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전기요금 얘기가 많아서.. 38평인데 평소에 세대전기료 만 원 이하로 나와요.

의도하지 않았는데 조회수 : 2,171
작성일 : 2016-08-24 16:22:44

저희는 이상하게 신혼 때 21평 살 때 부터 전기요금이 정말 조금 나왔어요. (6년 전)

그 때는 세대전기료가 5~6천원밖에 안나와서 주위 사람들이 모두 계량기가 잘못된 것일거라고 그랬는데

2년 전에 38평으로 이사왔는데도 9천~1만원 정도 나오는 걸 보니 그건 아닌 것 같아요.


집안에서 쓰는 자주 가전이.. 원래 전기압력밥솥은 없었는데 이사하고 나서 3인용으로 하나 샀구요

통돌이 세탁기, 양문형 냉장고, 밀레청소기, 오토비스, 헤어 드라이어, 노트북,

가끔 컨벡스 오븐이나 리큅 건조기 돌릴 때 있구요

아기 때문에 와이파이로 보는 cctv 있고, 32인치 TV있어요.

전자렌지나 정수기, 김치냉장고는 없구요.

거실에 TV가 없고 서재방에 두니 사실 TV는 거의 안보게 되더라구요.


저희 시댁이나 친정 비슷한 평수인데 엄청 절약하시는 분들인데도  3만원 이상은 나오더라구요.

예전 가전들이 전기 소모량이 많아서 그럴까요?




IP : 168.248.xxx.1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전기를
    '16.8.24 4:35 PM (122.34.xxx.138)

    사용량으로 비교하지않고 요금으로 비교하면
    구간 넘으면 부과되는 누진세 때문에 차이가 더 많이 나죠.

    그리고 어르신들이 전등은 열심히 끄지만
    하루종일 TV를 틀어놓으시잖아요.
    발열되는 전기제품을 쓰면 아무리 아껴도 전기요금 많이 나와요.

  • 2. 존심
    '16.8.24 4:41 PM (14.37.xxx.183)

    맞벌이에 애가 없어야 가능한 요금인데요...

  • 3. ㅇㅇ
    '16.8.24 4:51 PM (49.142.xxx.181)

    34평이고 말씀하신 가전 대부분 있고 비데와 데스크탑 하나 더있고 티비는 2대인데 한대는 42인치 한대는 23인치led고 대학생 딸과 부부 살고 늘 집에 사람 있는데 저희는 한 1만2~3천원 나와요.
    딸이 매일 드라이기 고데기 쓰고 세탁기는 매일 돌려서 그런듯..

  • 4. 신혼 21평 살때부터
    '16.8.24 5:03 PM (118.37.xxx.5)

    3만원 이하는 내본적이 없네요

  • 5. 정말 궁금해요..
    '16.8.24 5:28 PM (59.7.xxx.209)

    혼자 사는데 아무리 줄여도 2만5천원 밑으로 내리기 힘들어요. 200킬로와트를 항상 넘기더라고요.
    201, 205, 220 이렇게요. 저는 tv도 없어요. ㅜ

    800리터 1등급 냉장고 (한달에 34kw 소모) 외에는 노트북,
    일주일에 한번 전기압력밥솥으로 밥해서 냉동실에 넣어두고 전자레인지로 해동시켜 먹고요.
    (매일 밥하는 거나 전자레인지에 3분 돌리는 거나 같거나 전자레인지가 전기 덜 쓰죠)
    커피포트 종종 이용하고..
    그러니까 상시-자주 쓰는 가전 순으로 - 냉장고/노트북/커피포트/전자레인지/밥솥..

    진공청소기는 2주에 한번 쓸까 말까 하고요. (캐치몹 밀대걸레로 밀지, 청소기 안돌려요.)
    세탁기도 1주에 한번 돌리고요. 가끔 미싱질하고.. 이게 다인데 2만원 밑으론 안떨어져요.
    전등도 거실불은 거의 안켜고 안방불 하나만 쓰고요.

  • 6. 신기해요
    '16.8.24 6:08 PM (121.161.xxx.180) - 삭제된댓글

    선풍기 에어콘 없으신가요?
    난방과 온수는 전기로 가동하는 개별 보일러 안 쓰시구요?
    저희는 원글님 쓰신 가전 중에 청소기와 오토비스 없고 컨벡션 오븐도 없도
    선풍기와ㅜ에어컨 있고 케이블 봐서 셋톱박스 돌아가요. 안 볼 땐 꺼두고요.
    그래도 평소에 280정도 나오고 겨울 난방할 땐 300약간 넘고
    여름에 냉방할 땐 400좀 넘게 쓰고요.
    음 노트북 쓰시면 회사에서 충전 다 해와서 집에선 무선상태로만 쓰시면 좀 절약될테고
    냉난방을 중앙에서 관리한다면 별도로 공동요금낼테고
    혹시 집에서 거의 요리를 안하시는 것 아닌가요?
    조리할 때 환풍기 돌리는 것만 해도 엄청날텐데.. 화장실 환풍기도 가족들 많거나 집에 하루종일 누군가 있으면..
    맞벌이하시는 분들은 웬만한 빨래는 속옷 빼고 더 세턱소 맡기던데 그럼 세탁기 적게 쓰니 그럴 수도 있을까요?
    몇달 전 일주일 여행 다녀왔더니 전기료가 평소보다 반 정도만 나오더라구요.
    집에 있는 시간이 적어야 전기료가 안나오더라는..
    저희도 중앙난방 살 때가 전기료는 더 적게 나왓었어요.

