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정청래는 당내에서 개헌론얘기나올땐 침묵하더니 이제와서 반역?

개선 조회수 : 1,083
작성일 : 2016-11-25 16:40:56

정청래는 당내에서 개헌론얘기나올땐 침묵하더니 이제와서 반역?



 1. <민주당 대표시절 김종인 인터뷰>


질의: 그런 영역과 반경 속에서 내년 대선 전까지 무엇을 추구할 것인가.                     

응답 :“지금은 국가의 틀을 다시 생각할 때다. 개헌을 추진하는 일에 전력을 다 할 생각이다.”


질의: 전문영역이라 할 수 있는 독일의 국가 모델과 경제체제가 개헌의 방향성에 참고가 되는 것인가.
응답 :“독일은 국회의원 수의 절반은 비례대표, 절반은 지역구에서 나온다. 어느 정당이나 5% 이상만 차지하면 25석의 의석을 갖게 되어 있다. 한당이 절대적인 의석을 가질 수 없다. 2차 대전 이후 독일이 지금까지 한 번도 단독 정부가 성립된 적이 없다. 항상 연정을 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협치의 정치 체제다. 우리나라는 어떤가. 건국 이래 줄곧 대통령제를 해왔지만 국민이 목도한 것은 역대 제왕적 대통령들 뿐이다. 미국 빼고는 대통령제를 성공적으로 하는 나라가 없다. 대통령제의 맹점은 별로 능력이 없는 사람이 패거리만 잘 거느리면 최고 권력을 쥘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사람들이 계속 대통령이 되면서 국가 발전이 이제 한계점에 도달했다.”


질의 :내각제가 바람직하다는 것인가.
응답 :“내각제 하 총리는 능력이 없으면 바로 탄로가 난다. 정치 역량과 전문 지식이 없으면 자리를 지탱할 수 없다. 능력 있는 사람이 나라를 끌고 갈 수 있는 체제가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질의 :국민 뇌리에 오래 각인된 내각제의 불안정성 때문에 좀 어려운 것 아닌가.
응답 :“우리나라엔 별 능력이 없으면서 대통령을 꿈 꾸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내각제 개헌은 죽어도 안 된다고 한다. 과거 프랑스의 내각제, 지금 일본의 내각제, 또 우리 장면 총리 시절의 내각제를 보며 불안정하다고 말한다. 독일은 (불안정했던) 바이마르 공화국의 경험을 반면교사로 삼았다. 취임 후 2년 내에는 총리를 불신임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 안전장치를 마련했다. 순수 내각제의 불안정성은 얼마든지 보완할 수 있는 길이 있다."


질의 :정치권에서 독일식 국가모델 연구가 마치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데.
응답 :“독일 정치 시스템과 사회적 시장경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진 것은 일단 바람직한 일이라 본다. 그런데 제대로 알아야 벤치마킹할 수 있다. 모르고 하면 오히려 독이 된다. 유승민 의원, 남경필 경기도지사 등이 독일 정치와 경제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궁금하다.”


질의 :최근 개헌론을 적극 개진한 정세균 국회의장은 개헌 적합 시기를 20대 국회 초반으로 제안했다. 과연 언제가 적기인가.

응답 :“20대 국회 초반에 해서 내년 대통령 선거를 바뀐 헌법 하에 치르면 물론 좋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국회의원 임기를 단축해야 하는데 의원들이 찬성할 리 없다. 20대 국회 말에 가서 하면 국회의원 임기는 보장되지만 내년에 당선된 대통령이 자신의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그만 둬야 한다. 300명이 결심하는 것보다는 한 사람의 결심이 더 쉽지 않을까? 그의 애국적 결단이 서면 가능한 일이다.”


-------------------------------------------------------------------


당장 당대표시절 김종인씨도 내각제 개헌을 주장했었습니다.


