교욱 많이 받았을까요
1. 요즘은
'20.8.21 4:49 PM (58.143.xxx.157) - 삭제된댓글불우한 환경에 태어나서 남이쓰던 책쓰고
이비에스보고 그러면서 설대가고 의대가는 사람 있짆아요
기균전형이라고 따로 있습니다.2. 당연
'20.8.21 4:49 PM (124.50.xxx.87)유치원부터 준비하더라구요
3. 97
'20.8.21 4:50 PM (223.39.xxx.82)97학번 서울대
영유부터다진
강남출신이 얼마나많던지 ㅎㅎ4. 요즘은
'20.8.21 4:51 PM (59.1.xxx.145) - 삭제된댓글죄다 엄청나게 과외받고 선행하는 애들이 학교도 잘가요
티비 인터뷰에는 했어도 안했다고 하는사람 많으니 그걸
그대로 믿는게 우습죠5. ㅇㅇ
'20.8.21 4:51 PM (119.192.xxx.58)100% 입니다.
물론 극히 소수는 아니겠지만...
설대에 강남 3구 애들 비율이 제일 높은 것으로 압니다..
그게 뭘 의미할까요?
학종 꾸미는데 수백~수천까지 씁니다.
스카이캐슬이 약간 과장은 있지만 현실을 어느정도 반영했죠...6. ..
'20.8.21 4:52 PM (119.69.xxx.115)거의 사교육이에요. 간혹 한두명 있을까말까죠
7. 아
'20.8.21 4:52 PM (58.143.xxx.157) - 삭제된댓글100%는 아니고요. 일부 안 받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머리가 전교권 아니고 전국권입니다.
그러니까 학원강사 따위는 씹어먹어버리는 수준의 머리를 가진 아이들이죠.8. 음
'20.8.21 4:52 PM (14.50.xxx.79)엄청 많이 받죠...학원다니면서 서브로 과외도 많이 해요.주말엔 교수들한테 과외받고,..
9. 기균 전형?
'20.8.21 4:53 PM (125.176.xxx.87)지역균형 할당제라고
한 학교에 전교 석차 순으로 3명 정도 티오 주는 것인데
울 아들 지균으로 설대 갔지만
과외는 한 걸로..10. 90년대생
'20.8.21 4:53 PM (183.98.xxx.95)제가 아는 아이들 다 사교육받았어요
영유부터 미국이나 영어권 6개월에서 2년정도
수학등...
물론 교과서에 충실하고 그런 아이도 있어요11. 기균
'20.8.21 4:55 PM (183.98.xxx.95)탈북민도 있대요
12. 아
'20.8.21 4:55 PM (58.143.xxx.157) - 삭제된댓글100%는 아니고요. 일부 안 받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머리가 전교권 아니고 전국권입니다.
그러니까 학원강사 따위는 씹어먹어버리는 수준의 머리를 가진 아이들이죠.
그런 사람을 본 적이 있는데 심지어 ivy 리그 박사가서도 진짜 잘하더라는....
오히려 같은 과 출신 사교육 범벅 강남 아이는 ivy 리그 박사과정을 좀 힘들어하는 경우도 있었어요.
식물로 보면 잡초 같은? 자갈에서도 꽃을 피우는?13. 지균
'20.8.21 4:56 PM (116.39.xxx.186) - 삭제된댓글지역균등전형이라고 지균으로 가는 일부 빼고는 특목고 아니면 강남 애들이 대부분이었대요. 지방 애들도 그 지역 1프로였다고 .. ...사교육으로 무장한 아이들...
14. 소심하게
'20.8.21 4:58 PM (210.205.xxx.7) - 삭제된댓글저희 아들이 사교육 거의 안받고 설공대 갔어요.
제가 능력없고, 혼자 키우느라 사교육 시킬 형편이 안돼서요.
그런데, 아들 말 들어보니
과친구들 대부분이 강남, 목동 사는 애들이라고 하더라구요.
과고 출신들이 많고, 일반고 출신은 몇명 안된대요.15. 글쎄
'20.8.21 4:59 PM (119.71.xxx.60) - 삭제된댓글요즘 학종에 스펙 쓰는거 수천 들인다구요?
