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학서열화가 점점 무너지는건 맞더라구요.

조회수 : 3,246
작성일 : 2019-01-02 14:07:51

그러니까 뭐랄까요..

막연히 무너진다기 보다는

그룹화된 상태에서 덩어리째로 서열화 되어간다는게 맞는 표현일 것 같아요.

그리고 그 한 덩어리 안에서는 서열화가 무너져가는게 확실히 보이고요..


서카포연고

서성한( 또는 성서한이라고도...)

이중경외시( 또는 중이외경시 또는 중경외시이..등 이대는 과별 선호도 범위가 매우 넓은 학교 같아요)

건홍동숙

국숭세단


써놓고 보니 무슨 시조같네요.


이런 그룹들에서 고대 떨어진 친구가 서울대 최초합 하기도 하고...카이스트 떨어진 애가 서울대 최초합되기도 하고요..

심지어 성균관 떨어진 애가 연대 최초합도 하고요..

또는 여기저기 다 붙은 경우, 서울대 과( 비선호과) 마음에 안 들면 상당수 카이스트를 가는 것 같고,

 또 드물게 포스텍을 가기도 하고요...

카이스트 붙은 애가 공대외의 다른 길도 생각해보기 위해 연대나 고대로 가는 경우도 있구요.


그리고 특이한게 서성한은 그냥  묶여 있는 하나의 대학같고요...

이를테면 서성한 높은과> 서성한 그 다음 높은 과> ...이런식으로요..


물론 이렇게 그룹화된 그 안에서도 서열화가 없지는 않지만 위에 쓴대로 합불이 위아래가 바뀌기도 하고

학생들 선호도도 위아래가 바뀌기도 하고요



이건 수시 이야기인데요..


정시도 학교별 점수차가 너무 촘촘해서 뒤집어 지는 경우가 있다는 군요.


암튼 대학서열화가 많이 흐릿해져가는 건 맞는 것 같아요.


IP : 183.98.xxx.197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ㄹ
    '19.1.2 2:18 PM (223.38.xxx.131)

    맞아요.
    입시를 몇번 겪고 여러해 지켜보면서 동감해요.

  • 2. 글쎄요
    '19.1.2 2:38 PM (175.195.xxx.172)

    그렇게 따지면 예전에도 그랬어요..경쟁률에 따라 커트라인 들쑥날쑥 했었는데요..
    요즘은 실력보다 변수가 더 많아져서 불공평하단 생각이 더 들뿐..
    하향으로 끌어내리는게 목적이었으면 성공이고요..
    그동안은 저기갔으면 저정도 실력이겠지라는 굳건한 믿음이..요즘은 저정도래도 가더라 이런 생각으로 바뀐 정도..
    인서울의 뜨거운 열기가 전 젤 큰변화 같아요..

  • 3. 원글
    '19.1.2 2:40 PM (183.98.xxx.197)

    지금은 들쑥 날쑥이 엄청 심해요..
    이해가 안 될 상황도 많구요.
    그리고 학생들도 예전에는 대학 이름을 봤다면 지금은 졸업후 취업 가능한 과 위주로 가다보니 더 서열화가 무너지는 것 같구요.

  • 4. ——
    '19.1.2 2:41 PM (175.223.xxx.221) - 삭제된댓글

    이건 입시하는 입결 문제이고요 학교 역량은 아웃풋인데 이건 선후배, 학교 연구역량, 회사처럼 경영하는 주체의 역량 따라 아웃풋이 나는거라 입결이랑 상관없어요. 하버드 가는 애들보다 코넬, 브라운 등이 성적 좋은 애들 많아요. 하지만 학교 역량 자체는 다른걸로 차이나고 그것에 따라 아웃풋이 나오는거거든요. 삼성, 엘지 든 입사하는 사람들이 성적처럼 나눠지겠어요. 그치만 회사의 아웃풋이란건 그런게 아니죠. 학교가 입시결과로 아이들을 스펙 나누는게 목적인 시험기관이 아니에요. 연구기관이고 경영을 하고 국가역량에 이바지하는 기관들인가지. 학교가 입시주체이고 시험점수로 들어가는 기관처럼 보는건 학부모랑 입시생들 딱 그때 뿐인거죠.

