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유튜브를 정말 그렇게 많이보세요?
저만해도 광고 귀찮고 포인트만 대충 볼수가 없어서 (쓸데없는 대목도 다 봐야하니)
꼭 동영상으로 봐야하는 공연 뮤비 방송 등 말고는 읽는 사이트를 선호하거든요 요리 제품리뷰 등요
팔이회원님들은 어떠세요?
1. 저도
'19.1.18 9:25 PM (175.193.xxx.150)공연 뮤비 외엔 안 봐요.
동영상이면 일반 게시판에서도 건너뜁니다.2. 네
'19.1.18 9:27 PM (218.150.xxx.39)궁금한거 있으면 유튜브로
없는게 없죠
Tv는 아예 안봐요3. ...
'19.1.18 9:29 PM (58.148.xxx.122)궁금한거 검색하면 다 나와요.
영어로 검색할 줄 알고 이해되면 무궁무진.4. 이럴수가
'19.1.18 9:29 PM (180.69.xxx.167) - 삭제된댓글유튜브만큼 콘텐츠 다양한 곳도 없어요.
문화, 과학, 예술, 오락 등등등
현재 생산된 콘텐츠 뿐 아니라 과거의 것까지 거의 다 올라와 있습니다.
물론 쓰레기도 있지만 걸러 보면 되구요.
요리나 제품 리뷰도 전문 유투버가 만든 것이 월등합니다.
게다가 국경도 없으니 전세계 모든 컨텐츠를 영상으로 볼 수 있죠.
게임이 안돼요 아예5. 전
'19.1.18 9:30 PM (125.178.xxx.135)뉴스타파랑 방탄 영상만 유튜브 보네요.
6. 네 ㄷㄷ
'19.1.18 9:30 PM (180.69.xxx.167)유튜브만큼 콘텐츠 다양한 곳도 없어요.
문화, 과학, 예술, 오락 등등등
현재 생산된 콘텐츠 뿐 아니라 과거의 것까지 거의 다 올라와 있습니다.
물론 쓰레기도 있지만 걸러 보면 되구요.
요리나 제품 리뷰도 전문 유투버가 만든 것이 월등합니다.
게다가 국경도 없으니 전세계 모든 컨텐츠를 영상으로 볼 수 있죠.
40, 50년대 중국영화를 볼 수 있는 방법이 유튜브 말고 뭐가 있을까요?
게임이 안돼요 아예7. ..
'19.1.18 9:32 PM (49.1.xxx.99)유튜브가 최고에요.
8. ㄴㅇ
'19.1.18 9:32 PM (110.70.xxx.238)저도 평상시에 웹서핑 할 때는 동영상 건너뛰는데요
밤에 자기전에 작정하고 두 시간 정도 유투브 봐요.
정말 컨텐츠가 무궁무진해요9. 갈수록
'19.1.18 9:33 PM (1.245.xxx.76)유투브 많이봐요
궁금한 거 특이한 거 배우고 싶은 거
너무 다양해서 좋아요
어지간한 학원이나 강사보다 낫다 싶어요10. 음
'19.1.18 9:33 PM (125.132.xxx.156)영화 공연 등을 유튜브로 보는건 당연하겠지만 제품리뷰나 각종 리뷰 정보 등은 유튜브로 보면 필요대목만 건너뛰며 쓱 보는게 안돼 답답하거나 지루하진 않으세요?
11. 000
'19.1.18 9:33 PM (223.39.xxx.250)음악 듣는게 90프로입니다...
이거는 정말 물건이예요...^^12. ...
'19.1.18 9:34 PM (106.102.xxx.204) - 삭제된댓글저도 잘 안 봐요. 근데 유튜브는 10초든 30초든 일정 간격으로 이동하는 기능은 없나요? 스크롤해서 이동하는 수밖에 없는 건가요?
13. 음
'19.1.18 9:34 PM (125.132.xxx.156)아 정말 대세군요!