아니오
요즘은 거의 성적으로 갑니다
물론 성적 잘 받을라고 사교육은 받겠지요
이건 서울대 아닌 다른곳도 그래요
사교육 받고 안되니 다른대학 가겠지요
사교육받고 다되면 숙명여고 사태는 왜 생겼을까요?16. 아
'20.8.21 5:01 PM (58.143.xxx.157) - 삭제된댓글기균은 기회균형 전형 또는 고른기회 전형으로 불리며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 국가보훈대상자, 유공자, 특수교육대상자, 장애인, 다문화가정, 사회공헌 및 기여자 등등을 정원 외로 뽑는 전형으로 지균 즉 지역균형선발과 다릅니다.
17. ㅇㅇ
'20.8.21 5:02 PM (110.12.xxx.167)외고출신 서울대 상위권 진학한 두명 아는데
최고의 사교육은 다받았어요
부모도 인정해요 사교육없인 안된다고
한명은 대치동 한명은 목동출신
여학생한명 남학생 한명인데
현재 검사와 변호사에요
부모들이 최고의 사교육 찾아주는것도 능력이던데요18. 학번에
'20.8.21 5:02 PM (211.36.xxx.13) - 삭제된댓글90년대초 입학생들
지방출신은 학원 안다니고 서울대 간 애들 많아요.
우리집에도 있고 저 학교다닐때 우리반애도 집이 어려워서 학원안다니고 서울대갔어요.
그땐 지방인문계고등학교마다 졸업생중 열명정도 서울대 갔어요.
93~94학번..19. 그게
'20.8.21 5:02 PM (106.102.xxx.83)사교육도 사교육이지만
사교육에 학종 생기부 작성 요령까지 파악해서
생기부 화려하게 작성해야 하는데
특목고 아니면 강남에서 1학년때부터 컨설팅 받은
아이들이 학종에서 유리한 거지요.20. 음
'20.8.21 5:03 PM (223.39.xxx.147) - 삭제된댓글사교육이 다가 아니죠
사교육 받고도 못가는 애들이 훨씬 많죠
머리는 어느정도 받쳐줘야 사교육빨도 먹히는거예요21. 서울대 일반전형
'20.8.21 5:03 PM (116.39.xxx.66) - 삭제된댓글경기도 모 산골 학교 2020 서울대 일번전형 14명 수시로 갔어요
사교육없이 공교육으로요
울 아이도 포함요
이런 경우 많이 봐서 수천 바른다는 말 보면 고개가 까우뚱~하네요22. ㅇㅇ
'20.8.21 5:04 PM (180.228.xxx.13)우리애 친한 친구가 의대다니는데 외제차 끌고다니는 강남사는 애들이 수두룩하대요
23. 아
'20.8.21 5:06 PM (58.143.xxx.157) - 삭제된댓글기균은 기회균형 전형 또는 고른기회 전형으로 불리며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 국가보훈대상자, 유공자, 특수교육대상자, 장애인, 다문화가정, 탈북자, 사회공헌 및 기여자 등등을 정원 외로 뽑는 전형으로 지균 즉 지역균형선발과 다릅니다.
24. 그게
'20.8.21 5:06 PM (106.102.xxx.83)그래도 정시는 조금은 공부머리로 고등학교와서 두각을 나타내거나 성적 오른 애들도 혜택을 받지요.
기본적으로 공부를 수월하게 하고 배우는 것 안 잊어 버리고 용량이 큰 애들이요.25. 그러게요
'20.8.21 5:06 PM (223.39.xxx.147)수천 들어간다는건 댓글본인 짐작인가보네요.
무슨 수천?
지금은 성적이 우선이고, 머리가 받쳐줘야 사교육도 먹혀요.
아무리 사교육 해도, 서울대 못가는 애들이 훨 많아요.26. 참고로
'20.8.21 5:08 PM (116.39.xxx.66) - 삭제된댓글설대 정시가 수시학생보다 우수하다고 댓들 다는것 보면 우껴요
설대 수시는 이미 학교에서 거의 원탑 아이들이고 모든면에서 탁월하야 가능해요
정시가 더 역량있다니 이것도 까우뚱~이네요27. ...
'20.8.21 5:12 PM (117.111.xxx.222) - 삭제된댓글제 아들도 사교육 거의 안했어요.
특목고였고 수학학원만 고2때까지 다녔고 고3땐 혼자했어요ㅡ 생기부도 본인이 알아서..
알아서 상타오고 알아서 학교지원하고..
