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9등급 중에 4등급이 수도권 전문대 고민한다게 잘 이해가^^;;;

초등맘 조회수 : 3,893
작성일 : 2016-07-08 18:58:40

예전보다 인구 줄고 덩달아 대학 정원도 줄었다는 것도 이해되구요.

전에는 많이 없던 외고, 과고, 영재고, 자사고, 특목고, 혹은 마스터고 등이 생겨서

중등 중에 우수한 아이들이 몰려 있다는 것도 이해되는데


그러면

일반고 5등급 이하 학생들은...(거의 일반 인문계 학생들의 반)인데

대학을 안(못) 간다는 뜻인가요?


제가 듣기로는 우리나라 대학 진학률이 굉장히 높다고 들었고,

예전에 실업계라고 했던 현재, 정보고 등의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바로 취업한다고 치면


그 진학율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IP : 118.222.xxx.59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총 9등급
    '16.7.8 7:01 PM (125.128.xxx.64) - 삭제된댓글

    입니다....

  • 2. 네..^^
    '16.7.8 7:03 PM (118.222.xxx.59)

    9등급이군요.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3. ㅇㅇ
    '16.7.8 7:03 PM (121.168.xxx.41)

    전문대라고 해도 수도권은 4등급은 되어야 한다는 거 아닐까요

    아래로 내려 갈수록 성적도 내려가겠죠

  • 4. 전문대도 나름이죠
    '16.7.8 7:07 PM (223.62.xxx.175)

    듣보잡 수도권 비인기학과 가느니 인서울 취업률높은 학과 전문대가 실속있죠
    현명한 선택 인거 같은데요

  • 5. 찾아보니....
    '16.7.8 7:09 PM (118.222.xxx.59) - 삭제된댓글

    답답해서 찾아보니....^^;;; 이런 기사가 있네요.
    제가 어디서 대학 진학율이 7,80%라고 들었는데
    그게 외고에 한해서 그런거였군요.

    도움되시라고...올려봅니다.

    ---------------------------------------------------------------------
    2013-2016 대입 집중 분석]
    [단독] 최근 4년 외국어고 수도권 4년제 대학 진학률, 일반고 두 배
    2013~16년 '대학알리미' 공시 자체 분석
    일반고-자율고 4년제 대학교 진학율 차이 11%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재수생 이상 포함) 열 명 중 여섯 명이 지방대로 갈 때 외국어고등학교 졸업자 대부분은 수도권 대학에 입학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외국어고 졸업생의 수도권 4년제 대학 진학률은 일반고 출신의 2배를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 30일 대학정보공시 사이트인 대학알리미(www.academyinfo.go.kr)에 지난 2013년부터 올해까지 공개된 '대학 신입생의 출신 고교 유형별 현황' 4개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매년 대학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대학알리미에 공시하고 있다.

    이날 공개된 '2016년 대학 신입생의 출신 고교 유형별 현황'을 보면 일반고등학교와 특수목적고등학교(과학고·외국어고·예체능고·마이스터고), 자율고의 진학편차가 극심하다.

    우선 수도권대학과 지방소재대학을 구분하지 않고 전체 4년대 대학교 진학률만 두고봐도 편차가 심하다.

    교육통계서비스 제공 자료와 대학알리미 공시 자료를 분석해보면 지난해 고등학교 재학생의 올해 4년제 대학진학률은 56.3%. 반을 살짝 넘기는 수치다. 일반고는 60.2%선이다.

    그러나 외고, 과학고 등 특목고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은 65.3%로 나타났다. 일반고의 진학률을 5%p 상회한다. 자율고는 71.7%로 전체 평균을 훌쩍 뛰어넘는다.




    대입을 위해
    (서울=포커스뉴스) 12일 오후 서울 성동구 한양대학교 올림픽체육관에서 열린 '2017학년도 대학입시설명회'에 참석한 한 학부형이 주요 대학 배치참고표를 보고 있다. 2016.03.12 양지웅 기자 yangdoo@focus.kr

    수도권 대학 진학률을 따져보면 차이는 더욱 심하다.

    올해 대학교에 입학한 일반고 출신 중 수도권 4년제 대학교 진학률은 38.5%로 절반에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특목고는 68.4%가, 특히 외고는 80.7%가 수도권 대학에 진학한다.

