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우리나라도 영어처럼 존대 호칭 없었으면 좋겠어요.

latte 조회수 : 1,374
작성일 : 2016-08-09 00:37:53
시어머니가 저를 가리켜 야, 너, 쟤, 걔 하는게 너무 듣기 싫으네요.
그냥 다같이 서로 hey, you, she.. 하고 싶다는..
IP : 75.135.xxx.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8.9 12:47 AM (125.185.xxx.225)

    스웨덴어는 70년대에 존칭 표현을 의식적으로 없앴다고 하는데 우리한텐 요원한 일이겠죠..
    https://en.m.wikipedia.org/wiki/Du-reformen

  • 2. 그러게요
    '16.8.9 1:02 AM (221.146.xxx.73)

    시부모나 장인장모에게도 이름으로 부르고 얼마나 좋나요

  • 3. ㅎㅎ
    '16.8.9 1:43 AM (71.205.xxx.224)

    7살 옆집 아이가 50가끼운 내 이름불러요.ㅋㅋ

  • 4. ㅇㅇ
    '16.8.9 1:43 AM (223.38.xxx.115)

    참 좋겄수
    82도 맛탱이가 갔네

  • 5.
    '16.8.9 1:50 AM (118.34.xxx.205)

    중국어도 존대 호칭 거의 없어요.
    그래서인지 참 대등한 느낌이고 오히려 평등한 느낌이에요.
    노인과 얘기해도 네네 하는게 아니고 친구랑 얘기하듯 편해요.

    근데 우리나라말로 대화만 하면 대화수 확 줄고 네네 하게 되고
    소통 불가됨

  • 6. 한살에 언니 오빠
    '16.8.9 2:23 AM (182.227.xxx.77) - 삭제된댓글

    저도 원글님과 같은 생각 많이 하는데요.
    한살 두살 차이에 언니 오빠 해야하고
    술 먹다 싸움 나는것도 몇살인데 반말이야...
    이런 종류 부지기수고
    높임말로 인해 뭔가 나이 많은 사람들은 윗사람
    나이 어린 사람들은 아랫사람
    이렇게 나뉘어지면서 소통하기 힘든 구조의 사회가 되지않나싶어요.
    예전에 어떤 아이 엄마가 올린
    우리 아이가 나중에 할아버지와도 친구가 될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란 글 읽은적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도 그런 분위기로 바뀔거라했지만
    저는 개인의 사고방식보다도 존댓말이 이렇게까지 중요한 이상은 힘들지 않을까싶어요.
    언어가 하루 아침에 변할수야 없겠지만
    서서히라도 좀 바뀌었으면 좋겠어요.

  • 7. 존댓말은
    '16.8.9 3:56 AM (99.33.xxx.37)

    둘째치고 부르라고 지은 이름이나 맘대로 서로 불렀으면 좋겠어요.
    가족도 아닌 사람한테 친근함과 예의를 표시한다고 어머니, 이모님 형부..
    아주머니 아저씨 소리 듣기 싫어하는 사람도 있고 언니 사모님 선생님 사장님 아주버님 형님 등등 너무 피곤해요.
    그냥 편하게 이름좀 부르고 살면 좋겠단 생각많이해요.

  • 8. 한국이
    '16.8.9 6:58 AM (222.235.xxx.234) - 삭제된댓글

    수평적이질 못하고 수직적인 사회가 된 건 순전히 존댓말 때문이고 이로인해 지불하는 사회적 비용도 엄청나죠. 이른 바 갑질시비의 배후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엄격한 존대어 때문이죠.
    존대어 때문에 생긴 존대문화로 인해 사람들은 모든 인간 관계에서 호칭을 어떻게 해야할 지 몰라 전전긍긍하고 실제 호칭으로 인한 시비가 끊임없이 생기고 있죠.

    결국 찾은 대안이란게 아무한테나 사모님, 언니, 이모 붙이고 사장님 붙이는 희한한 사회가 됐죠. 또 실제 그렇게 안 하면 꼭 시비가 붙어요.^^

    이러다 보니 친구란게 서로 반말할 수있는 동갑에게나 가능한 관계일 뿐 한살만 많아도 언니, 형 대접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우스운 상황이 됐죠. 얼마전 유학을 가서까지 형 동생 호칭 문제로 싸우다 살인에 이르는 어처구니 없는 사건도 있었죠.

    문제는 존댓말이 존댓말을 부르고 이게 다시 증폭되는 에스컬레이팅 역할을 해서 요즘 보면 이름 뒤에도 ~님 호칭을 붙이고, 커피가 나오십니다 등 사물까지 존대하는 해괴한 지경에 이르렀죠.

    세종이 한글을 창제한 위대한 언어학자라면 누가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앞으로 한국의 존댓말 체계를 혁파할 사람 역시 위대한 사회 개혁가로 추앙받을 거예요.

    현 시점에서 분명한 건 존대어로 인해 한국의 수직적 관계와 문화가 한국의 발전 동력을 점 점 더 많이 갉아먹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죠.

  • 9. 한국이
    '16.8.9 7:03 AM (222.235.xxx.234) - 삭제된댓글

    수평적이질 못하고 수직적인 사회가 된 건 순전히 존댓말 때문이고 이로인해 지불하는 사회적 비용도 엄청나죠. 이른 바 모든 갑질시비의 배후에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엄격한 존대어도 큰 몫을 차지하고 있죠.
    존대어 때문에 생긴 존대문화로 인해 사람들은 모든 인간 관계에서 호칭을 어떻게 해야할 지 몰라 전전긍긍하고 실제 호칭으로 인한 시비가 끊임없이 생기고 있죠.