  • 5. 윗님
    '19.1.2 3:15 PM (220.116.xxx.35)

    저도 원글님 처럼 생각했거든요.
    수시가 확대되고 비평준화 지역 고등학교도 평준화가 되어버렸어요.
    그럼 학교 명성에 맞는 아웃풋은 여전하다는 건가요?

  • 6. 오잉
    '19.1.2 3:32 PM (121.151.xxx.160) - 삭제된댓글

    중경외시이도 문과 기준 이과는 중 시경건이

  • 7. 동감
    '19.1.2 3:34 PM (122.44.xxx.175)

    서울에 있는 대학들 다 높고,
    그냥 나눈다면 1과 1.5와 2 라고 표현해야 되려나요?
    게다가 정시는 2도 없고 0.5와 1과 1.5 같아요.

  • 8. ..
    '19.1.2 3:40 PM (211.209.xxx.86)

    진짜 그러네요.

  • 9. 공대기준
    '19.1.2 3:54 PM (223.38.xxx.12)

    중시건인아홍경동숙
    아웃풋감안

  • 10. ..
    '19.1.2 11:26 PM (125.133.xxx.21) - 삭제된댓글

    건대 떨어지고 고대 간 케이스 실제로 봤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7201 미세먼지 심한날, 환기하고 공기청정기 돌리는거죠? 1 ㅡㅡ 2019/01/23 1,050
897200 예비고2. 관리형독서실에서 10시경에 와서 새벽 3시까지 게임하.. 13 소리안치면몇.. 2019/01/23 2,578
897199 현미밥 하는 방법이요.. 7 식사 2019/01/23 2,191
897198 10 살 차이나는 분이 자꾸 우리래요 55 2019/01/23 7,581
897197 이소라의 신곡 "신청곡" 들어보세요 (feat.. 11 신청곡 2019/01/23 2,223
897196 오래사귀고 결혼 10 ... 2019/01/23 4,167
897195 [영상 ] ‘사법농단 구속 위기’ 양승태 혐의 ‘41개 α’를 .. 5 구속하라 2019/01/23 709
897194 초기 당뇨 궁금 식단이 거의 채식이잖아요 13 당뇨 2019/01/23 3,269
897193 택배가 잘못 배송왔어요. 4 아기사자 2019/01/23 2,988
897192 조선일보가 양승태구속될까봐 똥줄타나봐요 7 ㄱㄴ 2019/01/23 1,091
897191 경락 10회를 매일 받으면 어떨까요.. 7 살빼고 싶어.. 2019/01/23 6,022
897190 혜나 관련 궁금한 점이 있어서요. 9 스캐 2019/01/23 1,889
897189 정부기관 무기계약직 근무 8 ..... 2019/01/23 2,215
897188 런닝머신 탈 때 신발밑창이 갈려나가는데... 1 ,,, 2019/01/23 1,442
897187 유기불안 / 애정결핍 극복해 보신 분.. 8 ㅇㅇ 2019/01/23 4,308
897186 간헐적 단식 엄격하게 지켜야 하나요? 18 다이어터 2019/01/23 7,160
897185 나는 정말 죄인(罪人)입니까?..33살 최저임금법의 항변 머니투데이 2019/01/23 3,596
897184 흰 니트 누래지는 이유가 뭘까요? 5 1111 2019/01/23 3,837
897183 고딩아이 가끔 어지럽다해서 철분제 사려는데 괜찮을까요? 7 철분 2019/01/23 1,979
897182 개인이 해결할 일까지 국민청원 내는 정신없는 사람들.. 20 .... 2019/01/23 2,473
897181 주변에 관상 볼줄 아시는분 있나요? 17 카푸치노 2019/01/23 4,456
897180 제주도에서 서울로 핸드폰으로 전화하면 제주도에 있는걸 알 수 있.. 2 ... 2019/01/23 1,438
897179 손흥민은 왜 국대서는 못할까요? 25 축구 2019/01/23 5,422
897178 김어준의 뉴스공장 주요내용 (페북 펌) 4 ... 2019/01/23 897
897177 김태우 비리조사관 정치공작 세력이 슬슬 드러남 6 눈팅코팅 2019/01/23 1,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