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에어컨 제습모드 전기료 덜드는것 아님

속았네 조회수 : 3,618
작성일 : 2016-08-10 23:40:03
오늘(10일) 팩트체크는, 말 그대로 생활밀착형 팩트체크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에어컨을 보면 운전모드에 제습, 냉방, 송풍 이런 식으로 나오는데요. '제습으로 하면 전기요금이 훨씬 덜 든다'라는 이른바 양심고백이 최근에 나와 많은 분들이 '그게 진짜인가?'라고 생각하실 텐데, 정말 그런지 아닌지, 이것을 포함한 다른 내용까지 오늘 팩트체크에서 확인해드리겠습니다.

오대영 기자가 꽤 깜짝 놀랄만한 결과를 들고 나왔다고 하네요. 양심고백이라는 게 구체적으로 뭡니까?

[기자]

< 에어컨 기사의 양심고백 >이라는 제목으로 글이 하나 올라왔습니다. 최근 일주일 사이에 굉장히 화제가 됐는데요. SNS와 각종 포털 사이트에서 급속도로 퍼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찾아보니 출처는 분명치 않은데도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시원하라고 산 제품 제가 일러준 대로 사용하기 바란다" "쿨파워·강력냉방, 요금 잡아먹는 주원인이다"

지금 누진제 때문에 불만도 많고 걱정도 많지 않았습니까. 그래서 귀가 솔깃해지니까 많은 분들이 찾아봤는데, 마지막이 핵심입니다.

"제습으로 하루 24시간 한달을 사용시 1만 3천원에서 2만 8천원 나온다"라는 겁니다.

[앵커]

글쎄요. 제조업체들에게도 문의가 상당히 이어지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한달에 1만 3천원… 이 얘기가 진짜라면 누구나 다 제습으로 할 것 같은데요?

[기자]

그렇죠. 저도 사실 이 글을 믿고 하루 3시간 정도 제습모드로 에어컨을 돌리고 자곤 했습니다.

[앵커]

그래서 더 적극적으로 이 아이템을 발제한 모양이죠? 그런데 취재한 소득이 있었습니까?

[기자]

저로서는 상당히 놀랄 수밖에 없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속설의 전제는 '제습이 냉방보다 전력소비가 적다, 경제적이다'잖아요?

실험 결과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냉방·제습, 어느 쪽이 유리하냐. 52.8m², 그러니까 30평형대 아파트의 거실 규모로 재연을 해서 1등급 스탠드형 에어컨을 틀어봤습니다.

한번은 냉방모드로, 또 한번은 제습모드로 2시간을 가동했습니다. 현재온도는 27도이고 희망온도는 24도로 설정했습니다.

[앵커]

같은 공간에서 같은 조건으로 실험을 했으면 어느 쪽이 유리한지 금방 나오겠네요?

[기자]

그 결과를 이 그래프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오차를 줄이기 위해 논문 원본을 보여드리겠습니다. 대한설비공학회 발표 논문 (2015년)입니다.

빨간색이 '냉방모드'고 파란색이 '제습모드'입니다.

그러니까 27도를 시작해서 24도를 향해서 점점 내려갑니다, 온도가요. 온도가 쭉 내려갔다가 올라갔다가 내려갔다 올라갔다를 반복해서 마지막 2시간쯤 됐을 때는 거의 24도를 향해 가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 온도만으로는 크게 양쪽의 차별화를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앵커]

그런데 냉방이든 제습이든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건 온도를 내리는 데는 별 차이가 없다 그거인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첫번째 결론은 온도면에서만 보면 냉방과 제습이 별다른 효과의 차이가 없다라는 것이고요.

지금부터가 핵심인데 지금 그래프 하단을 보시면 또 다른 점선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빨간색 점선의 아래 면적들을 다 합치면 그게 바로 냉방을 했을 때 전력소비량이고요. 파란색 점선의 아래 면적들을 다 합치면 그게 제습 때의 전력소비량입니다. 육안으로 보기에도 패턴도 상당히 비슷하고요. 그 면적이 비슷해 보이는데 논문을 쓴 쪽에 물어봐도 이 면적이 거의 같다라고 해서, 다시 얘기해서 양쪽 그러니까 냉방과 제습의 전력소비량이 상당히 같았다는 것을 이 표를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앵커]

아까 놀랄 만한 결과라는 게 이거인가요, 그러면?

[기자]

그렇습니다. 제습과 냉방의 전력량이 같다는 건 다시 얘기하면 2시간이든 3시간이든 동일한 시간을 쓰면 같은 요금이 나온다는 얘기입니다.

그래서 에어컨 기사의 양심고백에서는 제습 모드로 하루 24시간 한 달 내내 써도 1만 3000원에서 2만 8000원 나온다고 하지 않았습니까?

저희가 요금 추정치를 한번 뽑아봤습니다. 이건 저희가 계산한 겁니다. 4인 도시가구 봄, 가을의 월 평균 전력사용량을 산자부에서 냈는데 그걸 토대로 해서 벽걸이형 또 스탠드형으로 나눠서 조사해 봤더니 하루 종일 제습으로 해서 한 달 동안 돌렸더니 벽걸이형 42만 7000원이 나왔습니다. 스탠드형이 100만원이 넘었습니다.

