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베이비시터 자격증 시험 보는데

아줌마 조회수 : 4,286
작성일 : 2016-10-22 15:14:04

시험은 보지만 이걸 직업으로 하지는 못할 것 같아요.

하루 종일 집에서 애만 보고 있으려니 벌써부터 갑갑..

아마 자격증 취득 하고도 일 안하는 분들이 많으니

시터 구하기가 어렵다고 할거에요.

하지만 시터 입장에선 요즘 엄마들 요구 조건도 까다로와요.

요리 잘하는 사람 애 많이 안아 주실 분 정리정돈 잘하는 사람 운전 필수..

시터 공부 하기 전엔 그냥 단순하게 노는 애 잘 본다 생각 했는데

재미있게 책 읽어 주고 같이 만들기 해주고 동요 불러주고 율동 하고..

체력 소모도 각오해야 해서 나이 드신 분들은 시터 생각도 마세요.

저는 60세 이상 언니들 시터 교육 왜 받으러 오나 모르겠어요.

그 나이까지 전업하다 남의 애 보기가 쉬울까요?

특히나 애들 걷기 시작하면 놀이터 가서 따라 다녀야 하는데..

내 손주는 귀찮음 안나가면 그만이지만 남의 자식은 안나가면

부모한테 이르는걸요..ㅎㅎ

차라리 파트 청소 도우미가 취업하기 더 유리해요.

시터 하루 하고 와서 몸살 나서 출근 못한다는 사람도 있다고 하고

특히나 엄마 아닌 시부모나 친정부모들의 육아 간섭으로

빈정 상해서 못하는 사람도 많다하니 생각 잘하고 시터 교육 받으세요.

돈 벌기 쉬운 일이 정말 아무것도 없어요.

IP : 59.22.xxx.140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ㅡㅡㅡㅡ
    '16.10.22 3:15 PM (216.40.xxx.86)

    제일 진입장벽이 낮은 일이니 다들 시도해보는거죠.
    경력도 학력도 따지질 않는 일이잖아요

  • 2. 산후도우미
    '16.10.22 3:17 PM (117.111.xxx.58)

    교육받으려는데
    이건 어떤가요??

  • 3. ㅇㅇ
    '16.10.22 3:19 PM (61.106.xxx.84)

    진입장벽낮아도 상대가 누구냐 따져야해요
    무한돌봄이 필요한 아기 아동 노인 장애우 대상직업은
    헌신하고자하는 마음 혹은 적성에 맞지 않으면 직업으로서는 최악이에요

  • 4. 그건
    '16.10.22 3:20 PM (59.22.xxx.140)

    잘해야 이주에서 한달 기간이라 오히려 짧게 만나니 서로 예의 지키고 속은 편하다고 하네요.
    경험자들 말로는..
    그리고 일하다 쉬고 싶음 한달 하고 쉬고 다시 다른 산모 연결해서 일 받아 해도 되니 놀면서 하기 좋대요.
    하지만 베이비시터는 최소 1년은 매여줘야 욕을 안들은니..ㅎㅎ

  • 5. ㅡㅡㅡㅡ
    '16.10.22 3:21 PM (216.40.xxx.86)

    내내 수십년 집에만 있다가 당장 쉬워보이는걸 하게되니.
    산후도우미도 힘듭니다. 2주간 또는 그이상 밤잠 못자고 - 출퇴근은 보통 2주까진 안하고 입주원해요. - 신생아 기저귀 수십번 갈고 산모 음식에 정리 청소 다해야 하는데요 ?
    신생아는 잠만 잔다고 하는데 전혀요. 10분 자고 일어나 울고 먹고 싸고 기저귀... 중간중간 산모 식사 간식 빨래나오고.
    한창 예민하고 아픈 시기라 산모들도 대하기 힘들어요
    한두번 가보고 다신 안하는 분들 널렸어요.

    다 조선족들로 대체되는 이유가 있죠.

