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가 산 소형아파트가 5년사이에 일억이 올랐네요

.... 조회수 : 6,004
작성일 : 2016-01-05 20:58:00

결혼할때 여기저기 이사다니기 싫어서 그때 아파트값 폭락해서 바닥칠때 경기권에 2억초반에 신혼집으로 구입했는데 그당시 양가 부모님이 무척이나 말리고 전세로 들어가라고 성화셨어요.. 특히 친정엄마가 저를 이해할수없다며 많이 야단치셨는데.. 그렇게 그집을 구입해서 살면서 일년 지나서인가요 전세값이 미친듯이 오르기시작하더니 제가 구입한 금액과 전세값이 맘먹더라구요..
살다보니 살림이 자꾸늘고 집이 좁게 느껴져서 그간 모아놓은돈 보태고 소형아파트는 전세를 주고 저희는 넓은 곳으로 집을 사서 옮겨갔구요
재작년에 전세기한이 다 되서 시세보다 저렴하게 3천만원이나 밑으로 재계약을 해줬구요..
저희집은 전체 리모델링을 한 집이라 부동산에서도 왜 굳이 싸게 주냐고 더 받을 수도 있는 집이라는데 어차피 전세도 빚이고해서 싸게 재계약했는데 올해가 또 재계약 시점이 다가와서보니까 전세가 매매가랑 별로 차이도 안나더라구요 2억 2천에 재계약을 해줬는데 지금은 전세가 3억이고 매매가 3억 3천~4천이더라구요..
그집은 대지지분이 아파트 평수랑 같구 재계발 기한이 다가와서 관리소장이랑 개인적으로 친한데 꼭 쥐고있으라고 얘기해주시더라구요..
요즘 하던 일이 너무 안풀려서 한국 경기침체 영향때문이기도하구요 ㅜㅜ 이래저래 힘든데 그나마 저거라도 안사놨음 더 힘들었겠다싶고.. 5년 사이에 그집이 저희가 다른 집 구매하는데 효자노릇한거보면 그때 양가부모님 만류하시는거 뿌리치고 작은 집이라도 사길 잘했다싶어요..
반면에 전세금땜에 힘드신 분들 생각하면 한편으론 맘이 아파요.. 그래서 기존 세입자한테도 예쁘게 올리모델링된 집을 시세보다도 저렴히 사시게 해드린건데..
IP : 27.115.xxx.162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6.1.5 9:11 PM (49.142.xxx.181)

    저는 몇년전에 빚대신 헐값에 넘겨받은 아파트가 많이 올랐어요. 한 2~3억?
    그때 빚을 못 돌려받을것 같아 절망했었는데 지금 생각하면 운이 좋았죠.
    월세 주고 있는데 모 기업체 외국인 연구원이라는데 월세가 자동이체 되어 들어오네요.
    효자도 이런 효자가 없다 싶어요.

  • 2. 혹시 ㅇㅇㅇ님
    '16.1.5 9:13 PM (58.143.xxx.78)

    잠실 쪽 아파트인가요?ㅎㅎ

  • 3.
    '16.1.5 9:31 PM (211.207.xxx.160)

    하셨네요.전 결혼할때 전세금이랑 매매가랑 달랑4천사인데도 폭락한다는 말 믿고 못사다 확확 오르는 집값땜에 정말 절망에 빠진데다 모은 현금마저 남꿔줘서 다 날리고..결혼14년만에 샀어요.왜글케 폭락한단말만 믿었는지 .첨엔 나는 돈없어서못사는거 아니니까 이런맘이었다가 나중엔 정말 돈이 없어 못사는..게다가 전세 올려주기도 바빴네요.
    집사고나니 넘좋아요

  • 4.
    '16.1.5 9:33 PM (211.207.xxx.160)