댓글들 읽으니 와닿네요 잘알겠어요14. 개똥맘
'19.1.18 9:35 PM (222.118.xxx.106)오른쪽에서 두번탭하면 10초후 이동
왼쪽에서 두번탭하면 10초전이동15. 헐
'19.1.18 9:35 PM (222.235.xxx.72) - 삭제된댓글https://youtu.be/SXz2_hcAPhs
알릴레오의 비밀... 개소름! 구독자가 몽땅 아랍어 계정?16. ㅇㅇ
'19.1.18 9:36 PM (211.54.xxx.194)60대 70대도 많이 봐요
가짜뉴스를 그렇게 열심히 볼 수가 없어요17. ㄷ
'19.1.18 9:36 PM (115.41.xxx.244)저도 방금 강의보다 들어왔어요
골라서 보기 참 좋네요18. ㅇㅇ
'19.1.18 9:37 PM (211.36.xxx.52)게으른 여자라서 레시피 적는것도 안하는데
쉐프의 요리 보면 암기돼요. 앞으로 연어초밥 유부초밥
양념게장 안사먹을거예요.
무용도보고 뮤지컬도 최애곡만
자기개발동영상, 책소개19. 다양
'19.1.18 9:39 PM (144.138.xxx.169)각 분야에 걸친 다양한 컨텐츠 많이 봅니다.
요즘 보는거 이지영 작가 재테크 부분 ,
김 미경 강사 네자매
김 미경 tv
포프리쇼
너무 많아요.20. 유튭최고
'19.1.18 9:39 PM (59.13.xxx.166)제가 사십대인데 몇년전부터 유튜브에서 옛날 80,90년대 팝, 락 뮤직비디오 찾아보고 그랬거든요.그러다보니 정말 컨텐츠가 없는게 없더라구요. 음악 좋아하는사람은 클래식부터 옛날 가요,여러 다른 나라 음악들도 다 아주 오래전 홍콩 영화 전성기때 나왔던 영화들도 영어자막 있으니 볼수 있고요. 무료로 올려져 있는 영화가 엄청 많더라구요 그리고 유명 교수 학자들의 강의도 볼수 있고 정말 너무 좋아요 그런데 저는 저만 유튜브에 열광하는 줄 알았는데 요근래 기사에 사람들이 유튜브 많이 본다고 하길래 ㅋ 역시 ㅋㅋ세상의 흐름이 그렇게 가는 구나 했네요
21. ㄴㄷ
'19.1.18 9:44 PM (116.127.xxx.212) - 삭제된댓글좋은 강의가 넘 많네요
22. ㅡㅡ
'19.1.18 9:44 PM (1.240.xxx.188)전 유투브 안봐요.
재미없더라구요23. 완전 좋죠
'19.1.18 9:47 PM (218.150.xxx.39)방탄만 봐도 볼게 넘쳐나고
알릴레오 ㆍ뉴스공장ㆍ다스뵈이다 ㆍ김창옥강연 매일 듣고
보헤미안 랩소디등등
책읽어주는 라디오(강추) 다운받아서
외출할때 수시로 들어요
유튜브만 있으면 혼자 살아도될정도로 좋아요24. ooo
'19.1.18 9:49 PM (118.223.xxx.219)노트북살때 일주일동안 유툽에서
리뷰 비교하고 샀어요
영어공부는 물론이고 아이한글 깨치는 거
아이들 푸른하늘 은하수같은 손유희
등등 최고의 참고서네요25. ...
'19.1.18 9:50 PM (175.223.xxx.188)저도 거의 안 보게되더라구요
광고도 귀찮고.....26. 깜놀
'19.1.18 9:52 PM (121.171.xxx.26) - 삭제된댓글얼마전까지 노인들 많이 만나는 일을 했는데 너무 놀랐어요
유튜브를 엄청 많이 보더라구요
할일없고 심심하니까 가짜뉴스같은것에 빠지는것같아요
답답하더라고요27. 쓸개코
'19.1.18 9:54 PM (218.148.xxx.123)저도 일하면서 음악 많이 들어요.
28. ...
'19.1.18 9:59 PM (180.68.xxx.136) - 삭제된댓글노인들 가짜뉴스 루트죠.
