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딤채 뚜껑식 김치냉장고 쓰시는 님들,

설명서 봐도 어려워 조회수 : 16,861
작성일 : 2014-11-30 00:51:17

김장을 끝내고 넣으려는데요,

대체 어느 과정으로 설정해야하는지요?

설명서를 봐도, 발효과학 으로 설정이면 빨리 익어 장기보관이 어렵다,

오래 보관하려면 보관 으로 해라,

그런데 오래 보관의 기준이, 다 익힌 김치 보관인건지,

새로 산 냉장고인데 알쏭달쏭 모르겠어요.

밤늦어서 서비스센터 전화도 못하겠고, 딤채 홈피 들어가도 아무런 정보가 없는데다가

뭐 질문하려니 다 로긴해란 말~ㅠㅠ.

저는 그냥 표준의 김장김치를 맛나게 익혀서 먹기를 원하는데요, (즉, 나중에는 묵은지가 되게끔)

그럼 어느 과정으로 설정해야하나요?

발효과학 설정하면 되나요?

IP : 182.215.xxx.139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보리수
    '14.11.30 1:00 AM (121.186.xxx.90)

    아주 오래된 딤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발효과학이란게 있는...

    전,그냥 보관으로 둡니다.
    밖에 익혀서 먹을 김치를 남겨두고요.

    먹으려 하는데 안 익었으면 통째로 꺼내어 실온에 익혀서 먹구요.

    형님이 경우.
    "땅속익힘"으로 두신답니다.
    3일인가? 지나면 자동으로 보관으로 넘어 갑니다.(몇 해전에 해 봄)
    그래도 완전히 익는건 아닌것 같아요.

    내년 3월 이후에 드시는 김치의 경우
    보관에만 두어도 적당히 먹을만 하다는 것.

  • 2. 보관
    '14.11.30 1:06 AM (1.241.xxx.71)

    14년째 옛날 뚜껑식 딤채쓰고있는데요
    담아서 바로 딤채에 넣어놓고 먹어요
    지금까지 작년 김장 먹고있는데 맛이있네요
    생김치 그대로
    보관 - 상태인채로 넣어서 딤채에서 익혀먹어요
    물론 빨리 익는것 먹고싶으면 한통정도 밖에 두었다가 익으면 넣구요

  • 3. ..
    '14.11.30 1:22 AM (223.62.xxx.76)

    그냥보관으로바로한김치넣는것보단
    하루정도실온에뒀다가두는게
    더맛나더라구요
    개인적으로
    생김치를바로넣고먹는건
    내년3월이후나제맛들더라구요

  • 4. 이번주 딤채구입
    '14.11.30 1:34 AM (211.111.xxx.119)

    예전에도 뚜껑형 썼는데 고장이나서 급히 새로 교체했어요.
    새거 산 김에 좀 더 맛있게 김장보관 가능할까 싶어
    고객센터 전화해서 문의했었는데요
    발효과학은 온도가 15도내외로 3일정도 유지후
    표준온도인 영하1도~0도로 맞춰지는거랍니다.
    밀폐된 공간에서 엄청 더운거죠. 그냥 상온에서 하루이틀 뒀다 넣는거랑 큰 차이 없을듯요.(상온에서 발효숙성이 진행되었으므로 빨리 먹을 김치만!!)

  • 5. ㄷㄷ
    '14.11.30 1:35 AM (180.230.xxx.83)

    오래두고 드실거면 바로 넣어 장기보관 선택하심
    돼요~

  • 6. 아, 그렇다면
    '14.11.30 1:45 AM (182.215.xxx.139)

    그냥 표준 보관 기능으로 두는게 맞다는 말씀이시죠? 절임배추로 뜨신 아파트에서 하루 종일 걸려 치댄거라
    넣으려고 보니 벌써 익어가나? 하는 의심이 들었거든요. 통에 담아놓고 서너시간을 따뜻한 실내에서 둔 셈.
    새로 김치냉장고 까지 장만한 지라, 평소때보다 더 많이, 더 심혈을 기울여서 담근 김치인거라, 기계조작 못해서 혹시 망치기라도 하면 어떡하지? 싶었어요. 그 전 냉장고가 전혀 김냉 특유의 기능을 못했기에, 이번 김장에 기대가 크거든요.

  • 7. 이번주 딤채구입
    '14.11.30 1:47 AM (211.111.xxx.119)

    ㅠㅠ 댓글이 다 날라갔어요.

    암튼 가장 맛있는 보관방법은
    보관선택 김치 표준(0~영하1도내외) 에 두는겁니다.
    강,약은 0.3도씩 마이너스,플러스 되는거고요.
    김치가 싱거울경우는 강으로 두면 얼수도 있대요.
    참, 꺼져있던 딤채라면 김치넣기전 미리 몇시간전에 켜서
    온도를 맞춘후 넣어야해요.

    장기보관은 빠르게 냉각시킬때입니다. 반드시. 생김치만 넣어야하고요.
    익은김치는 얼었다녹을거라고해요.
    초기온도가 영하8도로 5시간동안 유지후 영하3~5도로 10시간 유지.
    그후는 표준온도로 보관된답니다.

