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지진 겪고는 싱크대 상부장의 무거운 물건들을 다 내다버리려고 꺼냈어요.

대구.. 조회수 : 2,214
작성일 : 2016-09-20 10:40:55

지난 주에 지진을 겪은 후엔 기저귀 가방을 큰걸로 바꿔놔서

언제든 들고 대피할 수 있게 최소한의 것들이라도 챙겨놨어요. 

아기띠도 항상 기저귀 가방 위에 걸쳐놓구요. 현관문 앞에 두고 다녀요. 

어제 아이들이랑 주방에 있던 와중에 지진을 느꼈어요.

곧바로 가스렌지 끄고, 아기띠로 아기 안고, 5살 딸 아이는 잠옷 입은 채로 손잡고 계단으로 대피해서 나왔어요.

애 둘을 데리고 비상용 기저귀 가방만 매고 내려오는데 정말 다리가 후들거리고 앞이 캄캄하더라구요. 

지난 번엔 한 시간에 후에 더 센 지진이 와서 이번에도 아파트 근처 공원까지 걸어나가서 10시까지 서성이다가

두려움에 떨면서 집에 들어왔어요.

 

집에 와서는 지진이 날 때 위험할 수 있는 것들을 치워야겠단 생각이 들더군요.

둘러보니 주방 씽크대 상부장이 가장 위험할 것 같아요. 깨질 것들이 한가득이에요. 

평소에 안쓰는 도자기 그릇들을 넣어두고, 파스타 소스병 같은 것들도 피클 담을 때 쓰려고 모아놨어요.

어제 주방에서 아이들이랑 지진을 겪고 나니 도자기 그릇, 유리병들이 비상시에 흉기가 될 것 같아서 다 꺼냈어요.

 

뭐든지 다 갖다 버리는 미니멀리즘에 약간 거부감도 있었는데,

지진을 겪고 나니 무겁게 쟁여놓는 것들은 절대 하지 말아야겠단 생각이 절로 들어요.

침실 붙박이장 윗칸의 리빙박스도 붙박이장 문열리고 떨어지면 치명적이지 싶은데,

전부 바구니로 옮겨서 내려놔야 할까봐요.

저 진짜 예민한 타입 아닌데, 이젠 무섭네요.

IP : 125.62.xxx.116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6.9.20 10:56 AM (14.47.xxx.196)

    상부장엔 플라스틱만 넣어놓고 무거운 그릇은 아래에 놨어요..
    평소에도 위험해보이잖아요.
    상부장이 튼튼해봐야 얼마나 튼튼하겠어요

  • 2. 00000
    '16.9.20 11:03 AM (58.140.xxx.31)

    전 장농이 넘어질까 무서워 아침내내 장농지지봉 검색하는데
    일본에서만 파나봐요....직구해야하는지.....

  • 3. 일본
    '16.9.20 11:05 AM (222.107.xxx.181)

    미니멀리즘 선두주자들 보면
    일본 대지진때 물건들 쏟아지고
    그 물건들 때문에 다치고, 죽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부터
    버리기 시작했다는 사람들이 꽤 되네요
    원글님도 같은 걸 느끼신듯...

  • 4. 저도
    '16.9.20 11:10 AM (112.162.xxx.48) - 삭제된댓글

    오늘 아침 유기랑 무거운 그릇들은 씽크대 하부장으로 내려 놨어요

  • 5. 대구..
    '16.9.20 11:12 AM (125.62.xxx.116)

    일본에 왜 미니멀리즘이 유행했는지 이해가 될 것 같아요.
    정말 지진 나서 수납장 물건들이 쏟아지면 순식간에 다치고, 현관문도 막힐 것 같아요.
    도자기 그릇들은 재활용이 안돼서 종량에 봉투에 넣었는데,
    치우는 분들이 깨져서 다칠까봐 다시 꺼내서 보자기에 일일이 싸서 버리고 왔어요.
    또 집안을 둘러보면서 버릴만한 것들 챙기려구요.
    언젠가는 쓸 것 같아서 차곡차곡 정리해놓고 살았는데, 이젠 버려도 하나도 아깝지가 않아요.
    지진을 계기로 생활습관이 바뀔 것 같아요.