할 일없으니 하루종일.29. 살림의여왕
'19.1.18 10:11 PM (110.70.xxx.112) - 삭제된댓글뭐 뜯어 고칠때 요긴하더라구요
장농 경첩 조절할때 도움 받았고
대피실에 완강기를 어떻게 쓰는건가
유트브를 보고 알게 됐어요
요즘은 검색 엔진으로 쓰게되요30. 테레비안봄
'19.1.18 10:36 PM (134.147.xxx.157)인강도 유튜브에서 볼 수 있으면 돈 내고 볼 의향 있음
수많은 유튜버 선생님께 너무 감사함,
그런데 가짜뉴스에 빠지신 어르신들- 문제임, 보고싶은것만 보게됨.
tv 뉴스 안봐도 jtbc 뉴스룸 그날 볼 수 있어서 그렇게 봄.31. 눈피로
'19.1.18 11:02 PM (218.154.xxx.140)활자로 읽는게 귀찮고 눈도 침침해져서 알고싶은거 있음 관련영상 틀어놓고 들어요
32. 저는
'19.1.19 12:09 AM (113.118.xxx.69) - 삭제된댓글틱톡요..
33. 저도
'19.1.19 1:04 AM (174.216.xxx.253)유툽 엄청 많이 봐요. 로그인 상태라 기록이 남아 선호영상이 계속 추천되서 나름 편하기도 하구요.
전 명상음악.요즘 방탄관련. 알릴레오같은 시사( 팟빵있는 것들도 유툽을 더 보게 되요). 뉴스 핵심요약. 정보 특히 뭐 고쳐야 할때..화분갈이.정원 손질.건강관련..많이 봐요.
그리고 영어공부하기 좋은 것들 많아서 좋구요. 영화는 넷플릭스봐서 유툽으론 안보지만요.
유툽에도 당연히 가짜 뉴스도 판치고 좋은 정보도 넘쳐요. 가짜뉴스는 화면정지하고 신고도 합니다.나눌 얘기엔 댓글도 달구요.34. ᆢ
'19.1.19 6:49 AM (39.7.xxx.168) - 삭제된댓글오래 전부터 많이 봤는데 점점 대세가 되겠다 싶었는데 계속 폭발적으로 커지더라구요. 제작자에게 이윤이 돌아가니 당연히 그럴 것 같았어요. 유튜버조차도 인기직업이 되었을 정도니까요. 네이버나 싸이월드 등도 진작 그런 식으로 했더라면 좋았을 텐데 싶기도 하더군요.
앞으로도 더 계속 커지겠지만 그만큼 안 좋은 정보 거르고 선별하는 기능이나 방법도 더 발전됐으면 좋겠어요.35. ᆢ
'19.1.19 6:50 AM (39.7.xxx.168)오래 전부터 많이 봤는데 점점 대세가 되겠다 싶었는데 계속 폭발적으로 커지더라구요. 제작자에게 이윤이 돌아가니 당연히 그럴 것 같았어요. 유튜버조차도 인기직업이 되었을 정도니까요. 국내싸이트들이나 싸이월드 등도 진작 그런 식으로 했더라면 좋았을 텐데 싶기도 하더군요.
앞으로도 더 계속 커지겠지만 그만큼 안 좋은 정보 거르고 선별하는 기능이나 방법도 더 발전됐으면 좋겠어요.36. ..
'19.1.19 7:52 AM (39.7.xxx.27)네이버 블로거들이 유튜브로 갈아타기 시작한게 꽤 되었죠. 이윤보장해준게 커요. 네이버 검색아닌 구글과 유튜브검색이 대세가 되었어요
37. ....
'19.1.19 10:55 AM (180.71.xxx.169)저도 관심없었는데 갈수록 보는 시간 늘어나요.
광고차단해서 광고도 안떠요.
웬만한 연예인들도 유튜브 방송 따로 하더라구요.38. 엄지척
'19.1.21 3:29 PM (121.165.xxx.89)갈수록 유튜브가 대세인 듯해요.
양질의 컨텐츠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어요.
관심 분야 추천 동영상이나 구독 채널 위주로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