그러다 둘째 키우니 힘들어 죽겄네요. 학원다녀도 성적도 안오르고. 돈아까워 죽겄서요. 지원 가능대학도 제가 골라주고 있어여 ㅠ 이 중에서 골라봐 이렇게..미팀..
돈도 둘째가 훨 많이 들었는데 학교는 인서울 끄트머리나 수도권 ㅠ28. 아
'20.8.21 5:13 PM (119.71.xxx.60)116님 말 맞는 듯..수시로 간 친구 그 학교 탑이었어요..정시로 간 학생도 수능 잘 봤고..결국 수시든 정시든 실력되는 애들이 가는거겠죠?
29. dlfjs
'20.8.21 5:13 PM (125.177.xxx.43)다 다르죠
지인네 애들은 학원도 별로 안다녔어요30. 머리만
'20.8.21 5:13 PM (116.39.xxx.186)머리도 우수한데 사교육까지 최고로 받는 애들이 서울대가던데요.
31. 서울대수시는
'20.8.21 5:14 PM (114.203.xxx.133)지균도 있고 일반도 있는데
지균은 솔직히 스펙트럼이 넓어요.
그리고 이과는 과탐2가 어려운데
정시는 과탐2 필수지만
수시는 과탐2 안 해도 되거나,
최저 맞출 때 제외시킬수 있어서 훨씬 수월해요.
수시 정시 비교하면
정시가 당연히 훨씬 더 들어가기 어렵습니다.32. 그게
'20.8.21 5:16 PM (106.102.xxx.83)정시가 수시보다 역량 있다 없다가 아니라
어릴때 부터 과도한 사교육으로 발르지 않아도
정시로 성공하는 아이들도 있다는 이야기 였습니다.33. 그게
'20.8.21 5:17 PM (106.102.xxx.83)지난번 수능 100점 맞은 아이도
병도 있는데 인강듣고 해서 100점 맞았잖아요.34. ㅇㅇ
'20.8.21 5:23 PM (211.36.xxx.97) - 삭제된댓글지금 대학생들은 출생년도가 2001년~1995년 정도 아닌가요.
90년대 학번들과는 세대가... ㅠ
사교육 안받아본 아이들이 적을걸요. 지균 아주 소수빼고는.35. 예전에
'20.8.21 5:23 PM (116.39.xxx.186)예전에 막노동하면서 학력고사 1등이었나?만점이었나? 뉴스에 인터뷰하던 분..
공부가 제일 쉬웠어요 책 쓴 분...
지금도 서울대 들어간 학생 중 1프로는 이런 케이스도 있을거에요..그런데 70프로는 80프로는 특목고 출신이나 강남 목동 출신이라고 들었어요.
우수한 유전자에 최고의 사교육으로 무장한 아이들이 대부분이라고요..36. 흠
'20.8.21 5:29 PM (14.58.xxx.16)위에
> 경기도 모 산골 학교 2020 서울대 일번전형 14명 수시로 갔어요
여기 한민고 아니에요?
학교에서 하나고 처럼 신경써주는 곳인데37. ㅇㅇ
'20.8.21 5:33 PM (39.7.xxx.177)아이 사교육 안 하고 서울대 의대 다녀요.
수시로 갔지만 정시로도 입학 충분한 성적 받았어요.
요즘 서울대 입학생은 제일 우수한 아이들이 과고 영재고 비롯한 특목고와 전사고,
그리고 강남 목동과 전국의 교육 특구에서 전교권으로 수시 입학한 아이들이고,
그 다음이 재수 없이 현역으로 정시 입학한 아이들 같아요.
지균이나 특목고 전사고 전교권 제외, 일반고 출신 일반전형으로 온 아이들,
재수삼수로 정시 입학한 학생들은 아주 우수한 아이들부터 여러 가지 운과 사교육 도움으로 온 아이들까지
그 스펙트럼이 엄청 다양한 거 같습니다.38. 글쎄요
'20.8.21 5:33 PM (14.58.xxx.16) - 삭제된댓글지균 어느 학교든 전1이 쉬운건 아니죠
근데 학교 수준차도 있으니 하는 말이 겠죠
정시는 동일한 시험을 치루잖아요?39. 흠님
'20.8.21 5:45 PM (116.39.xxx.66) - 삭제된댓글흠님
한민고 맞아요
물론 우수한 아이들이 기본 입학했지만 여기 사교육없이 수시로 메리저의 서울대 카이스트 포스텍 많이 가요40. 한민고
'20.8.21 5:57 PM (58.143.xxx.157) - 삭제된댓글한민고가요. 경기도 산골학교가 아니에요.