    과학고는 올해 41.5%가 수도권 대학에 진학했으나 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대 등이 소재지상 지방대로 분류됐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지난 2013년부터 올해까지 공개된 자료 전체를 분석해봐도 특목고가 진학에 유리하다는 대세는 변하지 않는다.

    대학교에 입학한 일반고 출신의 수도권 대학 진학률은 4년간 평균 34.4%로 대체로 30%선에서 맴돌고 있다. 특목고는 4개년 평균 68.2%, 외고만 따로 두고 보면 80.7%다.

    자율고의 약진도 눈여겨 볼만하다.

    자율고는 2014년 수도권 4년제 대학 진학률이 36.5%로 일반고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점차 올라 올해 43%를 기록했다.

    공립고등학교가 자율고로 전환되고 있음에도 대학 진학률이 떨어지지 않는 상황이다.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일반고 학생 수와 일반고 수가 감소하고 자율고 수가 늘면서 졸업생 수가 변동이 있었던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대석 기자 bigst@focus.kr

  • 6. 찾아보니..^^;;;
    '16.7.8 7:11 PM (118.222.xxx.59) - 삭제된댓글

    답답해서 찾아보니....^^;;; 이런 기사가 있네요.
    제가 어디서 대학 진학율이 7,80%라고 들었는데
    그게 외고에 한해서 그런거였군요.

    도움되시라고...올려봅니다.

    ---------------------------------------------------------------------
    2013-2016 대입 집중 분석]
    [단독] 최근 4년 외국어고 수도권 4년제 대학 진학률, 일반고 두 배
    2013~16년 \'대학알리미\' 공시 자체 분석
    일반고-자율고 4년제 대학교 진학율 차이 11%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재수생 이상 포함) 열 명 중 여섯 명이 지방대로 갈 때 외국어고등학교 졸업자 대부분은 수도권 대학에 입학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외국어고 졸업생의 수도권 4년제 대학 진학률은 일반고 출신의 2배를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 30일 대학정보공시 사이트인 대학알리미(www.academyinfo.go.kr)에 지난 2013년부터 올해까지 공개된 \'대학 신입생의 출신 고교 유형별 현황\' 4개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매년 대학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대학알리미에 공시하고 있다.

    이날 공개된 \'2016년 대학 신입생의 출신 고교 유형별 현황\'을 보면 일반고등학교와 특수목적고등학교(과학고·외국어고·예체능고·마이스터고), 자율고의 진학편차가 극심하다.

    우선 수도권대학과 지방소재대학을 구분하지 않고 전체 4년대 대학교 진학률만 두고봐도 편차가 심하다.

    교육통계서비스 제공 자료와 대학알리미 공시 자료를 분석해보면 지난해 고등학교 재학생의 올해 4년제 대학진학률은 56.3%. 반을 살짝 넘기는 수치다. 일반고는 60.2%선이다.

    그러나 외고, 과학고 등 특목고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은 65.3%로 나타났다. 일반고의 진학률을 5%p 상회한다. 자율고는 71.7%로 전체 평균을 훌쩍 뛰어넘는다.

    수도권 대학 진학률을 따져보면 차이는 더욱 심하다.
    올해 대학교에 입학한 일반고 출신 중 수도권 4년제 대학교 진학률은 38.5%로 절반에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특목고는 68.4%가, 특히 외고는 80.7%가 수도권 대학에 진학한다.

    과학고는 올해 41.5%가 수도권 대학에 진학했으나 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대 등이 소재지상 지방대로 분류됐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지난 2013년부터 올해까지 공개된 자료 전체를 분석해봐도 특목고가 진학에 유리하다는 대세는 변하지 않는다.

    대학교에 입학한 일반고 출신의 수도권 대학 진학률은 4년간 평균 34.4%로 대체로 30%선에서 맴돌고 있다. 특목고는 4개년 평균 68.2%, 외고만 따로 두고 보면 80.7%다.

    자율고의 약진도 눈여겨 볼만하다.

    자율고는 2014년 수도권 4년제 대학 진학률이 36.5%로 일반고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점차 올라 올해 43%를 기록했다.

    공립고등학교가 자율고로 전환되고 있음에도 대학 진학률이 떨어지지 않는 상황이다.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일반고 학생 수와 일반고 수가 감소하고 자율고 수가 늘면서 졸업생 수가 변동이 있었던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대석 기자 bigst@focus.kr

  • 7. 찾아보니..^^;;;
    '16.7.8 7:12 PM (118.222.xxx.59)

    답답해서 찾아보니....^^;;; 이런 기사가 있네요.
    제가 어디서 대학 진학율이 7,80%라고 들었는데
    그게 외고에 한해서 그런거였군요.