    집 살때도 꼭지라 했는데 1억 넘게 올랐구요.전 떨어져도 신경안써요 대출도 다갚고 그냥 우리집이란게 넘좋아요

  • 5. 사둔지 1년반.
    '16.1.5 9:48 PM (14.38.xxx.2) - 삭제된댓글

    폭락했다가 반등중입니다. 꼭지까지는 못갈것 같지만 20프로 이익.
    그사이 전세가가 올라 산가격이 전세가가 되어서 들어갈 예정.
    본인 사는동네 입지 좋은곳 급매 나오는거 잡는것도 손해보지 않을듯

  • 6. 전 서울 재건축인데
    '16.1.5 9:57 PM (221.146.xxx.144)

    십년동안 두배반 올랐어요. 기대치에는 못미치네요.

  • 7. penciloo2
    '16.1.5 10:03 PM (67.168.xxx.184) - 삭제된댓글

    이런글보면 정말 이상해요
    과거 부동산 동향이 한국만 따로 노는게 아니고,미국과 한국 별반없이 비슷하게 흘러가두만...
    지금 미국 부동산 가격이 작년말부터 내리고있고 집매매시 가격 컷을하는 경우도 많아요
    여기 미국내에서 경기가 좋다는 지역도 그런상황인데 어쩜 한국만 집값이 오르나요?

  • 8. 저도
    '16.1.5 10:15 PM (1.240.xxx.48)

    집사고 8년동안1억3천올랐네요
    그나마안떨어져 감사할뿐요

  • 9. ..
    '16.1.5 10:16 PM (112.149.xxx.26) - 삭제된댓글

    윗님 해서는 안되는 기형적인 경기부양을 했거든요.
    대출로 쌓아놓은 탑이라 덕분에 가계대출이 엄청나게 늘었어요
    지금 한계에 와서 무너지기 직전이예요.

  • 10. 저도 한마디
    '16.1.5 10:28 PM (220.118.xxx.188) - 삭제된댓글

    그 전 정부는 바보라서 금리 안 내리고 가계부채 안늘린게 아니거든요.
    일시적인 마약 같은거라서 그 전 정부는 안 써 먹었는게...
    후대를 생각하면 급등도 급락도 없이 정치해야 하는데...
    그냥 무능한 정부라 생각해요.
    미래 부가가치에 열정쏟고 해야하는데....
    그냥 국민 10%만 위하여 존재하는 정부같아요

  • 11.
    '16.1.5 11:19 PM (117.53.xxx.134) - 삭제된댓글

    10년전 분양받은 오피스텔이 10년사이에 두배올랐네요. 서울 강남 역세권.
    월세주고 있는데, 2년전 잠깐 공실이어서 단기세입자 들인 적 있다가 정상임대중인데,
    요새 경기가 안 좋아 공실이 몇개 있다네요.

  • 12. 저도
    '16.1.6 8:45 AM (223.62.xxx.143)

    일년전에 산 역세권 조합원 입주권 1억 넘게 올랐어요...
    올 해 입주라서 전세가격를 줘도 산 가격보다 훨씬 높더라구요

  • 13.
    '16.1.6 8:58 AM (119.14.xxx.20) - 삭제된댓글

    땅덩어리 큰 미국과 인구밀고 높은 한국이 같나요?

    한국 뿐 아니라, 일구밀도 높은 다른 나라들 아무리 불황이라 해도 집값, 임대가 최근에도 크게 변동없고 높아요.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거나 하나 보죠.

    거품이다, 폭탄떠안기다란 말 들은지 십몇년도 더 돼어요.
    그러나, 현실은 내가 살고 싶은 동네는 이십년 전이나 지금이나 집값이 다락같이 높군요.

    무조건 오른다, 몇 억 대출 내서라도 투기하란 소리가 아니잖아요 지금.

  • 14.
    '16.1.6 8:59 AM (119.14.xxx.20) - 삭제된댓글

    땅덩어리 큰 미국과 인구밀도 높은 한국이 같나요?