--------------------------------------------------------------------------------

2. <문재인전대표의 당내경선중 인터뷰>


"분권형 대통령제뿐 아니라 내각책임제까지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권위주의적 행태, '제왕적 대통령' 뿐만 아니라 대통령 주변을 둘러싼 권력형 비리가 끊임없이 생긴다"

"정권교체 시기에 개헌을 논의하는 것은 여러모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앞으로 개헌을 연구해야 한다는 전제 하에 말한다면, 대통령제보다는 내각책임제가 훨씬 좋은 제도다. 세계적 대세로 보더라도 민주주의가 발전된 대부분 나라들이 내각책임제를 하고 있다"

 "대통령제를 해서 성공한 나라는 미국 정도"
 "미국도 연방제라는, 연방에 권한이 분산됐다는 토대 위에 성공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와 환경이 다르다"
 "대통령제를 유지한다면 5년 단임제보다는 4년 중임제가 훨씬 낫다. (또) 대통령에게 집중된 권한 중 상당 부분을 총리나 각부 장관에게 분산하는 분권형이 필요하다"

문재인전대표의 몇년전 워딩입니다.

대통령제 유지시 5년단임보다 4년중임이라 말하면서도

대통령제자체에 회의적이며 내각제를 선호하는 의사를 명확히 밝혔죠.


------------------------------------------------------------------------------------------

분명히 말하는데 이게 잘못됐다는게 아닙니다..내각제도 일본식이아닌 독일식이 될수있다면 나쁘지않겠다는 기대도하고있습니다.

분명히 제왕적 대통령제는 너무 많은 문제점을 노출했고, 대통령자리에 오를 개인과 그 주변 모든인물들까지 완벽한 인물이 될수없다면실패할수밖에 없는 시스템임을 6공화국체제에서 많이 증명했다고 생각합니다.7공화국으로 갈수밖에 없고, 시기조율의 문제만이 남아있을뿐이죠.


IP : 103.10.xxx.194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분명한건
    '16.11.25 4:52 PM (222.239.xxx.38)

    지금 이시기에 개헌은 아니라는거죠.

  • 2. ㅁㅁㅁㅁ
    '16.11.25 4:57 PM (192.228.xxx.133)

    지금 이시기에 개헌은 아니라는거죠.22222

  • 3. 어제썰전에나왔
    '16.11.25 4:58 PM (58.224.xxx.11)

    이시기가 아니고 추후에 하자는 거예요

  • 4. 지금은개헌반대
    '16.11.25 5:02 PM (221.147.xxx.209) - 삭제된댓글

    슬금슬금 개헌론 연막작전피우기....

  • 5. 개헌이 우선.
    '16.11.25 5:04 PM (103.10.xxx.194)

    추후 되면 그 시기의 유력 대선 주자가 또 추후에 하자고 하겠죠..

    개헌한후에 집권하면 되는겁니다.

  • 6. 개헌은
    '16.11.25 5:05 PM (119.69.xxx.101)

    청소끝난후.
    그렇지않음 어두운 역사는 청산되지않은채 되풀이 될것.

  • 7. ..
    '16.11.25 5:06 PM (120.142.xxx.190)

    오늘 개헌얘기 마이 묵었..
    평범한 아낙네의 논조가 아닌 읽 기 힘든글...어쩌라고..

  • 8. 개헌이 우선
    '16.11.25 5:11 PM (103.10.xxx.90) - 삭제된댓글

    누가 누굴 청소?
    칠푼이나 팔푼이 수준이 아니라면 청소가 불가능하다는것을 알것입니다.

    진정으로 청소를 원하면 개헌해서 다시 악의 세력이 득세할수 없는 권력구조를 만들어 가는것이 최상입니다.

    독일의 정당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도와 독일식 내각제가.. 히틀러를 격은후 다시는 아긔 세력이 득세할수 없도록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진정한 청산을 할수 있었던 기회가 있긴 했죠.. 영남출신이면서 국회까지 과반의석을 넘긴 노무현 정권때였는데 노무현도 영남주류세력들과 야합햇어요.

