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직도 저축은행에 손님이 몰리는 이유는?

... 조회수 : 2,784
작성일 : 2011-09-20 12:44:12

 몇달전엔가도 저축은행 사건이 크게 터져서 평생 안 먹고 안 입고  모은 돈을 날리네 어쩌네 큰 난리가

 났었는데 이번에도 똑같은 일이 벌어졌네요.

 궁금한 점은 지난번 일이 터져서 국민들이 많이 놀라고 해서 저축은행으로 손님들이 안 몰릴 줄 알았더니

 이번에도 역시 많은 돈을 맡긴 사람들이 돈을 떼일까 크게 염려하고 있는 일이 되풀이 되네요.

 이번 일을 당한 예금자들은 지난 번 사건을 전혀 모르고 있었던 것일까요?

 아니면 익히 알면서도 설마 나에게 그런 일이 닥칠까 ? 내 돈이 어떤 돈인데..하는 심정으로 돈을

 맡겼던 것일까요?

 은행에 가지 않고 저축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은 은행보다 메리트가 있어서 일텐데 저축은행은 진짜

 은행보다 이자율이 월등히 높나요? 높다면 얼마나 더 높을까요?

 저축은행이 전에는 신용조합? 상호신용금고? 이었던 것을 듣기 좋게 개명해 준 것 아닌가요?

IP : 124.5.xxx.8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9.20 1:13 PM (115.140.xxx.126)

    현재는 저축은행 이율이 1금융권보다 1% 초반대 정도 차이로 높습니다.
    과거에는 2% 이상 갭이 벌어졌던 때도 있는데, 요즘은 시중금리 자체가 낮아서요.

    투자자는 언제나 위험과 수익 사이에서 저울질을 하는데요,
    1, 2% 차이로 위험을 감수하는 사람도 있고, 안전을 택하는 사람도 있는 것뿐입니다.

    본문 어조에서 느껴지기로는 저축은행을 상당히 위험한 투자처로 보시는 것 같은데,
    실은 예보공사의 원금보장 범위 이내이기만 하면 은행 다음으로 안전한 투자입니다.
    펀드, 주식, 채권, 부동산, 금 포함 실물 등 원금보장이 전혀 안되는 상품이 얼마든지 많은데,
    저축은행예금은 최악의 경우 파산이 되더라도 원금+2.5%이자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정도 불안과 불편을 감수할 의향이 없는 분들은 우체국이나 대형은행을 이용하시면 되고요.

    말씀대로 저축은행은 상호신용금고를 더 좋은 이미지로 개명해준 것이 맞고,
    과거를 따지면 음지에서 활동하던 사채업을 양성화시킨 것입니다.

  • 2. 저.
    '11.9.20 3:46 PM (115.137.xxx.133)

    저..삼화저축은행때 피해자였고
    이번에 제일저축 피해자일뻔했지만 제일저축 소문이 하도 수상하여 16일날 돈을 뺏었죠.
    하지만 그래도 저축은행 이용합니다.

    저 같은경우는 이자가 거의 천만원차이가 나더군요.

    국민/신한등과같은 은행보다는 든든하지는 않겠지만
    조금씩 나눠 여러저축은행에 관리중이라 크게
    크게 두려?워 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이게 제가 하는 유일한 재태크라..주식..부동산 이런거 전혀 못하거든요.

  • 3. ...
    '11.9.20 5:26 PM (124.5.xxx.88)

    잘 알겠습니다.

    이자액이 그렇게 많이 차이가 나니 그럴 수 밖에 없겠네요.

    나라에서 보장해 주는 한도액 내 예금은 안전하니까요..

  • 4. 그쵸
    '11.9.26 1:27 AM (180.70.xxx.7)

    주식하면 완전 날릴 수도 있는 건데, 저축은행쯤이야 거의 안전자산이죠. 예금자보호 한도 이내면.

  • 5. 그쵸
    '11.9.26 1:28 AM (180.70.xxx.7)

    어쨌거나 위에 댓글 중 이자가 천만원 차이 나신다는 분은 도대체 원금이 얼마시길래 그렇게나 차이가 나시나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6656 국힘 망했네 4 o o 13:42:29 314
1736655 막내들 끼리 결혼한 사람들 자기 큰애와 막내 차별 1 서열 13:38:42 165
1736654 건강검진 문의요 13:38:31 55
1736653 안간지러운 무릎보호대 찾습니다. 무릎보호대 .. 13:37:47 39
1736652 골격이 안 이쁜......ㅡㅡ 7 옷입기 13:36:28 318
1736651 독일에 살면 한국꺼 뭐가 아위워요? 1 질문 13:36:27 129
1736650 갈라치기에 이용당하는 젊은여초커뮤 [악개문화] 요주의 4 갈라치기주의.. 13:35:27 162
1736649 부모님 만나는게 힘이 드네요 5 13:31:54 536
1736648 국회 인사청문회장 경호권 발동.jpg/펌 8 잘한다 13:26:43 649
1736647 까마귀노는곳에 배로야가지마라 4 모래수저 13:25:48 177
1736646 오늘 그거 몇시에 출석하나요? 9 ㅈㅈ 13:22:43 551
1736645 아래글보고 신천지.. 4 ㅣㅣ 13:15:24 367
1736644 국회보좌관은 총선이후나 승진때마다 면직하고 재임용 15 .. 13:15:20 498
1736643 회사에서 사적질문하는 사람 15 회사 13:13:46 711
1736642 싸이가 임영웅보다 공연수익이 많나봐요 9 ㅇㅇ 13:09:52 1,424
1736641 영적인 외도는 뭔가요ㅡㅡ? 7 13:07:53 806
1736640 석열이 영치금이400만원들어왔데요 15 ㅇㅇ 12:58:28 2,093
1736639 재산세 고지서 6 루시아 12:58:21 997
1736638 혓바닥 긴 인간 극혐해요 1 비겁해 12:57:02 810
1736637 당직자 갑질 중 최고봉 국회의원은?!! 3 2021년 12:56:27 559
1736636 여름철 얼굴 피부 관리법 하나씩 풀어주세요. 9 ... 12:51:08 862
1736635 락스 사용할때 어떤 분무기 사용하세요? 18 분무기 12:50:47 846
1736634 '가족·사생활 검증은 비공개로' 민주당, 청문회법 개정안 발의 24 .. 12:50:27 878
1736633 고3체험학습신청 9 ... 12:45:37 317
1736632 과기부장관 인사청문회애서 3 ... 12:40:41 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