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나의 결혼 첫 명절과 18년차 명절 모습 차이

헌댁 조회수 : 2,811
작성일 : 2016-09-20 15:21:50

우여곡절 명절 치르신 여러 글들을 보다가..

18년 전 결혼하고 첫 명절(설)을 치르고 신혼집에 돌아와

작은 방 문 걸어 잠그고 통곡하며 울었던 옛날 모습이 떠올랐어요.

저희 시댁이 작은집이라 시부모님 모시고 큰집에 가서 차례 지내고 큰 집 작은 집 통틀어 혼자 며느리라

그 많은 설거지를 다 하고 어려운 시어른들 줄줄이 내 행동거지 쳐다보고 계시고

손윗시누들이 지시하는 대로 익숙하지 않은 집안일들 하며 구박도 받고.. 하던 와중에

- 기혼 시누는 시댁이 신정쇤다고 와 있고 미혼 시누도 있구요 -

시아버님이 기혼 시누한테 결혼하면 명절 당일에 친정 가면 안 되는 거라고,

당일날 친정 가는 건 아주 배운데 없는 행동이라고 저 들으라는 듯 말씀하셨거든요.

워낙 목소리크고 직설적으로 말하는 집안이라 시누는 오히려 따박따박 대답하는데

새댁인 저 혼자 마음 아프고 속상해서 꾹꾹 참다가 집에 와서 남편한테 우리 엄마아빠도 나 귀하게 키웠다고 소리지르고

옷방 문걸어 잠그고 울고 불고 하다가 잠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ㅎㅎ

새신랑도 어쩔 줄 모르고 문밖에서 달래다가 한숨쉬다가 절대 안 그런다고 빌다가..

 

그리고 애 둘 낳고 무섬증도 없어지고 시부모님한테 싫은 티도 낼 줄 아는 지금..

(이제 여차저차해서 큰 집에 안 가고 시댁만 방문해요)

지난 연휴 기간 첫날 시댁가려다 남편이 안 간다 해서 집에서 TV도 보고 집안일도 하고 쉬구요

둘째날 추석 당일 가족이 다 늦잠 자서 허둥지둥 간 게 아침 11시 (시댁이랑 같은 도시예요)

아침 식사 이미 하신 상황이라 어머님이 해두신 잡채랑 갈비찜에 밥 먹고 우리 식구 먹은 설거지 하고

TV 보다 폰 보다 송편 먹다 애들은 PC방 보내고 어머니 주무시길래 저도 작은 방 들어가 한숨 자고 일어나니

이른 저녁 차리셨길래 남자들 애들 먹이고 나서 어머니랑 둘이 앉아 도란도란 얘기하며 밥먹고 다시 설거지.

애들 보드게임하고 놀길래 기다렸다 잡채 싸가지고 집에 온 시간 저녁 8시.. 였어요.

당일날 친정부모님이랑 밥은 못 먹었지만 저는 불만 없어요.

왜냐면.. 제가 친정집이랑 바로 붙어서 살거든요. ㅎㅎ

그리고 남은 연휴 3일은 친정 부모님이랑 밥도 먹고, 애들 데리고 놀러도 가고 알차게 보냈답니다.

 

첫명절과 최근 명절 사이에 많은 명절들과 일들이 있었지요.

제 의지가 반영되지 않은 시댁내의 일들, 또 저랑 시부모님이 서로 적응하는 가운데 트러블도 조금.

서로의 기대치를 낮추고 배려하는 자세 착장 등 ..

이렇게 별 거 아닌 글을 쓴 이유는 저처럼 힘들었던 첫 명절을 보내신 새댁들이 있을 거 같아서

시간이 지나면 이렇게 편해질 수 있다고 말해주고 싶었어요.

물론 이번 명절은 당일날 친정에 가지 않았지만 한동안은 큰 집에서 차례지내고 바로 친정으로 갔었구요.

목소리 크신 시아버님도 며느리한테 직접 친정 가지 말라는 말씀은 못 하셔서 몇번은 못마땅한 표정이셨지만

나중엔 당연하게 여기셨고 지금은 저녁이 되어도 친정에 가야겠다고 서둘러 일어나지 않는 제 눈치를 보시는 것 같기도..

(이건 제 오버일 수 있지만요 ㅎㅎㅎㅎㅎㅎ)

 

시댁이 아주 막장이 아니라면 본인이 스스로 주장하고 원하는 바를 취하고 어느 정도는 둔하게 반응하시는 것,

그리고 남편을 내 편으로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생각하시고

이번 명절 스트레스 쌓아두지 말고 앞으로 이런 명절을 보내야겠다, 생각하고 남편이랑 공유하세요.

저는 시댁에서 먹고 자고 시간 보내는 게 너무 지겨워서 영화도 보러 가고 공원에도 놀러 가자고..

집귀신인 남편을 꼬드기는데 몇 년 걸렸어요.

저희 친정엄마는 시부모님이 천하의 보살이라고 여기시는데.. 

그 거 다 내가 쟁취한 거라고~ 말하고 싶네요 ㅎㅎㅎ

 

IP : 210.105.xxx.22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ㅡㅡ;;;
    '16.9.20 3:25 PM (216.40.xxx.250)

    그정도 연차면 아예 안가도 누구도 뭐라못할 때에요.
    누가 아쉽나요 욕좀 들어도.
    노인네들 이젠 며느리 눈치봐야지 안그럼 누가 자기들 수발하나 싶어서.