41. 아
'20.8.21 6:02 PM (58.143.xxx.157) - 삭제된댓글과고 영재고는 의치한수 못 가서 예전만 못해요.
경기과고도 2016까지는 20대 1이었으나 요즘은 10대1전후로 왔다갔다 서울과고는 7대1입니다.42. 수시는
'20.8.21 6:11 PM (14.58.xxx.16)공부도 공부지만 뒷받침되는 학교 활동이 있어야 가능해요
생기부 신경 써주는 교사도 있어야 하고요
한민고니까 되는거죠
(그리고 거긴 학교내에서 동일 조건이잖아요 모두 사교육 받기 힘든
그인에서의 경쟁인걸요)43. 아님
'20.8.21 6:12 PM (119.71.xxx.60)찾아보니 영재고가 서울은 원래 경쟁률이 높지 않았어요
거의 국대급 애들이 많이 가기 때문에 대부분 다른데 지원하죠
근데 21학년도만 봐도 경기과고가 떨어진 대신 세종영재가 20대1 넘는걸로 아는데요
대구도 16대1인가 그렇구요
다른 영재고도 아직 선방중이구요
의치한 못가게 하는건 예전부터 그랬던거고
단지 예전에는 암암리에 많이들 지원했으나
국가에서 이공계 인력을 키우려는 목적이 더 뚜렷해졌기에 요즘에는 자발적으로 더 의치한 안간다고 하던데요44. 아뇨
'20.8.21 6:14 PM (58.143.xxx.157) - 삭제된댓글한민고가요. 경기도 산골학교가 아니에요.
그럼 민사고는 강원도 산골학교인가요?
상산고는 전라도 소도시 학교고요?45. 음
'20.8.21 6:17 PM (58.143.xxx.157) - 삭제된댓글세종영재 작년에 30대 1이었어요.
올해 23.5대 146. ㅇㅇ
'20.8.21 6:17 PM (39.7.xxx.177)아이가 둘인데 2018년 정도부터 영재고 들어가기가 전체적으로 좀 쉬워지긴 했어요.
둘째 아이 친구들 보면 첫째 때에 비해 훨씬 쉽게 가는 느낌...
꼭 경쟁률의 문제가 아니라 정말 우수한 애들이 오히려 안 가는 거 같기는 해요.
의대 열풍 때문에 일반고 선택하는 아이들이 많아진 듯해요.
근데 지금 대학에 들어와 있는 영재고 출신들은 우수한 애들이 더 많아요.
사교육 글이니까 답하자면 사교육은 원없이 한 애들이죠.47. 그죠
'20.8.21 6:20 PM (14.58.xxx.16) - 삭제된댓글영재고 준비하는 애들
천둥이 여러집 있었어요
서교육비 한달에 천만원 드는 애들 ㅜ48. 움
'20.8.21 6:21 PM (58.143.xxx.157) - 삭제된댓글강남은 전과목 잘하는 전교권 애들 영과고 열풍 확 식었어요.
49. ...
'20.8.21 6:25 PM (58.148.xxx.122)100%는 아니어도 아마 95%는 되지 싶네요.
우리 딸은 외고에서 사교육 하나도 안했지만...고3때 현역으로는 못가고
재수해서 갔으니 사교육 안했다고 하기도 뭐하고요.
스카이캐슬 방송할 때 서울대 익명방에
내 주변에 저런 사람 많다,..는 글은 많이 올라왔대요.
본인이 저랬다는 얘기는 아무도 안하고.50. 쌍둥이
'20.8.21 6:47 PM (39.7.xxx.55) - 삭제된댓글두 아이 공교육비, 사교육비 합하면 얼추,
초, 중에 오 천, 고등에 일 억, 대학은 거의 장학금.
두 아이 초~대 교육비로 총 3억 정도 쓴 듯 해요.
초,중,고 통틀어 학군지의 전문학원 특목반, 대치 전문학원 팀교육 원없이 다닌 수준입니다. 저희가 중간수준 아닐까 짐작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