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전기요금 얘기가 많아서.. 38평인데 평소에 세대전기료 만 원 이하로 나와요.

의도하지 않았는데 조회수 : 2,169
작성일 : 2016-08-24 16:22:44

저희는 이상하게 신혼 때 21평 살 때 부터 전기요금이 정말 조금 나왔어요. (6년 전)

그 때는 세대전기료가 5~6천원밖에 안나와서 주위 사람들이 모두 계량기가 잘못된 것일거라고 그랬는데

2년 전에 38평으로 이사왔는데도 9천~1만원 정도 나오는 걸 보니 그건 아닌 것 같아요.


집안에서 쓰는 자주 가전이.. 원래 전기압력밥솥은 없었는데 이사하고 나서 3인용으로 하나 샀구요

통돌이 세탁기, 양문형 냉장고, 밀레청소기, 오토비스, 헤어 드라이어, 노트북,

가끔 컨벡스 오븐이나 리큅 건조기 돌릴 때 있구요

아기 때문에 와이파이로 보는 cctv 있고, 32인치 TV있어요.

전자렌지나 정수기, 김치냉장고는 없구요.

거실에 TV가 없고 서재방에 두니 사실 TV는 거의 안보게 되더라구요.


저희 시댁이나 친정 비슷한 평수인데 엄청 절약하시는 분들인데도  3만원 이상은 나오더라구요.

예전 가전들이 전기 소모량이 많아서 그럴까요?




IP : 168.248.xxx.1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전기를
    '16.8.24 4:35 PM (122.34.xxx.138)

    사용량으로 비교하지않고 요금으로 비교하면
    구간 넘으면 부과되는 누진세 때문에 차이가 더 많이 나죠.

    그리고 어르신들이 전등은 열심히 끄지만
    하루종일 TV를 틀어놓으시잖아요.
    발열되는 전기제품을 쓰면 아무리 아껴도 전기요금 많이 나와요.

  • 2. 존심
    '16.8.24 4:41 PM (14.37.xxx.183)

    맞벌이에 애가 없어야 가능한 요금인데요...

  • 3. ㅇㅇ
    '16.8.24 4:51 PM (49.142.xxx.181)

    34평이고 말씀하신 가전 대부분 있고 비데와 데스크탑 하나 더있고 티비는 2대인데 한대는 42인치 한대는 23인치led고 대학생 딸과 부부 살고 늘 집에 사람 있는데 저희는 한 1만2~3천원 나와요.
    딸이 매일 드라이기 고데기 쓰고 세탁기는 매일 돌려서 그런듯..

  • 4. 신혼 21평 살때부터
    '16.8.24 5:03 PM (118.37.xxx.5)

    3만원 이하는 내본적이 없네요

  • 5. 정말 궁금해요..
    '16.8.24 5:28 PM (59.7.xxx.209)

    혼자 사는데 아무리 줄여도 2만5천원 밑으로 내리기 힘들어요. 200킬로와트를 항상 넘기더라고요.
    201, 205, 220 이렇게요. 저는 tv도 없어요. ㅜ

    800리터 1등급 냉장고 (한달에 34kw 소모) 외에는 노트북,
    일주일에 한번 전기압력밥솥으로 밥해서 냉동실에 넣어두고 전자레인지로 해동시켜 먹고요.
    (매일 밥하는 거나 전자레인지에 3분 돌리는 거나 같거나 전자레인지가 전기 덜 쓰죠)
    커피포트 종종 이용하고..
    그러니까 상시-자주 쓰는 가전 순으로 - 냉장고/노트북/커피포트/전자레인지/밥솥..

    진공청소기는 2주에 한번 쓸까 말까 하고요. (캐치몹 밀대걸레로 밀지, 청소기 안돌려요.)
    세탁기도 1주에 한번 돌리고요. 가끔 미싱질하고.. 이게 다인데 2만원 밑으론 안떨어져요.
    전등도 거실불은 거의 안켜고 안방불 하나만 쓰고요.

  • 6. 신기해요
    '16.8.24 6:08 PM (121.161.xxx.180) - 삭제된댓글

    선풍기 에어콘 없으신가요?
    난방과 온수는 전기로 가동하는 개별 보일러 안 쓰시구요?
    저희는 원글님 쓰신 가전 중에 청소기와 오토비스 없고 컨벡션 오븐도 없도
    선풍기와ㅜ에어컨 있고 케이블 봐서 셋톱박스 돌아가요. 안 볼 땐 꺼두고요.
    그래도 평소에 280정도 나오고 겨울 난방할 땐 300약간 넘고
    여름에 냉방할 땐 400좀 넘게 쓰고요.
    음 노트북 쓰시면 회사에서 충전 다 해와서 집에선 무선상태로만 쓰시면 좀 절약될테고
    냉난방을 중앙에서 관리한다면 별도로 공동요금낼테고
    혹시 집에서 거의 요리를 안하시는 것 아닌가요?
    조리할 때 환풍기 돌리는 것만 해도 엄청날텐데.. 화장실 환풍기도 가족들 많거나 집에 하루종일 누군가 있으면..
    맞벌이하시는 분들은 웬만한 빨래는 속옷 빼고 더 세턱소 맡기던데 그럼 세탁기 적게 쓰니 그럴 수도 있을까요?
    몇달 전 일주일 여행 다녀왔더니 전기료가 평소보다 반 정도만 나오더라구요.
    집에 있는 시간이 적어야 전기료가 안나오더라는..
    저희도 중앙난방 살 때가 전기료는 더 적게 나왓었어요.