[앵커]

굉장히 많이 나오네요.

[앵커]

그러니까 한 달의 1만 8000원의 거리와는 상당히 거리가 멀었고, 무려 80배 차이까지도 났는데 다른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 이 변수만 저희가 기준으로 삼았다는 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앵커]

그런데 조사하는 건 좋은데, 이것도 24시간 한 달 내내 튼 걸 한 거잖아요.

[기자]

물론입니다.

[앵커]

일반 가정에서 그걸 24시간 다 틀 리는 물론 없는 것이고. 그렇죠? 그런데 아무튼 이것만 놓고 보자면 요금 폭탄으로 보이는 건 틀림 없어 보이는데. (그렇습니다) 24시간 다 안 틀더라도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는, 제습 기능으로 하더라도 굉장히 많은 전기요금이 나온다는 것은 맞는 얘기 같네요.

[앵커]

그렇습니다. 제습 기능이나 냉방 기능이나 요금은 거의 같다는 게 오늘 핵심인데요.

이 수치가 어떻게 나왔는지 제가 근거를 보여드리겠습니다.

하면 여기 518이라고 나오지 않습니까? 518이 에어컨을 통해서 나온 전력소비량이고, 저 앞에 342는 봄, 가을 평균 한 달 동안 쓰는 전력사용량입니다.

그러니까 일반적으로 우리가 가정에서 쓰는 전기사용료에다가 에어컨 사용량이 더했더니 저 금액이 나온다는 거고요.

아주 극단적으로 에어컨 사용량만을 계산했을 때에도 한 달에 80만원 정도 나왔습니다.

[앵커]

제습이라고 안심하면 안 되겠군요. 저는 사실 집에서 에어컨을 이렇게 할 때 주로 제습으로 해 놓기는 하는데 물론 그게 덜 들어서라기보다는 기왕이면 제습으로 하는 게 좋지 않을까 해서 그렇게 하기는 합니다마는 그런데 돈은 똑같이 나온다는 그런 얘기군요. 조심해야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에어컨 제조사에서도 이건 인정을 합니까?

[기자]

네, 그렇습니다. 그리고 에어컨 기사 양심고백이라는 게 그래서 믿을 게 못 되는데, 냉방과 제습의 기능에 왜 전력소비량의 차이가 왜 나지 않느냐를 봤는데 그 원리가 같았기 때문입니다.

냉각제가 액체로 바뀌었다가 기체로 바뀌는 과정에서 찬바람이 나오는데 냉방이나 제습이나 냉각 원리가 똑같았습니다.

그래서 똑같은 원리로 똑같이 가동하다 보니까 똑같은 전력이 소비되고 똑같은 요금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죠.

저희가 취재 과정에서 에어컨 제조사 두 곳에 직접 확인을 했는데 오늘 오후에 답변이 왔습니다.

이게 맞다, 그리고 양측의 금액이 거의 같은 것으로 보면된다라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양심고백은 어디서 나온 건지는 모르겠는데 아무튼 그 팁은 안 됐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그래서 오늘 확인할 수 있었던 건 후텁지근한 날씨에 제습 기능을 하면 쾌적함은 더 얻을 수 있겠지만 전력 사용면에서는 무조건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는 게 오늘 팩트체크의 결론입니다.
IP : 220.121.xxx.96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8.10 11:46 PM (5.254.xxx.109) - 삭제된댓글

    아. 정부의 홍수 속.. 골아프네요.

    옛날엔 정보가 귀해서 모르고 살아온 적이 많지만

    이젠 넘치는 정보속에서
    모래사장에서 귀걸이 찾는거처럼 진실을 챙겨야하니 더 삶이 지치는 거 같음

    다 필요없다. 누진제나 개선해라.

  • 2. ///
    '16.8.10 11:46 PM (5.254.xxx.109) - 삭제된댓글

    아. 정보의 홍수 속.. 골아프네요.

    옛날엔 정보가 귀해서 모르고 살아온 적이 많지만

    이젠 넘치는 정보속에서
    모래사장에서 귀걸이 찾는거처럼 진실을 챙겨야하니 더 삶이 지치는 거 같음

    다 필요없다. 누진제나 개선해라.

  • 3. ㅇㅇ
    '16.8.10 11:47 PM (211.237.xxx.105)

    제습이라고 해도 온도 낮춰서 제습하면 폭탄맞는거야 냉방하고 똑같죠 당연...
    제 생각엔 온도를 높여서 제습을 하면 좀 요금면에서 낫다는거고요.
    냉방도 온도 높여서 냉방해도 마찬가진데.. 전 제습을 더 좋아해요.
    아무래도 제습이 더 조용하고
    직접적인 찬바람이 덜나오거든요.

    26~27 제습 설정해놓고 써요. 그게 최선임.

