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전세값이 내리기도 할까요?

전세 조회수 : 2,684
작성일 : 2015-08-15 18:35:45
3년 전세 계악했었고 내년 중반이 만기인데 벌써 두렵네요.
현재 사는집 전세 2.5억 올랐고 주변도 마찬가지에요.
그걸 월세화하면 얼마일지..
한번 올라간건 절대 안내려오겠죠?
IP : 1.226.xxx.250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dd
    '15.8.15 6:39 PM (175.208.xxx.167)

    전세는 이렇게 없어지고, 월세만 남게 된다는게 정설인데 모르죠

  • 2. dd
    '15.8.15 6:40 PM (175.208.xxx.167)

    월세화 되면 얼마일지가 아니고 그냥 지금 월세시대 비교해보시면 되죠. 그것보다 올라가겠죠...

  • 3. ..
    '15.8.15 6:43 PM (211.210.xxx.21) - 삭제된댓글

    전세는 안떨어져요..

  • 4. 전세끼고
    '15.8.15 6:46 PM (110.8.xxx.3) - 삭제된댓글

    집 사두면 집 값 오르던 시절은
    전세가 손해보는게 아니었죠
    그리고 은행금리도 높아 그전세돈 이자도 지금보단 나았고
    지금에야 전세금 비싸다 쳐도
    그거 은행 넣어둬도 얼마 안하고 집은 남줘서 계속 낡아지고
    2 년에 한번은 복비들고
    매년 두번씩 재산세에 ...
    그냥 팔아버리고 말지 전세금 낮게까지 유지하며 가지고
    갈 이유가 없어졌어요
    집은 사두면 오르는게 당연했던 우리나라에 있던게
    전세인데
    이젠 우리나라 부동산도 그런 시절 끝났으니 전세제도
    점점 정리되고 월세로 가겠죠

  • 5. 새옹
    '15.8.15 7:03 PM (218.51.xxx.5)

    단언하시기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이에요
    올해말 좀 공급하고 2년뒤에 대규모 공급하면 전세찾던 사람중 집주인 되는 비중이 늘고 젊은 사람은 줄고있으니 기존 살던 사람 이외 신규 전세시장에 뛰어드는 수요자가 지금보다 적어지고
    그럼 공급이 늘어나니 전세 내릴수도 있어요
    잔실 초반에 대규모 공급되던 시절 새아파트임에도 30평 전세값 2억초반대였어요 지금은 그사이 베이비부머세대의 수요에 비해 새아파트 공급이 부족해서 전세가 많이 올랐구요
    지금의 마지막베이비부머세대의 전세 수요가 줄어들기 시작하면 계속 오르기도 힘듭니다
    외국이야 월세개념밖에 없으니 빈집으로 두겠지만 우리나라는 전세개념이 있으니 빈집으로 안 두고 전세 두겠죠

  • 6. 새옹
    '15.8.15 7:04 PM (218.51.xxx.5)

    오히려 완전 월세제도 들어가기전에 전세값 맞춰 집갑 정리.먼저 될겁니다

  • 7. 근데요. 요즘엔 서울도
    '15.8.15 7:30 PM (1.254.xxx.88)

    전세값에 5천만원만 더하면 집값 이던데요...지방은 이미 100프로 되었구요...

  • 8. ㅇㅇ
    '15.8.15 8:28 PM (211.178.xxx.8)

    일단 공급이 많아져야 전세든 월세든 구하기 수월해질텐데~공급은 적고 수요는 많고
    그게 근본적인 문제 아닐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4363 지금 방송중인 지펠 냉장고 푸드쇼케이스들어간 정 인 2015/08/16 820
474362 오리털 쓰시는 분들 커버는 주로 어디서... 1 이불커버 2015/08/16 848
474361 깔끔한 맥주안주는??? 25 ,,, 2015/08/16 4,906
474360 일산 전원주택 얼마쯤 하나요??? 몽이 2015/08/16 1,225
474359 [펌] 지금 비 맞지 마세요 큰일납니다..!! 9 2015/08/16 11,391
474358 냄비바닥에 이렇게 쓰여 있는데 좀 알러주세요. 1 냄비 2015/08/16 980
474357 락앤락에서 나온 웍이나 후라이팬.. 3 좋나요? 2015/08/16 2,204
474356 아이가 복숭아 먹고 두두러기가 막 올라오는데요. 20 알러지 2015/08/16 3,684
474355 부모님 상 당해보신 분들, 조언 꼭 부탁드려요ㅠ 6 소피아 2015/08/16 2,106
474354 영어 공부에 왕도가 있나요? 2 ... 2015/08/16 1,914
474353 홍콩에서 한국핸드폰 사용 가능한가요? 3 ㅇㅇㅇ 2015/08/16 871
474352 유럽여행 가보신분중 16 가야해 2015/08/16 3,860
474351 된장찌개는 어디에 끓여야 맛있어요? 6 돌돌엄마 2015/08/16 2,115
474350 지금 내리는 비 절대로 맞으면 안된다고 하네요.. 17 ㅇㅇ 2015/08/16 14,848
474349 무섭네요 4 파란하늘보기.. 2015/08/16 2,446
474348 한국은 유럽처럼 중,일과 같이 문화공유 안하는이유가 뭘지.. 27 문화 2015/08/16 2,303
474347 미국 아주짧은바지 안좋게 보나요? 16 - 2015/08/16 5,699
474346 같은직종에서 너무 우월한 존재를 볼 때... 18 토요일 2015/08/16 5,694
474345 선보는 건 어디가서 물어봐야해요? 17 2015/08/16 2,429
474344 엑셀이 필요해서.... 3 00 2015/08/16 960
474343 복면가왕 김연우 없으니.ㅠㅠ 14 복면 2015/08/16 5,053
474342 이렇게 써도 될까요 이대로 괜찮.. 2015/08/16 821
474341 여자아기 기저귀 갈 때요.. 43 Zz 2015/08/16 9,910
474340 남편과 아내중 누구가 더 이해되나요? 31 공감 2015/08/16 5,606
474339 비 맞지 말라는데요 1 으ㅡㅡ 2015/08/16 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