  • 9. 여름이오네.
    '16.11.25 5:12 PM (103.10.xxx.90)

    누가 누굴 청소?
    칠푼이나 팔푼이 수준이 아니라면 청소가 불가능하다는것을 알것입니다.

    진정으로 청소를 원하면 개헌해서 다시 악의 세력이 득세할수 없는 권력구조를 만들어 가는것이 최상입니다.

    독일의 정당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도와 독일식 내각제가.. 히틀러를 격은후 다시는 악의 세력이 득세할수 없도록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진정한 청산을 할수 있었던 기회가 있긴 했죠.. 영남출신이면서 국회까지 과반의석을 넘긴 노무현 정권때였는데 노무현도 영남주류세력들과 야합햇어요.

  • 10. ....
    '16.11.25 5:13 PM (221.141.xxx.88)

    개헌은 김대중대통령도 필요하다고 했었어요.

    박그네 탄핵하고나서는 개헌 합의 먼저하고

    댓통 선거 해야할듯요.

    그래야 정권 입맛에 맞는 개헌이 아닌

    보편타당한 개헌이 가능하죠.

  • 11. 개헌을
    '16.11.25 5:17 PM (222.239.xxx.38)

    단기간에 하려고 하지마세요.
    아직 개헌내용에 대한 여론조차 형성되지 않았어요.
    대통령제인지 내각제인지..뭐가 더 나은지 모르는 상황에서 탄핵과 같이 처리하려고 하는 시도가 불순해요.
    탄핵도 큰일인데..거기다가 개헌을 같이?
    번갯불에 콩볶아 먹을일있나요..
    님은 개헌이 우선이겠지만,대다수는 탄핵이 급합니다.

  • 12. 탄핵은 단연하고..
    '16.11.25 5:32 PM (103.10.xxx.194) - 삭제된댓글

    칠푼이 아바타 탄핵은 당연하고.
    황 총리도 교체해야하고.

    그러면서 개헌도 해야합니다.
    지금이 아니면 독일식 정당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도로 바꾸는것 거의 어려워요.

  • 13. 탄핵은 당연하고..
    '16.11.25 5:32 PM (103.10.xxx.194)

    칠푼이 아바타 탄핵은 당연하고.
    황 총리도 교체해야하고.

    그러면서 개헌도 해야합니다.
    지금이 아니면 독일식 정당명부 비례대표 선거제도로 바꾸는것 거의 어려워요.

  • 14. 그래도
    '16.11.25 6:45 PM (121.145.xxx.24)

    고양이에게 생선가계 맡길수는 없죠.
    믿을 놈을 믿어야지..
    도적놈들을 믿으라구요?
    헛!!
    동네 개가 웃을 일.

  • 15. 아이고 님하~~
    '16.11.25 7:46 PM (163.152.xxx.151)

    시대에 따라 어떤 개헌인가가 중요하지요.
    개헌이라고 다 같은 개헌일까요?

    새누리당 자신들이 이명박근혜같은 사람 대통령 만들어 두고 이제와 개헌?
    계속 집권하고 싶은 욕망인거죠. 이렇게 나라를 개떡으로 만들어 놓고...

  • 16. 지금
    '16.11.25 7:55 PM (98.212.xxx.121)

    탈출구 없는 새누리 김무성쪽 비박과 조선일보가 적극적으로 개헌을 주장하고 있어요.
    여기에 국민의 당도 가담하고요.
    민주당에서 찌그러진 김종인과 박영선도 개헌하자고 난리네요.
    이를 위해서인지 모르겠지만 얼마전 청와대는 하야하느니 차라리 탄핵을 시켜라..고 주문했죠.
    문제를 지엽적으로 보지 말고 전체 흐름을 보면(누군가 했던 말이네 ㅜㅜ)..
    왜 저런 세력들이 개헌을 요구하고 있는지 다 보입니다..(이것도 누군가 했던 말..ㅜㅜ)
    이미 여러 커뮤니티에 개헌 주장을 올려서 여론을 간보는 중인데...
    별로 동조하지 않는것 같네요. 국민은 지금 박근혜 끌어내리고 새누리도 일벌백계해서 나라꼬라지 제대로 만드는 일이 중요하지.. 불난김에 콩볶아 먹자는 개헌론자들 말은 귓등으로 흘리는 중이랍니다.