  • 7. ..
    '16.8.25 10:40 AM (168.248.xxx.1)

    선풍기 두 대 있고 에어컨은 안방에 벽걸이 한 대 있어요.
    물론 8월에는 좀 더 나오죠. 그래도 3만원 이하에요.
    노트북은 집에서만 쓰는거라 회사에 들고 다니진 않아요.
    어린이집 안다니는 아기가 있어서 삼시세끼 집에서 해먹여서 요리는 매일 하는데 요리 할 때 전기 쓸 일은 별로 없더라구요. 생선 굽지 않으면 요즘같은 땐 늘 창문 열어두니 환풍기 돌릴 일도 잘 없구요.
    세탁은.. 저희는 다 세탁기로 세탁하는데 일주일에 6~7회 정도 돌려요.

    참, 난방비랑 온수비는 따로 책정되어서 나오더라구요. 그런데 대부분 아파트가 난방비, 온수비는 별도 아닐까요?
    저희도 참 신기해요.

  • 8. 신기해요
    '16.8.25 3:12 PM (121.161.xxx.180) - 삭제된댓글

    저는 중앙난방 아파트와 개별난방보일러 돌리는 아파트에서 살아봤는데요
    중앙난방은 난방과 급탕을 따로 요금 부과하죠. 세대별로 따로 보일러가 없으니까요.
    개별 보일러 아파트는 난방비와 온수비 따로 안나오고 가스요금과 전기요금으로 구분되요.
    세대별 보일러로 난방 온수 다 해야 하니까 여름에도 온수 쓰려면 보일러를 늘 온수전용으로 가동시켜야 하고
    가스를 연료로 하지만 보일러 기계 자체는 전기로 돌아가잖아요.
    그 전기료가 세대별 전기요금에 들어가요 ㅠ.ㅠ
    그래서 개별 보일러 아파트는 전기요금이 많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중앙난방은 난방이나 온수용으로 쓰는 전기를 공동전기료로 부과하는 거니까
    세대 사용요금에 누진이 발생하지 않을 듯...
    근데 요즘도 중앙난방식 아파트가 있나요?
    열병합식 아파트는 살아보지 않아서 어떻게 전기 난방 온수 부과되는지 모르겠어요.

  • 9. ..
    '16.8.25 4:15 PM (168.248.xxx.1)

    그렇군요

    제가 사는 아파트가 열병합 방식인데 전기요금에 난방에 들어가는 전기는 포함 안되는 것 같아요.
    그런데 저희 탑층이라 겨울에 난방비가 정말 어마어마하게 나온답니다.
    많이 나올 때 난방비만 25만원, 급탕비는 6만원 넘게 나왔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3024 조계종 큰절 주지 선거가 여의도 정치판과 똑같네요 아사리판 06:11:22 91
1773023 세탁기 같은 스펙인데 100만원이나 차이가 나요 ... 06:06:42 126
1773022 대장동' 남욱들 강남 부동 산, 100억 올라 추징금은 '0원 ..... 06:03:22 168
1773021 나스닥 말아 올리고 있음 - 추매의 기회 3 나스닥 05:51:47 605
1773020 '1000만원 학비' 사립초인데 기초수급자 자녀가 41명 ㅇㅇ 05:33:08 593
1773019 (스포)디즈니플러스의 조각도시는 Dd 04:41:55 488
1773018 요즘 필라테스 수강료는 한 달 짜리는 없나요? 2 필라테스 03:57:58 551
1773017 미국주식 크게 하락 중 10 ........ 03:29:06 3,192
1773016 대체 지금 안 자고 뭐하나요? 14 ㅇㅇ 02:46:14 1,641
1773015 챗gpt가 정말 요물이네요 7 .. 02:27:37 2,488
1773014 정신건강 안 좋은 남자들만 꼬이네요 3 안녕하세요 01:47:48 1,183
1773013 3.3% 소득신고 하면........홈택스에서 제 소득증명서 뗄.. 3 --- 01:42:26 616
1773012 김희선 드라마 다음생은 없으니까 육아설정 심하네요 3 .. 01:28:15 1,750
1773011 이런 경우들 종종 있죠 맏이만 잘 사는 집 동생들 3 느라미 01:22:44 824
1773010 박성재는 오늘 구속결정 나오나요? 23 01:19:27 1,516
1773009 수능은 망쳤으나.. 1 .... 01:19:13 1,569
1773008 부부중 발언권 센 여자들 비결이뭘까요? 11 비결 01:12:49 1,631
1773007 명언 - 성공할 기회 ♧♧♧ 01:10:33 401
1773006 대학레벨, 언제는 어땠다, 언제는 이랬다 하지 맙시다 1 ... 01:06:25 562
1773005 오분도미는 맛이 없네요 찰기도 없고 4 .... 01:00:28 513
1773004 다크모드가 눈에 더 안좋대요 ㅇㅇ 00:59:33 719
1773003 김장 재료 사서하면 10kg기준 얼마정도 들까요? 1 .. 00:49:53 418
1773002 조두순 또 무단이탈 시도…‘섬망 증세’에 아내도 떠나 6 ........ 00:31:03 2,219
1773001 고3아이 수능..망쳐서 재수한다는데 13 ss 00:29:06 2,492
1773000 농아인협회도 성폭행이 아주 일상적인가보네요 4 .. 00:27:26 1,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