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LED등이 눈에 좋나요

전등 조회수 : 6,419
작성일 : 2015-11-28 23:27:19
LED등ㅇ 경제적으로 좋다고는하는데요
눈에도 정말 좋은가요?
IP : 223.33.xxx.18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노노
    '15.11.28 11:31 PM (1.228.xxx.48)

    블루라이트파장 때문에 눈에 안좋아요

  • 2. 눈에나빠요
    '15.11.28 11:37 PM (122.34.xxx.100) - 삭제된댓글

    눈부시고 눈에 자극적이예요

  • 3.
    '15.11.28 11:42 PM (58.224.xxx.11)

    안 좋답디다

  • 4. ..
    '15.11.28 11:42 PM (116.121.xxx.90)

    led 눈 피곤하고 싫더군요.형광등이나 삼파장도 그전에 나오던 백열전구 불빛에 비하면
    덜 따뜻한 느낌이고 눈도 아린게 별로였는데 이건 더 심하더라구요.전기요금이 많이 나가 그렇지..
    옜날에 나오던 전구들이 색감이나 눈 피로도는 덜 해서 하다못해 크리스마스 장식전구도 그전게 더 이뻐서
    오래 전 거로 쓰게 되네요.티비도 pdp벽걸이로 보구요.

  • 5. 백열 전구는
    '15.11.29 12:00 AM (74.74.xxx.231)

    법적으로 판매가 금지될 거구요. 스펙트럼이 자연광에 가까운 거는 할로겐 전구입니다. 그러나 에너지 문제와 공해 문제를 생각하면 LED를 쓰되 최대한 해가 떠 있는 동안 생활하는 방향으로 갈 수 밖에 없습니다.

    엘이디의 블루라이트 파장이 눈에 안 좋다 하는 말은 여기 스펙트럼에서 왼쪽 (적외선에 가까운 가시광선 영역)에 곡선이 팍 솟아오른 것을 말합니다.
    http://www.scientificamerican.com/media/inline/blog/Image/Spectrum_CFL_LED.jp...
    CFL: Compact Fluorescent Light (콤팩트 형광등)
    Incandescent Light Bulb: 백열등

    LED를 사시되 5000K 같이 하얀 빛 나는 전구 대신에 약간 누런 빛을 내는 전구를 사시면 그나마 블루라이트가 약건 적습니다.

  • 6. 집수리
    '15.11.29 12:02 AM (218.236.xxx.90) - 삭제된댓글

    몇달전 집수리하면서 폭풍검색해보니 백내장 유발 위험이 있다는 글도 있어 일반등으로 했어요.
    Led등은 개인적으로 빛이 강한 느낌이 들고 눈도 시리고 번져보여서 불편하던데요.

  • 7. ...
    '15.11.29 12:19 AM (223.62.xxx.55)

    초등학교
    Led로 교실 모두 교체했는데
    아이들 시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있는
    학부모 한분도 못 봤어요

  • 8. ///
    '15.11.29 12:20 AM (61.75.xxx.223)

    안방만 교체했는데 눈이 부시다 못해 시려요.
    기분탓인줄 알았는데 이유가 있었네요.

  • 9. "안방만 교체했는데 눈이 부시다 못해 시려요."
    '15.11.29 12:26 AM (74.74.xxx.231)

    그건 밝기가 너무 밝아서 그런 것 같은데요.

  • 10. 백열등 비슷한
    '15.11.29 12:37 AM (114.204.xxx.75)

    led는 괜찮던데요.
    글씨도 더 잘 보이던데, 그만 써야 할까요

  • 11. 수페르가
    '15.11.29 12:41 AM (182.230.xxx.104)

    친정이 이번에 공사하면서 대대적으로 led했던데 갈때마다 눈이 시려요..시력이 나빠서 그런건지...부모님 시력걱정되네요..전 이상하게 led빛이 피로감이 몰려와서.

  • 12. ..
    '15.11.29 12:44 AM (211.227.xxx.11) - 삭제된댓글

    쏠라루체나 필립스 추천해요. 그외엔 쓰레기 제품들 많아요..

  • 13. ..
    '15.11.29 1:03 AM (114.206.xxx.173)

    딸 아이방은 백열전구 같은 노란색 나는 LED전구로 끼우니 눈이 편하네요.

  • 14. ..
    '15.11.29 2:12 AM (115.137.xxx.155)

    Led좋다고 해서 바꾸었는데...
    도대체 무얼 믿어야하나요...

  • 15. 엘이디
    '15.11.29 2:40 AM (125.186.xxx.115) - 삭제된댓글

    빛온도가 높을 수록 ㅍ푸른 빛이 나고 눈이 시립니다
    빛 온도ㅡ캘빈)가 낮을수록 붉은 색이 나고 눈이 편해집니다

    가정용으로 형광등 정도가 5700ㅡ5000 k
    백열전구가 2700ㅡ3000k
    백색등이라고 하는게 4000k

    색온도가 낮을 수록 같은 와트라도 어둡게 느껴지기 때문에 전체 조도를 감안하여 등 갯수를 정하셔야 합니다

    빛의 깜박임 현상 ㅡ 옛날 티비 보면 가로줄이 위로 올라가는 것 기억나시죠ㅡ을 플리커 현상이라 한다는데 이게 눈에 안 좋다고 유럽에서는 플리커 프리 제품만 쓰게 한다죠