  • 17. 71강 전체추천 (최태성)
    '16.11.25 8:01 PM (221.147.xxx.209) - 삭제된댓글

    https://m.youtube.com/watch?v=UCNd2Lvhfh4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중급 - 71강 이승만·장면 정부_#003

  • 18. 지금은개헌반대
    '16.11.25 8:05 PM (221.147.xxx.209) - 삭제된댓글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15&num=2232883&page=5
    `지금 필요한 것은 개헌이 아니라 언론개혁이다`

  • 19. 안대무총시나리오?
    '16.11.25 8:27 PM (221.147.xxx.209) - 삭제된댓글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POD&oid=001&aid=0008844315
    "친문·친박 빼고 어느 세력과도 연대…킹메이커 가능"


    http://m.goba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19
    “‘대선 불출마지 책임총리 안한다곤 안했다’ 개헌론 속내 들켰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7091 화장품 좋은거 쓰시는 분들 4 .. 09:22:29 147
1777090 토요일 김장할 예정이면 절임배추 언제 받나요? 1 궁금 09:21:28 53
1777089 간헐적 단식 중인데 레몬수... 레몬수 09:20:24 82
1777088 19) 50대 중반 남자 4 궁금 09:17:16 420
1777087 김건희 전시에, 2조 5천 보험 든 대기업 어디? 3 미르 09:11:10 390
1777086 드레곤백 여름에 잘들어지나요? 2 가방 09:06:49 165
1777085 남편이랑 각방쓰는데 매일매일 사람체온느끼고 싶어요 19 09:04:25 1,148
1777084 잡주들고 계신 분들. 코스닥 시총 150억 미만 퇴출 ... 08:58:08 434
1777083 지금이 최악인 것 같다. 너무 힘들다 6 . . . 08:57:16 1,281
1777082 오늘 낮에 코트 입으렵니다 ... 08:50:43 395
1777081 잡채에 굴소스로 색도 입힐 겸 한 티스만 넣어보세요 9 소스 08:50:22 670
1777080 어머...아침마당에 하정우가 나왔네요 8 ㅎ ㅎ 08:47:07 1,470
1777079 강남 살면 돈이 더 드나요? 14 ... 08:46:01 1,136
1777078 닷새 사이 물류센터서 노동자 2명 사망···쿠팡 ‘책임 회피’ .. 1 ㅇㅇ 08:45:58 296
1777077 국민연금 최고수령액 월 318만원 7 .... 08:45:19 958
1777076 변기가 왜 그럴까요? 4 답답해요 08:45:14 485
1777075 백령도 가보신분~ 3 .... 08:45:12 206
1777074 사계 용담은 7 ㅎㅎ 08:42:39 457
1777073 요즘 인테리어 정말 다 비슷하네요 2 ㅡㅡ 08:41:30 890
1777072 흡연자들 마인드 보통 이런건가요? 2 .... 08:38:55 376
1777071 마스크 유통기한 지난거 써도 되나요? 6 .. 08:38:08 575
1777070 kordex 금액티브, Gld ETF요 ddd 08:37:47 178
1777069 코팅 후라이팬 6개월~1년 주기로 그냥 싹 다 바꾼다고 하면요 11 ㅇㅇㅇ 08:36:18 843
1777068 오세훈 "특검, 명태균건으로 기소하면 뒷감당 어려울 것.. 8 왜울려고 08:35:42 627
1777067 Sk 하이닉 .. 08:35:01 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