    결국 찾은 대안이란게 아무한테나 사모님, 언니, 이모 붙이고 사장님 붙이는 희한한 사회가 됐죠. 또 실제 그렇게 안 하면 꼭 시비가 붙어요.^^

    이러다 보니 친구란게 서로 반말할 수있는 동갑에게나 가능한 관계일 뿐 한살만 많아도 언니, 형 대접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우스운 상황이 됐죠. 얼마전 유학을 가서까지 형 동생 호칭 문제로 싸우다 살인에 이르는 어처구니 없는 사건도 있었죠.

    문제는 존댓말이 존댓말을 부르고 이게 다시 증폭되는 에스컬레이팅 역할을 해서 요즘 보면 이름 뒤에도 ~님 호칭을 붙이고, 커피가 나오십니다 등 사물까지 존대하는 해괴한 지경에 이르렀죠.

    세종이 한글을 창제한 위대한 언어학자라면 누가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앞으로 한국의 존댓말 체계를 혁파할 사람 역시 위대한 사회 개혁가로 추앙받을 거예요.

    현 시점에서 분명한 건 존대어로 인해 한국의 수직적 관계와 문화가 한국의 발전 동력을 점 점 더 많이 갉아먹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죠.

  • 10. 저도 찬성 ^^
    '16.8.9 7:10 AM (121.150.xxx.143)

    나이에 서열에~~
    너무 힘들어요.
    그래서 친구가 좋다는~~

  • 11. 절대동감
    '16.8.9 10:32 AM (59.27.xxx.43) - 삭제된댓글

    밥먹으라는 표현이 다른나라도 우리나라처럼 다양하고 많은가요?

    밥 먹어라, 밥 쳐먹어라, 식사하세요. 진지드세요, 수라를 드시옵소서에 이르기까지........
    한국말 하는 외국인들 대단합니다.

  • 12. 그나마
    '16.8.9 10:56 AM (222.118.xxx.34)

    가족간에는 존대 괜찮다고 생각해요
    나이가 기준이니까요

    근데 사회나 직장에서는 나이가 어려도 직급이나 지위가 나보다 높으면 깍듯이 존대하는거
    너무 어색하네요

    한참어린 분께 네네 하셨어요 ..님 아휴
    앞뒤가 한참 안맞는거 같고 어색하고 어떨땐 열받을 때도 있어요
    존대말 모순점 많다고 생각되네요 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4959 인터넷 주문 생선 어디서 사세요? ... 2016/08/09 666
584958 헐~ 제 글이 사라졌네요 18 2016/08/09 2,662
584957 우리나라도 영어처럼 존대 호칭 없었으면 좋겠어요. 9 latte 2016/08/09 1,374
584956 최여진 엄마 진짜 정신적으로 문제있는거 아닌가요?? 26 2016/08/09 12,118
584955 한국인 얼굴크고 광대크고 무릎뼈 크고 신체비율 안좋은거 사실 53 구마 2016/08/09 8,626
584954 덕혜공주 초등학생도 볼 수 있을까요. 5 덕혜공주 2016/08/09 1,133
584953 초등 저학년이면 독서 수준이 어느정도인가요 5 . 2016/08/09 1,606
584952 이대동문. 8월10일(수)저녁8시. 이대정문 총시위 있습니다. 22 동문 2016/08/09 2,134
584951 방울토마토 말려본 경험 나눠주세요 4 보름달 2016/08/09 1,465
584950 장도리 2 ㅎㅎ 2016/08/09 600
584949 일본인들이 이런말 아는게 신기 7 2016/08/09 2,378
584948 녹색당 질스타인, "미국의 대외정책은 무기 판매&quo.. 2 미국대선 2016/08/09 446
584947 러 코메르산트 “러시아, 북한과 접점 잃지 않을 것” light7.. 2016/08/08 357
584946 벽걸이형 에어컨으로 부족할까요? 20 . 2016/08/08 3,653
584945 열흘만 참으세요 폭염 13 .. 2016/08/08 6,979
584944 삼겹살은 왜 이렇게 잘 쉬나요? 늘 마트에서 사는데 다음날 쉬는.. 5 삼겹 2016/08/08 3,187
584943 고소나 법적으로 가는 경우 5 2016/08/08 851
584942 최근 러시아항공(아에로플로트)탑승해보신분 체크인카운터 오픈시간 .. 8 냐냐냐 2016/08/08 1,913
584941 몸의 진이 심하게 빠졌어요. 11 2016/08/08 3,482
584940 인천 월미도 가볼만 한가요? 15 dfgjik.. 2016/08/08 2,008
584939 평창동 vs 압구정동 45 ㅡㅡ 2016/08/08 9,504
584938 냄새 못 맡는 분 있나요?(서울 대학병원 추천좀 해 주세요.) 3 흙냄새 2016/08/08 1,009
584937 우리가 외모쪽으로 유명한건 성형이에요 ㅎㅎ 13 맞아맞아 2016/08/08 3,258
584936 .. ..... 2016/08/08 424
584935 꿈인데 좀 이상한 꿈(무서울수도 있음) 알쏭달쏭 2016/08/08 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