    한국 뿐 아니라, 일구밀도 높은 다른 나라들 아무리 불황이라 해도 집값, 임대가 최근에도 크게 변동없고 높아요.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거나 하나 보죠.

    거품이다, 폭탄떠안기다란 말 들은지 십몇년도 더 돼어요.
    그러나, 현실은 내가 살고 싶은 동네는 이십년 전이나 지금이나 집값이 다락같이 높군요.

    무조건 오른다, 몇 억 대출 내서라도 투기하란 소리가 아니잖아요 지금.

  • 15.
    '16.1.6 9:55 AM (119.14.xxx.20)

    땅덩어리 큰 미국과 인구밀도 높은 한국이 같나요?

    한국 뿐 아니라, 일구밀도 높은 다른 나라들 아무리 불황이라 해도 집값, 임대가 최근에도 크게 변동없고 높아요.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거나 하나 보죠.

    거품이다, 폭탄떠안기다란 말 들은지 십몇년도 더 돼요.
    그러나, 현실은 내가 살고 싶은 동네는 이십년 전이나 지금이나 집값이 다락같이 높군요.

    무조건 오른다, 몇 억 대출 내서라도 투기하란 소리가 아니잖아요 지금.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8647 요시~~ 대남전단 발견.. 대북전단 다시 보낼수있게됬다. 3 요시 2016/01/13 446
518646 생굴 무침 잘하는 법? 11 비법 2016/01/13 2,388
518645 탈모 때문에 고민이 많아요 9 .... 2016/01/13 3,124
518644 오늘 오후 8시비행기 출발인데 발권이 안됐다고 여행사에서 전화왔.. 3 이럴수가 2016/01/13 2,076
518643 겨울 국내여행.. 추천 해주세요! 1 ㅇㅇ 2016/01/13 1,079
518642 장례식에 조의금을 보냈는데 문자 한 통이 없네요... 25 보통 2016/01/13 24,039
518641 이런 경우.... 입다물고 있어도 되나요? 해빛 2016/01/13 821
518640 오사카 1 여행 2016/01/13 873
518639 나랑 통화하다가 다른 여자 목소리 들리면서 끊을때 24 기분어떤가요.. 2016/01/13 5,033
518638 패딩베스트 잘 입게 될까요? 11 아기엄마 2016/01/13 2,038
518637 철수야 고마워...너무너무 꼬마워 19 。。 2016/01/13 3,523
518636 일반톱으로 낡은 신발장이 잘릴까요?? 4 .. 2016/01/13 575
518635 영화 '내부자들', 조선일보는 왜 침묵할까 15 세우실 2016/01/13 3,639
518634 라지에이터 쓰시는분 계실까요..? 8 벼리지기 2016/01/13 1,504
518633 약사님들 질문있습니다. 4 .... 2016/01/13 1,527
518632 교육비 할인카드 뭐가 좋은가요 2 . 2016/01/13 2,211
518631 82쿡님들도 박미령이라는 연예인 출신 아세요..?? 17 ... 2016/01/13 7,298
518630 구정끝나고 백화점세일하지요? 쇼핑 2016/01/13 574
518629 부모님 은퇴 상가매입하려는데 5 상가 2016/01/13 2,061
518628 워드 작성할 때 블럭 띄엄뛰엄 여러개 씌우는거 좀 알려주세요.... 3 .. 2016/01/13 1,533
518627 시슬리 폼클렌저 대체할만한 제품.. 14 있을까요? .. 2016/01/13 4,261
518626 리얼미터 1월 7일~8일 일일조사 / 안철수 20.1 김무성 1.. 3 .... 2016/01/13 850
518625 고등1학년과정인 수1과 수2 중 어느게 더 어려운가요? 5 예비고등 2016/01/13 1,978
518624 예비소집일 가는데 긴장되네요 4 교학과로 가.. 2016/01/13 1,084
518623 타히티 지수 연예계 스폰서 실태가 이런가요?? 1 ggggg 2016/01/13 2,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