  • 6. 산후도우미
    '16.10.22 3:24 PM (117.111.xxx.58)

    아 입주해야되나요
    직장인처럼
    출퇴근 할까 했는데
    안되겠네요 ㅜㅜ

  • 7. 산후
    '16.10.22 3:25 PM (59.22.xxx.140)

    도우미 하다 서로 잘맞음 베이비시터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경우들도 많구요.
    두 직업다 돈만 보고 할 일은 아니고 돌봄이 필요한 가정에 내가 도움이 되어준다는
    사명감이 있어야 해요.
    그래야 일도 잘하고 그 성의가 느껴져 가정에서 호감을 받음 다른 가정으로 추천도 가서
    오래 직업으로 할수 있는 것 같던데 이것도 봉사하는 맘이 필요한 일 같아요.

  • 8. ㅡㅡㅡㅡ
    '16.10.22 3:27 PM (216.40.xxx.86)

    산모들이 첨 2주에서 한달은 입주식으로 하길 원하죠 젤 힘든데요 그 시간이. 신생아 생후 한달때가 멘붕인데요.
    젤 힘든시기니 사람을 쓰는건데.. 널널하게 보시고 가면 안돼요. 서툴거나 대충하는 분위기면 대번에 업체에 말해서 다른아줌마 보내라고 하죠.

    예산이 안되면 출퇴근인데 그런자린 잘 없어요.
    그것도 아침 8시 부터 저녁 6시까진 원해요.

  • 9. 몬소리야
    '16.10.22 3:30 PM (39.7.xxx.143)

    보통 출퇴근인데
    몬소리세요
    지역카페가면 구인글 올라오는데..

  • 10. 몬소리라니
    '16.10.22 3:32 PM (216.40.xxx.86)

    여긴 지역까페 아니라 업체구요.
    대부분 조리원안가고 도우미랑 하려는 경우라 입주 원해요.하긴 지역에 따라 다르겠지만요

  • 11. 몬소리라니
    '16.10.22 3:34 PM (216.40.xxx.86)

    그리고 요즘 산모들 엄마들 니즈가 까다로워요.
    요리잘하고 부지런한 아줌마로 보내달라고 가 1순위.
    청소나 정돈은 그다음.
    그러니 산후도우미 생각하는 분들은 요리 기본은
    맛있게 할줄 알거나 손맛있어야 해요

  • 12. 산후도우미
    '16.10.22 3:35 PM (59.22.xxx.140)

    궁금한데 반찬 만들기도 필수죠?
    산후도우미는 집에 산모랑 남편 아기 외에 식구들이 있음 추가 요금을 받기는 한대요.
    베이비시터 보다 산후 도우미가 속은 더 편할 것 같다는 생각이..
    몸은 둘다 계속 움직여야 해서 힘들지만 산후도우미는 산모라는 대화상대라도 있지만
    베이비시터는 애 말고는 말할 사람 없어 잘못하면 우울증 올것 같아서
    돈이 정말 필요한 전업이나 고민하시고 나가서 활동있는 일을 하면서 사람과의 대화가
    그리운 분들은 이 직업은 완전 비추해요.
    차라리 마트나 식당 써빙 파트를 하는게 더 나아요.

  • 13. 그럼요
    '16.10.22 3:44 PM (216.40.xxx.86)

    당연히. 반찬및 요리 잘하셔야 돼요..그런 분들 진짜 1순위에요.
    추가요금은 첨부터 정하기보다 하면서 말 할때가 많고.

    근 몇년전부터 산후 도우미에게 요구하는 추세가 꼭 요리 잘하는 분으로 보내달라고들 하고 .. 맘에 안들면 며칠도 안참고 바꿔달라고 바로 전화와요.
    어떨땐 산후보양식 식단까지 정해서 해달라고도 하고요.
    요즘 젊은엄마들 까다롭습니다. ..

    손맛좋고 부지런하고 체력되는 분들에겐 산후도우미 추천하고 싶은게 사실 단기로 돈이 꽤 돼요. 부수익도 있고.

  • 14. 제생각
    '16.10.22 4:02 PM (59.22.xxx.140)

    음식 잘하는 사람을 도우미로 구하기가 쉽지 않을거에요.
    그래서 제 생각은 음식은 배달음식이나 사 먹는 반찬으로 대체하고
    청소나 아이 돌보는 것만 잘할 사람으로 구해도 베이비시터나
    산후 도우미 구하기가 좀 수월할거에요..
    솔직히 음식 자신 있을 정도면 식당 하거나 요리쪽으로 나서지 굳이
    힘든 도우미 할려고 하지는 않을테니 말이죠.

