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고지방 저탄수. 해외도서 섭렵하고 다 해 보았는데..

.. 조회수 : 4,222
작성일 : 2016-09-20 01:34:29

브레인그레인도 읽어보고

온라인으로 찾을수 있는글들 유튜브 내용 다 찾아보고요.

고 지방식에 대해 한참 공부했었어요.

 

그런데 전 효과를 못봤어요.

못 봤기 보단...우선 10일정도 했는데 살이 거의 안빠졌고요.

몸은 상당히 힘들었어요.

정말 힘들었어요.

그래서 결국 포기..

 

이게 맞는 체질이 있고 안맞는 체질이 있는것 같은데..

 

한국사람에게 맞춘 내용인지 궁금하네요..

 

외국인은 원래 육식문화가 컸으니 그런 식생활이 맞을수 있는데..한국사람 체질엔 육식이 잘 안맞는다고 어려서 들었거든요..한국사람은 외국인에 비해 내장 길이가 길데요..그래서 육식이 안맞다고..

 

전 해 보았는데 10일 넘기기가 무지 힘들었어요.

예전에 고단백 할때는 살이 잘 빠졌는데..고지방으로 하니 살이 거의 안빠졌어요.

그래서 전 다시 고단백으로 하려고해요..

 

혹시 고지방 해보신분?

IP : 61.72.xxx.143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9.20 1:56 AM (59.7.xxx.224)

    고지방은 아니구요, 덴마크다이어트를 한번 해봤는데요,
    이것도 탄수화물 제한 식이요법이거든요.
    전 효과 봤어요. 2주하고 2주 보식까지 제대로 지켰더니, 4키로는 빠지더라구요.
    탄수화물 안먹어도 살아지는구나..느꼈어요 ㅎㅎ

  • 2. 쥬쥬903
    '16.9.20 4:22 AM (58.72.xxx.252)

    그레인 브레인 읽으신거 맞아요?
    지방만 많이 먹고 저탄수하라고 어디에 써잇나요.
    ㅠㅠㅠ

  • 3. ..
    '16.9.20 4:43 AM (61.72.xxx.143) - 삭제된댓글

    쥬쥬님이야 말로 그레인브레인 읽으신것 맞나요? ㅠㅠ
    키토제닉 다이어트의 기본이 저탄수인데요...탄수화물 50그램 이하..혹은 어떤 사람들은 75그램까지

    그레인 브레인 읽고 유튜브에 실제 경험자들 동영상 보고 그외 다른 키토제닉 다이어트 관련 책들 아마존 킨들로 사서 봤고요..내용이 약간 섞일순 있는데..그레인브레인도 같은 내용이잖아요..
    시간이 흘러 지금은 숫치가 잘 기억나지 않지만..85프로를 지방..10프로를 단백질..5프로를 탄수화물...뭐 대충 이랬던것같아요.
    탄수화물이 50그램 이하로 유지되어야 키토제닉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고..

  • 4. ...
    '16.9.20 4:45 AM (61.72.xxx.143)

    쥬쥬님이야 말로 그레인브레인 읽으신것 맞나요? ㅠㅠ
    키토제닉 다이어트의 기본이 저탄수인데요...탄수화물 50그램 이하..혹은 어떤 사람들은 75그램까지

    그레인 브레인 읽고 유튜브에 실제 경험자들 동영상 보고 그외 다른 키토제닉 다이어트 관련 책들 아마존 킨들로 사서 봤고요..내용이 약간 섞일순 있는데..그레인브레인도 같은 내용이잖아요..
    시간이 흘러 지금은 숫치가 잘 기억나지 않지만..85프로를 지방..10프로를 단백질..5프로를 탄수화물...뭐 대충 이랬던것같아요.
    탄수화물이 50그램 이하로 유지되어야 키토제닉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고..

    그리고 전 원서로 읽어서..번역본은 한국 식생활에 맞게 탄수화물이 더 추가된 식단을 보여줬을수도 있겠어요..

  • 5. ㅁㅁ
    '16.9.20 8:12 AM (119.237.xxx.60) - 삭제된댓글

    맞아요. 외국서적들은 서양인의 몸에 맞춘 과학을 이야기하는 거라 동양인의 몸과는 맞지 않아요. 그레인 브레인, wheat belly, eat dirt 같은 책들 읽어보면 곡물의 극단적 제한을 권장하지만 사실상 그런 차가운 샐러드나 채식에 고기나 기름을 먹고 곡물을 제한하는 식사가 동양인의 몸에는 무리가 갈수 있다고 봐요. 같은 한국인도 팔체질에 따라 식이를 달리해야 한다고 보는데 이렇게 한가지 식이요법을 모든 사람에 적용하는 건 아닌듯 해요. 특히 육식과 지방에 대해 무장해제한 이런 식사법은 체질적으로 지방분해효소가 적은 이들에겐 부담이 올수도 있고요. 곡물은 당연히 줄여야 하지만 위에 제시한 책들은 지나친 면이 있어요.

