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일반 압력솥으로 현미밥하는 방법 알고싶어요...

현미밥 조회수 : 2,193
작성일 : 2015-11-01 11:11:55
안넝하세요... 사십중반의 요리초보입니다.
남편이 오래동안 고혈압약 복용중인데
현미가 좋다고즐 하셔서 오늘 현미랑 도시락을 사러 나가려해요.
회사식당에서 먹을때 밥만 제가 싸준 현미밥을 먹이려고요.

저희집엔 전기압력솥이없고 (고장나서 올초에 없앴거든요)
가스불에 사용하는 압력솥이 있습니다.
현미는 어떤 현미를 사야할까요?
발아현미를 사도 오래 불려서 사용해야하는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시구요.~
IP : 211.48.xxx.24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
    '15.11.1 11:19 AM (203.128.xxx.189)

    가스 압력밥솥에 밥 해 먹는데요.
    현미.백미 7:3으로 해서요.
    백프로 현미밥도 해 먹고요.
    전 밤에 씻어서 불려놨다가 하는데
    먹기 불편하지 않아요.
    그리고 햅현미 요즘 나오쟎아요.
    묵은 현미보다 더 부드럽게 잘되네요.
    물양은 일반밥 보다 조금 더 넣고 합니다.
    찰현미 보다 일반현미가 나은거 아닌가요?

  • 2. ....
    '15.11.1 11:25 AM (39.121.xxx.97)

    저는 그냥 일반 현미 사서 오래 불립니다.
    항상 저녁에 씻어 담가놓고 아침에 밥 해요.
    일단 센불에 올려 끓이다가 추 돌아가면
    중약불로 줄여 3분정도 더 끓임.
    그대로 두고 김 다 빠진 후에 뚜껑 열면 밥 잘 되어있어요.

    안불렸을 때 불 켰다 껐다 여러번 하는 방법도
    본 것 같은데,
    그냥 신경 조금 써서 미리 오래 불리는게 확실해요~

  • 3. ...
    '15.11.1 11:26 AM (220.73.xxx.63) - 삭제된댓글

    방법은 일반쌀 밥하는 거랑 다르지 않아요.

    다만 아침에 밥하시려면
    전날 저녁에 쌀 담궈 놓으시는게 깔끄럽지 않고 부드럽구요.

    물은 백미일때보다 조금 더 넣으세요.
    (일인분 쌀 계량할 때의 컵으로 반컵 정도 물을 더 넣습니다.
    백미를 섞을 때도 마찬가지에요)

    그리고 백미는 5분 정도 가열한다면
    현미는 1분 더 가열하세요.

    건강을 위해서라면 찰현미보다 일반현미가 낫구요.

  • 4. ...
    '15.11.1 11:27 AM (220.73.xxx.63) - 삭제된댓글

    방법은 일반쌀 밥하는 거랑 다르지 않아요.

    다만 아침에 밥하시려면
    전날 저녁에 쌀 담궈 놓으시는게 깔끄럽지 않고 부드럽구요.

    물은 백미일때보다 조금 더 넣으세요.
    5인분이든 6인분이든 종이컵으로 반컵 정도의 물을 더 넣습니다.
    백미를 섞을 때도 마찬가지에요.

    그리고 백미는 5분 정도 가열한다면
    현미는 1분 더 가열하세요.

    건강을 위해서라면 찰현미보다 일반현미가 낫구요.

  • 5. ...
    '15.11.1 11:28 AM (220.73.xxx.63)

    방법은 일반쌀 밥하는 거랑 다르지 않아요.

    다만 아침에 밥하시려면
    전날 저녁에 쌀 담궈 놓으시는게 깔끄럽지 않고 부드럽구요.

    물은 백미일때보다 조금 더 넣으세요.
    5인분이든 6인분이든 종이컵으로 반컵 정도의 물을 더 넣습니다.
    백미를 섞을 때도 마찬가지에요.

    그리고 백미는 5분 정도 가열한다면
    현미는 1분 더 가열하세요.

    건강을 위해서라면 찰현미보다 일반현미가 낫구요.
    발아현미는 불릴 필요없이 그냥 사용하셔도 될거에요.

  • 6. ㄷㄷㄷ
    '15.11.1 11:28 AM (121.143.xxx.117)

    전기압력솥 쓰다가 치우고 가스압력솥 쓰고 있는데요.
    현미2 현미찹쌀1 정도 섞어서 안불리고 해요.
    저는 현미의 씹는 맛을 좋아하긴 하는데
    맛있게 잘돼요.
    전기압력솥과 차이는 없어요.
    쌀밥 드시던 분은 씻어서 냉장 보관했다가 다음날 하시면 되지 않을까요?