  • 6. 사기 같은
    '16.9.20 11:33 AM (1.225.xxx.71)

    무거운 그릇은 원래 상부장엔 안 올려놨어요.
    그릇들 상부장에 보관하다보면
    상부장이 처지는게 보이더라구요.
    싱크대 공사할 때 봤는데
    상부장 뒤에 나무 판대기 두어개 팡팡 박고
    그 나무판대기에 의지에서 상부장을 설치하는 거더라구요.
    절대 탄탄하게 붙어있지 않아요.
    무거운거 올려놓음 안 돼요.

  • 7. 복불복
    '16.9.20 12:03 PM (39.118.xxx.68)

    저는 지난번 지진 후 벽에 걸은 액자들 모두 내리고 탁자위에 있는 액자나 장식품들 모두 치워버렸어요. 지진 크게 나면 이런 것들이 모두 흉기가 되겠더라구요.
    일본인들이 왜 미니멀리즘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알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8771 명절 전날 늦는걸로 매번 집안이 살벌해요 34 mm 2016/09/20 6,778
598770 이 와중에도 웃을일은 있네요 2 지진 2016/09/20 883
598769 이런 아이는 2 기대 2016/09/20 518
598768 가사도우미를처음시작하려고하는데요. 7 가사도우미 2016/09/20 1,861
598767 중딩아들의 사회성 3 2016/09/20 1,258
598766 결혼해서 좋은점 나쁜점 3 결혼25년차.. 2016/09/20 931
598765 그릇 고수님들, 결혼 선물 좀 골라주세요~~ 9 데이지 2016/09/20 1,593
598764 지진 정말 이대로 괜찮은건지 ;;; 4 지진 2016/09/20 1,333
598763 지진 겪고는 싱크대 상부장의 무거운 물건들을 다 내다버리려고 꺼.. 6 대구.. 2016/09/20 2,214
598762 알레르기 비염에 좋은 게 작두콩. 유근피인가요?? 5 .. 2016/09/20 2,183
598761 붙박이장과 일반장중에 6 고민 2016/09/20 1,963
598760 폭식증 고치신 분 도움이 필요해요 3 폭식 2016/09/20 1,240
598759 참여정부위기관리대응 매뉴얼 중국도 벤치마킹해갔었네요. 7 ㄹㄹ 2016/09/20 790
598758 이문열 소설읽다가 의아한점 23 ㅇㅇ 2016/09/20 3,063
598757 직장맘 이사갈 동네 고민입니다. 6 엄마 2016/09/20 1,218
598756 방금전 여진 또 있었대요.. 1회추가 되서 401회 1 경주지진특보.. 2016/09/20 1,649
598755 큰 지진 오면요 1 . 2016/09/20 992
598754 미니백 추천해주세요~~ 5 Mini 2016/09/20 1,967
598753 거짓말하는 남편 어떻게 할까요... 2 도움절실 2016/09/20 1,629
598752 어제 지진 이후 아파요.. 1 .. 2016/09/20 758
598751 아기 키우는 친구집에 방문할 때... 4 고민 2016/09/20 1,067
598750 추석선물 받거나 선물하신것중 5만원선 먹거리 추천부탁이요 9 2016/09/20 1,149
598749 비정상 회담을 주행하고 있는데 6 ㅇㅇ 2016/09/20 1,353
598748 50이후에 새로운걸 배우는분들 계신가요? 7 인사동카페 2016/09/20 2,232
598747 스마트폰 바꿔야하는데 뭐로 해야하나요 ? 5 마음 2016/09/20 1,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