    도움되시라고...올려봅니다.

    ---------------------------------------------------------------------
    2013-2016 대입 집중 분석]
    [단독] 최근 4년 외국어고 수도권 4년제 대학 진학률, 일반고 두 배
    2013~16년 \'대학알리미\' 공시 자체 분석
    일반고-자율고 4년제 대학교 진학율 차이 11%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재수생 이상 포함) 열 명 중 여섯 명이 지방대로 갈 때 외국어고등학교 졸업자 대부분은 수도권 대학에 입학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외국어고 졸업생의 수도권 4년제 대학 진학률은 일반고 출신의 2배를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커스 뉴스가 30일 대학정보공시 사이트인 대학알리미(www.academyinfo.go.kr)에 지난 2013년부터 올해까지 공개된 \'대학 신입생의 출신 고교 유형별 현황\' 4개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매년 대학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대학알리미에 공시하고 있다.

    이날 공개된 \'2016년 대학 신입생의 출신 고교 유형별 현황\'을 보면 일반고등학교와 특수목적고등학교(과학고·외국어고·예체능고·마이스터고), 자율고의 진학편차가 극심하다.

    우선 수도권대학과 지방소재대학을 구분하지 않고 전체 4년대 대학교 진학률만 두고봐도 편차가 심하다.

    교육통계서비스 제공 자료와 대학알리미 공시 자료를 분석해보면 지난해 고등학교 재학생의 올해 4년제 대학진학률은 56.3%. 반을 살짝 넘기는 수치다. 일반고는 60.2%선이다.

    그러나 외고, 과학고 등 특목고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은 65.3%로 나타났다. 일반고의 진학률을 5%p 상회한다. 자율고는 71.7%로 전체 평균을 훌쩍 뛰어넘는다.

    수도권 대학 진학률을 따져보면 차이는 더욱 심하다.
    올해 대학교에 입학한 일반고 출신 중 수도권 4년제 대학교 진학률은 38.5%로 절반에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특목고는 68.4%가, 특히 외고는 80.7%가 수도권 대학에 진학한다.

    과학고는 올해 41.5%가 수도권 대학에 진학했으나 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대 등이 소재지상 지방대로 분류됐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지난 2013년부터 올해까지 공개된 자료 전체를 분석해봐도 특목고가 진학에 유리하다는 대세는 변하지 않는다.

    대학교에 입학한 일반고 출신의 수도권 대학 진학률은 4년간 평균 34.4%로 대체로 30%선에서 맴돌고 있다. 특목고는 4개년 평균 68.2%, 외고만 따로 두고 보면 80.7%다.

    자율고의 약진도 눈여겨 볼만하다.

    자율고는 2014년 수도권 4년제 대학 진학률이 36.5%로 일반고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점차 올라 올해 43%를 기록했다.

    공립고등학교가 자율고로 전환되고 있음에도 대학 진학률이 떨어지지 않는 상황이다.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일반고 학생 수와 일반고 수가 감소하고 자율고 수가 늘면서 졸업생 수가 변동이 있었던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대석 기자 bigst@focus.kr

  • 8. 밀크앤퍼니
    '16.7.8 7:15 PM (180.69.xxx.138) - 삭제된댓글

    현 9등급까지고 4등급이면 백분위 24%~40%에요
    대학이 많이 생기면서 진학희망자보다 대학정원이 더 많은 걸로 알아요 즉 대학을 가려면 어디든 갈수 있는거죠 게다가 요즘은 수시6장 정시3장 중복지원 가능하고 특수대학과 전문대는 지원횟수제한도 없구요
    대학 가기는 예전보다 쉬워졌는데 인서울 하기가 어려워진거죠 인서울 정원 줄고..지방국립대 위상이 흔들리면서..
    요즘은 인서울.수도권 전문대 다음이 지방사립대더라구요 서울에서 통학가능한 학교는 전문대라도 만만치 않구요 취업보장 학과면 더더욱...
    제 주변에 몇명 아는 집 아이들..특성화 마이스터고 졸업생중 취업한 아이는 없어요 모두 대학 진학했어요
    처음부터 기술 배워 취업시킨다고 보내질 않던데요 특성화고 전형을 생각하고 동일계 전형으로 일반고 아이들보다 오히려 더 잘간것 같아요 물론 공부하랴 자격증따랴 스펙쌓으랴 힘들었겠지만..
    예전과 달라졌어요 웬만한 형편 아니면 대학은 모두 가려고 하려고..되도록 서울에 있는 학교를 가려고 하고..