  • 4. 상식적으로
    '16.8.11 12:02 AM (180.224.xxx.91)

    25도 제습해서 시원하면 27도 냉방보다 전기 더 먹는거죠. 실외기가 돌잖아요.

  • 5. . . .
    '16.8.11 1:09 AM (125.185.xxx.178)

    그래프가 안나와 있는데
    사용량 그래프에서 냉방과 제습의 사용량이 높아지는 꼭지점의 갯수가 달랐어요.
    순간정지해서 확인해봤는데 다르던데
    기자는 같다고 하데요.
    제습이 낫던데요.

  • 6. ..
    '16.8.11 1:51 AM (121.152.xxx.146)

    제가 경험자에요
    원룸에 살때 벽걸이 에어콘이 방마다 있었는데 여름에는 밤에 안틀면 잠을 잘수가 없었어요
    첫달에 덮어놓구 틀다가 전기요금 폭탄 맞았어요
    원래 1만 얼마 나오고 그랬는데 전가요금이 7만원 가까이 나온거죠
    넘 놀라서 그뒤로 밤에도 안틀고 그랬는데 더위먹고 잠을 계속 깨고 그래서 공부가 안되더라구요
    안되겠다 싶어서 최대한 절약하려고 27도 28도 수준으로 에어컨을 켜는데 벽걸이라 그런지 27도 넘어가면 스스로 제습모드로 돌아가고 그랬어요
    고시공부할때라 돈아끼느라 잠설치느니 그냥 틀자 싶었던건데요
    그다음달에 전기요금은 1만원정도 추가로 나오고 그랬어요
    저위에 기사는 24도로 제습한다고 했는데 24도로 맞추려면 당연 강냉방도 같이 하는거죠
    온도설정을 27도 이상으로 하시면 돼요

  • 7. 작년에
    '16.8.11 7:36 AM (112.170.xxx.230)

    제습냉방했는데 전기료 얼마안나왔어요

  • 8. 실제경험
    '16.8.11 8:47 AM (223.131.xxx.17)

    제습으로 사용해서 실제로 덜 나와서 제습으로 해요.
    그리고 습기제거되면 뽀송해서 냉기에 시너지효과가
    있죠.

  • 9. 분홍진달래
    '16.8.11 8:59 AM (118.32.xxx.39) - 삭제된댓글

    무조건 따라했다간 큰일날뻔했어요 이글을 보게 된것이 행운이네요
    원글님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3749 장염걸렸는데 배가 너무 아파요 ㅜ 4 ... 2016/09/06 2,846
593748 배우라는 직업에 대하여 4 힘들구나 2016/09/06 1,028
593747 요번주 강주은네 무슨일이?? 3 1111 2016/09/06 4,931
593746 한국, 미국 다음으로 양극화 극심 1 신자유주의도.. 2016/09/06 454
593745 수시 컨설팅 아시는분 도움 부탁드려요 5 2016/09/06 2,446
593744 토욜1시 야탑역->인천공항 공항버스로 가는 길 막힐까요? 2 궁금합니다 2016/09/06 653
593743 헤어밴드(머리띠) 안아픈거 추천해 주세요. 7 헤어 2016/09/06 1,566
593742 월세로 들어가려는데 계약하지 말까요? 5 89 2016/09/06 977
593741 시어머니는 진짜 남인가요?(넋두리 긴 글 압박있습니다) 59 며느리싫다 2016/09/06 7,588
593740 엑셀 실무 독학으로 배울수있는 동영상 추천좀... 3 40대 2016/09/06 1,419
593739 김소연 이상우 사귄대요 ㅎㅎ 39 라일락84 2016/09/06 21,375
593738 어제 파뿌리? 3 ... 2016/09/06 1,616
593737 경력없고 자격증만 있는데 취업 가능할까요? 2016/09/06 1,204
593736 저 탄수화물 2 이마야 2016/09/06 913
593735 연근조림이 너무 아삭하기만 해요 7 연근 2016/09/06 1,646
593734 중학생이 쓸만한 2G폴더폰 어디서 사나요? 6 2016/09/06 2,767
593733 초등생 봉사 할 곳, 어디서 알아봐야할까요?? 2 궁금.. 2016/09/06 649
593732 도우미분들 명절 보너스 어떻게 드리면 좋을까요? 11 erer 2016/09/06 2,341
593731 몸이 가려운 것도 어떤 병의 전조증상(?) 인가요 ? 21 40대 중반.. 2016/09/06 7,614
593730 연하한테 특히 인기 있는 캐릭터가 있나요? 13 누나 2016/09/06 5,533
593729 펑 합니다. 14 조언 2016/09/06 2,050
593728 잠실에 집 사려고 했다가 안샀는데.. 36 ㅇㅇ 2016/09/06 11,925
593727 십년만에 연락해 온 친구 3 좋은 2016/09/06 3,506
593726 알아보고 있다 라는 좀 고급진 단어 없을까요? 13 ggg 2016/09/06 3,678
593725 너무 슬픈 기사예요 11 .. 2016/09/06 4,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