  • 6. 효과봤어요.
    '16.9.20 8:49 AM (211.36.xxx.53)

    하루에 한 끼만 탄수화물 섭취하고 나머지는 야채와 고기.
    고기는 닭가슴살에 허브양념해서 팬에 기름두르고 구어먹었구요.
    호주산 쇠고기를 주로 먹었네요.
    4킬로 뺐다가 다시 탄수화물 먹었더니..ㅠ
    다시 시작 할려고 좀전에 고기 먹었어요.

  • 7. ...
    '16.9.20 9:31 AM (115.136.xxx.3)

    현미채식위주 식사만 해도 살이 빠진다고 하는데,
    한국사람들에겐 그게 맞는게 아닌가 싶어요.
    고지방, 고 단백질 초기에 살빠지는 효과가
    있다고 해도, 장기로는 안좋을것 같아요.

  • 8. 작년
    '16.10.2 7:27 PM (119.205.xxx.237)

    작년 봄에 저도 원글님처럼 영어 자료 찾아서 재료들도 다 사서 제대로 고지방 다이어트 했다가 한달쯤 하다 나중에 피부 뒤집어져서 원인 분석하느라 구글 검색도 한참 했었는데 결국 확실한 해결방법이 없고 돈도 너무 들고 모든 음식을 저탄수화물 방식으로 만
    들어 먹는데 지치고 우유와 쥬스가 너무 먹고 싶어 그만 뒀어요.

    살은 적당히 빠져요. 얼굴어 뾰루지도 안나고. 전 체중을 안재고 옷핏이 사는지에만 신경 쓰는데 허리 라인 엉덩이 허벅지 라인이 정리가 돼요.



    근데 그냥 인간이 먹을 수 있는 재료 다 골고루 먹는 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8931 전윈주택(세컨하우스)산 언니네 선물, 추천부탁합니다. 15 부럽다 2016/09/20 1,821
598930 아이허브에서 프로폴리스나 유산균사려는데.. 1 추천좀.. 2016/09/20 1,198
598929 여러분 어떨때 제일 스트레스받으세요? 6 2016/09/20 1,022
598928 남자친구랑 저희부모님이랑 만나는데요 14 11 2016/09/20 3,016
598927 묵은쌀 떡해먹으려고 하는데요 3 2016/09/20 1,825
598926 이 가구브랜드 뭘까요? ;; 6 아시는분? 2016/09/20 1,634
598925 시험관아기 해보신 분들..많이 아프던가요?ㅠ 15 걱정 2016/09/20 5,684
598924 중 1딸아이 자꾸 벌점..화장한다고.ㅜㅜ 13 속상.. 2016/09/20 2,555
598923 친구가 없는 딸 12 걱정맘 2016/09/20 5,054
598922 이거 뭔가요? 3 @@ 2016/09/20 666
598921 도미토리침대ㅡ처음사용합니다. 6 떠나요 2016/09/20 1,289
598920 저도 후쿠오카 여행에서 본 20대 아가씨들 모습 ㅋ 1 .... 2016/09/20 2,485
598919 갠차 있겠지만 장롱면허 도로연수 몇시간 받아야될까요?? 14 장롱면허 2016/09/20 3,462
598918 어제도 지진 전 컨디션에 대해 글 올렸는데요 여러분들 오늘 6 .. 2016/09/20 1,654
598917 쌀을 버리고 싶은데, 어떻게 버려야 할까요? 8 마로니에 2016/09/20 1,943
598916 국토부 실거래가 조회 3 궁금 2016/09/20 4,099
598915 산다는거 1 2016/09/20 619
598914 대기업.. 같은팀원들끼리 영화보러도 가나요? 34 에휴 2016/09/20 3,636
598913 키 커 보이는 얼굴 vs 키 작아 보이는 얼굴 10 .... 2016/09/20 6,807
598912 대가족 여행지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호피 2016/09/20 355
598911 오사카사는 친구가 지진 2번 느꼈데요 1 ... 2016/09/20 1,898
598910 그냥 다 포기하고 사줘버릴까요? 18 다싫다 2016/09/20 6,967
598909 북한 홍수난거 도와주면 안되는 이유 2 북한수해 2016/09/20 926
598908 구르미 보느라 못봐서 그러는데 이준기 상처가 어떻게.. 4 베베 2016/09/20 1,616
598907 마음이 울적합니다... 9 종이학 2016/09/20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