  • 15.
    '16.10.22 5:37 PM (59.10.xxx.2) - 삭제된댓글

    산후도우미 해봤는데
    요즘 산모들은 넘쳐나는 인터넷정보로
    더 까다롭고 더 예민하고 부려먹듯해서
    정신적으로 힘들어요 ㅠ.ㅠ

    차라리 몸쓰는 단순노동이 쉬울듯..

  • 16. 저는 산후도우미
    '16.10.22 7:37 PM (175.211.xxx.251) - 삭제된댓글

    가사도우미,베이비시터 이렇게 해봤는데요.
    가사도우미는 육체만 힘들었고,
    베이비시터는 움직이는 아기는 애다칠랴 싶어,신경써가며 놀아줘야 하고
    안아주는게(몸무게 10키로이상이니)어깨나 손목이 아파서 체력적으로 힘들었고요.

    지금은 산후도우미 6개월째 하고 있는데 하루 9시간 있는 동안,
    틈틈히 쉬는 시간이 많고, 육체적으로는 위에 두 경우보다 덜 힘들긴 한데요.
    단점은,
    매번 새로운 직장에 가서 새업무를 배워 일하는 느낌이라고 할까요?...
    그래서 매번 그만 둘까 고민을 해요.ㅎㅎ
    일만 비교하자면,좋은 조건의 베이비시터가 아니라면 그나마 산후도우미가 나은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8262 우보천리! 우리 내년 3월까지 참고 뭉치고 한곳을 바라봅시다! 5 )) 2016/11/16 450
618261 아이들 예쁜 털목도리 어디서 사나요? 6 할머니 2016/11/16 801
618260 중3 아이의 학교생활 9 걱정맘 2016/11/16 1,325
618259 박근혜가 어린이집 방문했던 영상 좀 찾아주세요~ 2 ^^ 2016/11/16 667
618258 양재하나로 시계 전문점.. 수능맘 2016/11/16 455
618257 정말 자사고 특목고등 아닌 일반고가면 상위권 대학 가기 불가능할.. 25 진학 2016/11/16 5,421
618256 [퍼옴] 초등교사가 올린 금일 정세 분석 26 ingodt.. 2016/11/16 6,546
618255 시터 더하기 가사도우미 시급 얼마인가요?^^ 14 시터 가사도.. 2016/11/16 3,049
618254 이 모든 것이 한일군사정보협정을 가리기 위한 술수라면? 13 집중 2016/11/16 1,343
618253 문상가서 며느리들에겐 어떤 말을 해야 하나요? 9 너무 고생한.. 2016/11/16 1,852
618252 근데 나이 육십에 드라마 여주 가명이 먼가요 8 아흠 2016/11/16 1,473
618251 엘쥐 전기건조기 쓰시는 분~ 4 참고합니다... 2016/11/16 1,365
618250 박이 하야 않하는 이유 5 주말에 2016/11/16 1,378
618249 11월 15일 jtbc 손석희 뉴스룸 3 개돼지도 .. 2016/11/16 1,147
618248 집주인이 매매를 했다는데요 7 2016/11/16 1,822
618247 외무고시 폐지도 순실작품아닐런지 6 길라임 2016/11/16 2,323
618246 황상민 인터뷰중에서 도라지가 산삼이냐고 ㅎㅎ 2 도라지가 산.. 2016/11/16 1,998
618245 광화문 집회참가시 거취문의 18 브이포벤테타.. 2016/11/16 2,428
618244 은행현금카드도 본인이 꼭 가야 되나요..??? 3 .,.. 2016/11/16 638
618243 한일군사정보협정 법제처 심사 완료…17일 차관회의 상정될듯 7 후쿠시마의 .. 2016/11/16 844
618242 2016년 11월 16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1 세우실 2016/11/16 607
618241 본죽 비닐팩 포장 마트에서 파나요? 3 본죽 2016/11/16 1,174
618240 길라임이 왜 중요하냐면요 39 2016/11/16 25,671
618239 알바들의 지령, 박지원과 추미애 이간질시키기 1 이간질 2016/11/16 407
618238 하루동안 방송사 특종들 2 사랑 2016/11/16 1,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