  • 7. 저는
    '15.11.1 11:41 AM (1.243.xxx.122)

    불리지 않고 그냥해요.
    현미만 100% 할 경우 물의 양을 넉넉히 잡고 (약 1.5배) 쌀이나 귀리등 반정도 섞을때는 1.2배 정도.
    추가 울리면 2분뒤 약불로 약 6~7분, 그리고 김 빠질때까지 뜸들이기 해요.

  • 8. @@
    '15.11.1 11:50 AM (220.72.xxx.238)

    동네 할머니께서 알려주신 방법인데요.
    보리밥하듯이 현미를 불리지말고 한번 삶아주신다음 바로 밥을 하면 시간도 얼마 안걸리고
    여러시간 불린것처럼 식감 부드럽고 좋아요

  • 9. ............
    '15.11.1 2:07 PM (14.39.xxx.64) - 삭제된댓글

    맛있는 현미밥 & 현미 죽, 만드는 간단한 방법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17&cn=0&num=1525801&page=2&searchType...

  • 10. 감사합니다.
    '15.11.1 3:51 PM (211.48.xxx.24)

    알려주셔서 넘넘 감사드립니다.

  • 11. 뒤늦게
    '15.11.1 11:10 PM (125.180.xxx.22)

    저희는 불리지 않고 일반물보다 약간 더넣고 딸랑거리면 가장 약하게 줄인후 25분정도 후에 끄고 먹으면 거부감 없이 구수하고 맛있더라구요.
    찰현미는 장복하면 별로라고해서 그냥 현미 100프로나 귀리 율무 약간 넣어도 씹는 식감 좋아요.
    될수 있으면 한살림에서 유기농으로 사서 하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2834 폭염 또는 폭우 ... 02:02:47 128
1742833 생활형숙박시설요. 기사인데 이게 뭐가 문제가 되는건가요? 1 생숙 02:01:58 116
1742832 저속 노화하려면 ‘이 영양제’는 꼭 챙겨 먹어라 2 링크 01:53:44 392
1742831 미국은 AI 때문에 해고가 엄청나요. 6 oo 01:37:26 752
1742830 집착에서 벗어나는 방법 1 .. 01:34:51 265
1742829 무안서 급류에 휩쓸린 60대 사망 ㅠㅠ 3 ㅠㅠ 01:18:13 1,069
1742828 친한 언니가 목에 혹이 잡힌데요 걱정 01:13:19 350
1742827 마늘쫑 무침 질문요 ㅇㅇ 01:10:52 112
1742826 예보에 다음주 내내 비온다는데 사실인가요 ㅠㅠ 5 adler 01:09:28 1,183
1742825 서초동 보는데...상속포기 6 상속 00:48:13 1,573
1742824 저지방 무가당 그릭요거트추천해 주세요 . . . 00:46:22 104
1742823 물놀이 하고 뭘 먹으면 배가 차가워져요 에이디 00:43:18 115
1742822 미웠다가 안미웠다가 자식이 뭔지. . 3 아까 00:41:16 796
1742821 얼마 전 남편이랑 싸우고 식욕을 잃었어요 ㅎㅎ 00:39:29 582
1742820 네이버페이 줍줍 2 ........ 00:30:17 373
1742819 뉴욕에서 한인 유학생 #고연수 씨 석방 촉구 집회 열려 2 light7.. 00:22:08 779
1742818 종잡을 수 없는 날씨 3 bab 00:21:32 960
1742817 급식 항의한 학부모 논란 18 ㅇㅇ 00:18:36 2,468
1742816 변호사 드라마 6 겹치기 00:12:45 1,090
1742815 kbs는 재난 방송을 안하네요. 2 00:10:29 888
1742814 시부모님 병환 합가하실수있어요? 36 00:08:34 1,845
1742813 kbs1 보는데 괴상해요.유튭추가 없어지기전에 보세요 5 어쩌다 00:01:21 1,842
1742812 너가 우리 여행 데려 다녀라는 건 18 ㅇ ㅇ 2025/08/03 3,041
1742811 도시락 싸시는 분들 화이팅 10 .... 2025/08/03 1,221
1742810 무안에 폭우가 오나봐요 2 ... 2025/08/03 1,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