  • 2. ...
    '16.9.20 3:38 PM (221.146.xxx.134) - 삭제된댓글

    그게 가만히 난 종년이요하고 꾹꾹참고 희생해서 변화된게 아니란걸 알아요. 울남편도 정말 착한데 싸우지않으면 내가 명절때 부엌에서 얼마나 가시방석인줄 모르더라구요. 싸워야하고 싫은내색해야하고 넘 힘들면 안하기도 해야합니다.
    님처럼 의지를 갖고 명절중노동을 바꾸시는분들 덕분에 우리 다음세대들은 한두끼 가족식사만하는 즐겁고 편한 명절, 차례상 제사없는 그런 시절을 보내길 간절히 바래봅니다..

  • 3. 헌댁
    '16.9.20 3:59 PM (210.105.xxx.221)

    ㅍㅎㅎㅎ 맞습니다~
    애 낳고 나면 무서운 거 없다고 직장 선배들이 그러더니 그게 다 연차 얘기죠.
    이젠 측은지심으로 서로 봐주는 거죠.

    참기만 하고 희생만 하면 아무도 모르더라구요.
    참을 땐 참고 나 그 때 참았다, 하고 얘기해야 알고 한번씩은 폭발도 하고
    대놓고 얘기도 하고 돌려서 하기도 하고 아버님 어머님 남편이랑 돌아가면서요 ㅜㅜ
    우리 세대에서 조금씩 바꿔서 우리 자식 세대는 정말 즐겁고 편한 명절이 되길 바라요~

  • 4. ..
    '16.9.20 4:02 PM (59.1.xxx.104)

    보통은 그렇게 살고 있지요..
    투사같은 분들도 많으시겠지만
    서로 잘 견디며 살아온 거 같아요..

  • 5. 17년차
    '16.9.20 6:44 PM (118.37.xxx.198) - 삭제된댓글

    글 잘 읽었습니다.
    저도 지방의 시부모님과 큰 아버님내외 작은 아버님 내외 저희집에 와서 주무실때 침대에서 이불덮고 숨죽여 울던 기억이 나네요.
    신혼집 원룸에 오셔서 저희는 침대에, 나머지 가족들 모두 바닥에서 자더라고요. ㅎㅎ
    명절때마다 집에 오는 길에 남편과 싸우고.
    몇년 지나면서는 내가 힘들다는걸 좋게 어필하니 남편도 이해해주더라고요.
    지금은 어머님한테 웃으면서 잔소리좀 그만하시라 핀잔도 드리고, 그 고집세신 시아버님 앞에서도 하고싶은 말 잘해요.
    남녀불평등 모르고 교육받은 처자들이 결혼해서 부당한 대우를 받을때 얼마나 화가 나고 분할지 이해도 가지만 현명하게 잘 극복해갔으면 하는 바램이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9268 휴대폰 중독성 진한게임 알려주세요 10 ㅇㅇ 2016/09/21 953
599267 말년에 애잔해보이는 안젤리나졸리 아부지 5 Dd 2016/09/21 3,111
599266 울산 가사도우미 1 헬로키티 2016/09/21 2,665
599265 (절실)크로아티아 다녀오신 분 계세요? 46 dd 2016/09/21 4,629
599264 매립지 아닌 지역 부산 아파트에 사는 분들은 얼마나 흔들리셨나요.. 9 rrr 2016/09/21 2,588
599263 그릇 얼마나 쓰고 버리세요 5 ㅡㅡ 2016/09/21 2,799
599262 이혼하고 시댁사람들 안봐서 속시원한분 계신가요? 9 . 2016/09/21 3,819
599261 강수정 tv에 나오네요 9 희망 2016/09/21 6,914
599260 남편이 항상 웃으며 생활하래요. 12 abc 2016/09/21 5,251
599259 브래드피트는 당최 욕을 안먹네요 14 옴마파탈 2016/09/21 5,052
599258 누진세는 가을과 지진으로 ......정부, 한전 정말 민간기업과.. 4 가을이 2016/09/21 783
599257 공대가 아무리 대세라도.. 9 .. 2016/09/21 4,430
599256 고양이 중성화수술 녹는 실밥 좋은가요? 2 2016/09/21 4,345
599255 배고프면 밥만 생각나시는분 있나요 6 이상해 2016/09/21 791
599254 지진 불안증때문에 일상생활이 잘안돼요.ㅠㅠ 5 ㅇㅇ 2016/09/21 1,775
599253 디스크가 약간 있다는데 3 에휴 2016/09/21 883
599252 지진 보험 의미 없을까요?..ㅜㅜ 4 부산새댁 2016/09/21 1,329
599251 직장후배이야기 2 이해가 안됨.. 2016/09/21 1,296
599250 아들 체육복 반바지 땀냄새 없애는 방법좀... 11 중딩 2016/09/21 3,876
599249 도토리가루랑 도토리묵가루랑 구분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4 ... 2016/09/21 1,282
599248 지상욱지지자들 '금품살포' 수사지연.총선'봐주기' 의혹 심은하남편 2016/09/21 561
599247 파김치 맛없어진거 어찌 먹나요?-익어서 맛없어진거 9 ^^* 2016/09/21 1,232
599246 친구랑 놀다 얼굴을 쳐서 안경이 박살났다는데...어떻게하나요? 22 ㅇㅇ 2016/09/21 4,498
599245 이탈리아 노래인것 같은데 만자레~ 오오오 만자레 하는 노래 가 .. 5 궁금 2016/09/21 1,045
599244 구르미 최근꺼 일부러 재방 안하나봐요 9 케이블 2016/09/21 1,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