  • 7. ..
    '16.8.25 10:40 AM (168.248.xxx.1)

    선풍기 두 대 있고 에어컨은 안방에 벽걸이 한 대 있어요.
    물론 8월에는 좀 더 나오죠. 그래도 3만원 이하에요.
    노트북은 집에서만 쓰는거라 회사에 들고 다니진 않아요.
    어린이집 안다니는 아기가 있어서 삼시세끼 집에서 해먹여서 요리는 매일 하는데 요리 할 때 전기 쓸 일은 별로 없더라구요. 생선 굽지 않으면 요즘같은 땐 늘 창문 열어두니 환풍기 돌릴 일도 잘 없구요.
    세탁은.. 저희는 다 세탁기로 세탁하는데 일주일에 6~7회 정도 돌려요.

    참, 난방비랑 온수비는 따로 책정되어서 나오더라구요. 그런데 대부분 아파트가 난방비, 온수비는 별도 아닐까요?
    저희도 참 신기해요.

  • 8. 신기해요
    '16.8.25 3:12 PM (121.161.xxx.180) - 삭제된댓글

    저는 중앙난방 아파트와 개별난방보일러 돌리는 아파트에서 살아봤는데요
    중앙난방은 난방과 급탕을 따로 요금 부과하죠. 세대별로 따로 보일러가 없으니까요.
    개별 보일러 아파트는 난방비와 온수비 따로 안나오고 가스요금과 전기요금으로 구분되요.
    세대별 보일러로 난방 온수 다 해야 하니까 여름에도 온수 쓰려면 보일러를 늘 온수전용으로 가동시켜야 하고
    가스를 연료로 하지만 보일러 기계 자체는 전기로 돌아가잖아요.
    그 전기료가 세대별 전기요금에 들어가요 ㅠ.ㅠ
    그래서 개별 보일러 아파트는 전기요금이 많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중앙난방은 난방이나 온수용으로 쓰는 전기를 공동전기료로 부과하는 거니까
    세대 사용요금에 누진이 발생하지 않을 듯...
    근데 요즘도 중앙난방식 아파트가 있나요?
    열병합식 아파트는 살아보지 않아서 어떻게 전기 난방 온수 부과되는지 모르겠어요.

  • 9. ..
    '16.8.25 4:15 PM (168.248.xxx.1)

    그렇군요

    제가 사는 아파트가 열병합 방식인데 전기요금에 난방에 들어가는 전기는 포함 안되는 것 같아요.
    그런데 저희 탑층이라 겨울에 난방비가 정말 어마어마하게 나온답니다.
    많이 나올 때 난방비만 25만원, 급탕비는 6만원 넘게 나왔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2795 친구 언니 68살, 흰머리가 한 가닥 있대요 흰머리 10:51:18 4
1772794 90년대 초중반 수능에서 성신여대, 숭실대 동국대 정도면 ㅇㅇ 10:51:12 3
1772793 박은정 - 저를 증인으로 불러주십시오 ㅇㅇ 10:49:34 52
1772792 티비 프로에 전혀 관심없는 저같은 사람 또 있을까요? ..... 10:49:08 28
1772791 아픈데 피검사 정상이래요. 왜이런거죠 ㅇㅇ 10:46:13 71
1772790 94학번은 수능 두번봤어요 2 94학번 10:44:38 130
1772789 수능때 휴대폰 못 가져 가잖아요. 5 궁금 10:43:15 222
1772788 팔란티어 대학은 고장났다고 ㅗㅎㅎㄹㄹ 10:42:41 179
1772787 학교나 요양원에서 부당한 대우 받은거 항의 하시나요? 1 ㅇㅇ 10:41:32 68
1772786 수능 안봐도 되는데.. 3 ㅇㅇ 10:40:33 266
1772785 애들 언제 공부 혼자하나요 4 .. 10:38:08 170
1772784 나솔 보는이유 4 알고 싶어요.. 10:38:04 370
1772783 호주분들 높은 세금에도 살기 괜찮은가요?자식이 호주에 살겠다는데.. 6 순콩 10:37:00 250
1772782 윤썩렬이 앞에서도 이럴꺼니? 1 ㅇㅇ 10:36:38 162
1772781 당근마켓도 이것저것 많이하네요 3 10:25:02 388
1772780 압구정현백 테이크아웃할만한 음식 있을까요 ㅇㅇㅇ 10:21:41 79
1772779 검색 잘하시는 분 이 팝송 가사는 어떻게 찾아야할까요? 4 ,,,, 10:18:56 187
1772778 [단독] '구미시장 명예훼손' 혐의 본지 기자 긴급 체포됐다 석.. 10:16:49 494
1772777 당신들이 뭔데 우리 노후를..국민연금'에 폭발한 2030 17 ... 10:14:44 1,316
1772776 김거니가 양재택부인에게 돈보낸거 인정 1 ㄱㄴ 10:14:35 798
1772775 사실적시 명예훼손 법안 5 법안 10:13:52 278
1772774 "집 사려고 주식 오징어게임", 美 'K개미 .. 3 ... 10:13:04 625
1772773 수능응원) 겉절이 몇일안에 먹는게 맛있나요? 6 10:12:14 185
1772772 습관만들려면 최소 며칠이 필요한가요? 5 .. 10:11:08 331
1772771 금 계속 오르네요 8 10:10:47 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