  • 9. @@
    '16.7.8 8:18 PM (175.223.xxx.123)

    내신 2~3등급 수능 최저 3등급은 나와야 4년제 원서라도
    쓸수있고 그밑은 지방 듣보잡 대학으로~~
    대학가기 힘들어요 보내본 엄마들은 실감합니다
    인서울 하려면 최저 수능이 3등급이면 한성대 명지대정도
    원서 씁니다ㅠ

  • 10. ㅊㅍ
    '16.7.8 8:19 PM (123.109.xxx.20)

    원글님이 보여주신 기사 속 4년제 대학진학률 56.3퍼센트는
    재학생만 대상으로 한 거에요
    재수생이나 장수생을 포함하면 수치가 변경되겠죠

  • 11. ㅊㅍ
    '16.7.8 8:22 PM (123.109.xxx.20)

    그리고 서울지역 몇 전문대는 4년제 못지 않게
    입학이 제법 어려운 곳도 있어요
    원글님이 입학하셨을 시기의 대입시와 많이 다르답니다

  • 12. 진짜 조금씩
    '16.7.8 8:31 PM (118.222.xxx.59)

    실감이 되네요.^^;;

    어렵다 어렵다 해도 막연했는데
    뭔가 쿵하고 다가오는 느낌 듭니다.

    과연...음.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5341 경주 지금 날씨 어때요? 8 경주궁금 2016/08/10 1,045
585340 김밥집인데 9 푸웽취 2016/08/10 4,381
585339 지금 오이지 담가보려는데, 오이가 비싸요ㅜㅜ 14 아기엄마 2016/08/10 2,408
585338 중국 사드 강력 반발, ‘대북 제재도 완전히 손 떼’ 발등에불 2016/08/10 410
585337 박상영 선수 아버지의 편지 .. 11 dd 2016/08/10 3,269
585336 사업자등록 명의 빌려줘도 될까요? 33 푸른잎 2016/08/10 6,132
585335 은퇴하면 뭐 하고 싶으세요 6 ... 2016/08/10 2,029
585334 시험준비중이라 하루종일 앉아있는데 배에 가스가 너무 차요 ㅠㅠ 4 .. 2016/08/10 1,754
585333 부모님 돌아가신후 제사문제 26 어찌해야하나.. 2016/08/10 8,366
585332 중딩 아들이 핸드폰을 사주는게 나을까요 3 ㅇㅇㅇ 2016/08/10 927
585331 민족배신자 자식이 또한번 할머니들 명예를 짓밟았다 할머니 2016/08/10 470
585330 2016년 월별 주요 시사이슈 요약 시사돌이 2016/08/10 5,503
585329 수시 준비로 머리 터질거 같아요 3 도움 2016/08/10 2,491
585328 내가 어떤 수준의 인간인지 쉽게 아는 방법 4 조심 2016/08/10 3,032
585327 북핵포기하면 매년 630억달러 준다고요??? 3 ㅇㅇ 2016/08/10 773
585326 초등생 딸이랑 볼 수 있는 영화 추천 해주세요. 5 영화 2016/08/10 1,187
585325 과외샘 혹은 레슨샘 입장에서 가장 까다로운 학부모는? 7 학부모 2016/08/10 2,205
585324 지코 설현 열애설 기사보니까 화가 나요. 22 ,, 2016/08/10 21,314
585323 실리콘 부항기 중독돋네요 8 --;; 2016/08/10 5,078
585322 학생 봉사시간 인정 문의 드려요 11 더위사냥 2016/08/10 1,422
585321 아침에 오이지 글(원글만 펑) 9 화가나요 2016/08/10 1,161
585320 유전적으로 어깨 아래 팔이튀어나오고 다리도 짧고 굵은 V 인데 .. 4 방법이있나요.. 2016/08/10 1,073
585319 나홀로 현미족 어떻게 보관하고 드시나요? 11 2016/08/10 1,784
585318 올케언니 어머님께서 돌아가신 경우 친인척 어디까지 연락을 드려야.. 18 소미 2016/08/10 3,771
585317 초6 편한 의자 추천부탁드립니다. 1 .. 2016/08/10 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