  • 16. 엘이디
    '15.11.29 3:03 AM (125.186.xxx.115) - 삭제된댓글

    조금만 검색해보면 알 수 있는 내용인데 관심 없음 그냥 집고칠때 어떤 제품이 들어올지 모를것 같아요
    제품에 따라 빛이 얼마나 넓게 퍼지는지 (넓은 면적을 커버해야할때) ks 인증은 받았는지 보증기간은 몇 년인지 색온도는 몇도가 적당한지 ㅡ 공부하는 방과 음식만드는 곳은 은 형광등의 조도5000k / 식탁위, 침실기능만 하는 경우나 화장실은 등의 조도 3000k / 거실의 경우와 보통방는 4000k를 메인으로 잡고 3000k 를 부분조명으로 쓰시면무리없을 듯 합니다

  • 17. 의외로
    '15.11.29 4:51 AM (221.163.xxx.162) - 삭제된댓글

    저는 뭐 하나 사고 바꿀때 검색 많이 해보고 이것저것 유해한거 꽤나 찾아보는 사람인데 몰랐어요.
    검색해도 의외로 안나오고 몇달전에 82글에서 누가 탁상용 스탠드 led 눈에 안좋단댓글보고 허걱...
    정말 멘붕이었어요. 전혀 생각 못했던거거든요.

    에너지절감효과랑 뭐뭐해서 요즘엔 led 안쓰면 난리나는 것처럼 했기때문에( 형광등이 유해하고 나중에 빛떨림 있다.. 백열등은 너무 뜨겁고 전기세 감당 안되죠.. 할로겐도 뜨거워지고 할로겐이면 얼른 교체하라고들) 저도 집수리 하면서 led 등 많이 설치했거든요. 메인등 바라솔이라고 그런것도 쓰고 주방같은곳은
    형광등인데 복도등 같은건 led 구요.

    애들방이 메인등으로는 어둡기때문에 책상용 스탠드 사주려고 국내 제품 보는데 디자인이 썩 마음에는
    안들고 뭐 그나마 led등인데 네가지모드 ( 집중학습 동영상볼때 무드등.. 이런식으로 노랗고 덜노랗고 좀
    하얗고 이런 빛조절가능한) 불빛조절되는 모양을 사줘야지 하려던 차였는데...

    눈에 안좋단 글에 진짜 깜놀했네요. 최근 책상사고 하면서 다 led 조명던데 이게 왠일 싶어서..
    그래서 라문 아물레또 스탠드아세요??? 동그라미 두개 모양으로 된 조명???
    그거도 led 인데 안과의사 검증받았다더니 개뻥인가 해서 지금 여전히 조명 못사고 있다는 ㅠㅠ

  • 18. "조도5000k "
    '15.11.29 7:39 AM (74.74.xxx.231)

    5000K 3000K 하는 것은 색 온도를 말하고 전구의 밝기는 보통 lux라는 단위를 씁니다.

  • 19. ㄴㅁ
    '15.11.29 3:51 PM (175.115.xxx.223)

    비싸게 주고산 내led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3510 표창원-새정치민주연합입당, 문재인대표의 요청에 응하다 2 집배원 2015/12/27 738
513509 제가효과봤던 다이어트보조제 7 ^^ 2015/12/27 6,437
513508 교통사고관련 보험에 광해서 아시는분 도움주세요 겨울 2015/12/27 588
513507 오른쪽 허리부근 옆구리가 넘 땡겨요 5 ㅇㅇ 2015/12/27 2,628
513506 근데 덕선이를 왜 수연이라고 안부르나요?? 3 2015/12/27 2,540
513505 안철수 등장으로 좋은점 인터넷 친노의 민낯 볼수 있었기 때문에.. 24 ........ 2015/12/27 1,131
513504 해외여행 간 얘기 안하는 이유 8 ㅇㅇ 2015/12/27 3,803
513503 野 67명 "문재인, 공천에서 손 떼고 조기선대위 구성.. 20 샬랄라 2015/12/27 1,406
513502 ㅋㅋㅋ 아, 그래요? 안녕히 계세요 아마 2015/12/27 792
513501 국정원출신 카이스트 교수 김흥기..대선에서 어떤역활 했을까? 1 댓글부대용역.. 2015/12/27 1,205
513500 엄마의 좋은 점을 저는 전혀 안 닮았어요 닮고 싶은데.. .... 2015/12/27 767
513499 자기자식만 너무 챙기는 이모 섭섭하네요... 9 현이 2015/12/27 4,078
513498 학과도움좀주세요~ 고삼맘 2015/12/27 586
513497 제가 정기후원하는 단체들인데 혹시 문제있는곳 있나요? 2 웃어봐요 2015/12/27 752
513496 90년대 홍콩 여행은 어떤 느낌이었나요? 13 .... 2015/12/27 2,439
513495 대치동과학특강학원 3 알려주세요 2015/12/27 2,524
513494 포트메리온잔의 손잡이에 금이 갔는데 일욜 넘 춥.. 2015/12/27 686
513493 티비 싸게 사는 방법 5 겨울 2015/12/27 2,175
513492 할머니들, 아베 엎드려 사죄해야..정대협,소녀상 이전은 불가능 2 아베박근혜 2015/12/27 494
513491 기프트콘이 왔는데요.. 4 얌얌 2015/12/27 1,058
513490 깨알같은 정보 공유 블로거 2015/12/27 573
513489 대구탕끓일때 육수내서 하나요? 6 모모 2015/12/27 1,523
513488 클라이밍 살 빠지나요? 1 실내운동 2015/12/27 1,592
513487 군대 대신. 장교를 3 궁금맘 2015/12/27 1,235
513486 응팔 16회 쌍문동 들개들 ㅎㅎㅎ 2 응팔 2015/12/27 2,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