  • 8. 아, 그렇다면
    '14.11.30 1:49 AM (182.215.xxx.139)

    그리고, 당장 먹을 김치 일부는 작은 통에 덜어서 베란다에 뒀어요.
    즉, 익혀서 당장 먹을거면 발효과학, 아니고 오래 보관하면서 자동 숙성 시키려면 표준이라고 이해하면 되나요?

  • 9. 감사합니다.
    '14.11.30 1:53 AM (182.215.xxx.139)

    제가 질문 글 올리는 동안 답글이~. 네, 그럼 김장김치도 오래 보관해서 내년에 먹을거면 표준으로 하는게 가장 맛있다는 말씀이시죠? 정말 감사합니다. 덕분에 궁금증이 풀렸어요.

  • 10. 홈쇼핑 냉장고에요
    '14.11.30 2:00 AM (182.215.xxx.139)

    두달전에 몸체에 수국 그림있는 221리터 짜리 뚜껑형을 롯데 홈쇼핑에서 구입했어요. 검색창에 딤채 뚜껑형이라 치면 제일 먼저 나와요. 며칠전에 보니, 롯데에서는 그 모델말고 무늬가 네모 그림인 모델로 바뀌었더라구요. 옥션이나 지마켓에는 아직도 제가 구입한 모델이 70만원 안되게 나와있네요. 저는 74만인가 주고 구입했어요. DOH223DCW 에요. 그동안, 과일이나 넣어두다가 구입기념으로 김치 왕창 담았어요. ㅎㅎ.

  • 11. ....
    '14.11.30 2:00 AM (59.15.xxx.77)

    전 딤채 2005년에 구입한거 두 번 수리하고 결국엔 또 고장이 나서 묵은지 다 버리고..
    며칠 전에 딤채 새로 왔는데 김치는 12월 초순 지나야 올거고.. 윗님들 댓글 잘 읽어 봐야겠어요.

  • 12. 지나가다..
    '14.11.30 2:08 AM (118.220.xxx.22)

    뚜껑여는 딤채 10년된거 완전 김장김치용으로만 쓰고있어요. 발효과학,땅속익힘 등등등 다 사용한후 내린 결론은 땅속익힘이 김치맛이 최고라는거! 저희건 땅속익힘 설정하면 6일 자동설정 되는데 걍 뒀다가 꺼내먹음 넘 맛있어요. 10년지나도 고장도 없고 김치보관은 딤채 뚜껑식이 제일인것 같아요. 통만빼고..넘 무거워..

  • 13. 오래된 딤체 쓰는데
    '14.11.30 4:48 AM (121.88.xxx.86)

    숙성 보관 버튼이 있어요.
    숙성 버튼이 저절로 보관 상태로 변해요.
    바로 넣을땐 숙성버튼 눌러요.
    상태를 봐서 제가 중간에 보관 버튼으로 바꿀때도 있어요.

  • 14. ㅣㅣ
    '16.7.31 12:03 PM (115.137.xxx.76)

    김냉보관법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3718 신해철씨 어머니께서 편지 쓰셨네요ㅜㅜ 21 ... 2014/12/05 5,631
443717 결혼 관련해서 이런 친구 연 끊어도될까요? 4 최고 2014/12/05 2,144
443716 중1 수학, 영어 공부방법 도움 좀 부탁드려요. 2 직장맘 2014/12/05 1,347
443715 키성장 검사..연대 어린이 병원 어떤지요? 1 2014/12/05 1,406
443714 문체부 “(정윤회 의혹) 여야 싸움으로 몰고가야” 쪽지 파문 6 세우실 2014/12/05 1,401
443713 커튼을 수선해야하는데요 2 어찌해야할까.. 2014/12/05 3,032
443712 엑소 수호아빠 의료민영화와 공무원연금 개혁 에이잇 2014/12/05 1,624
443711 유재열이 즐겨듣는....김태정님의 "배추절이기".. 은빛여울에 2014/12/05 828
443710 40대 이직 어렵네요.. 3 이제똥줄인가.. 2014/12/05 4,809
443709 유병재의 에네스 사과문 해석 3 ... 2014/12/05 3,706
443708 보건관리학과는 어떤 일을 하게 되나요? 1 수험생 2014/12/05 1,514
443707 초4기말 평균90.5 7 아줌마 2014/12/05 2,165
443706 여쭙니다 정신질환 2014/12/05 558
443705 신사동의 어느 주방장 2 .... 2014/12/05 2,013
443704 외환위기 전 징후나 소문들 있었나요? 15 IMF 2014/12/05 4,270
443703 늙은나이에 엑소를 알고... 13 부끄럼 2014/12/05 2,581
443702 '일밤', '아빠 어디가' 후속은 애완동물 키우기 5 아빠 2014/12/05 2,245
443701 친환경 귤이면 귤껍질 그냥 말려서 사용해도 되나요? 3 귤귤귤 2014/12/05 994
443700 친구들 싸움에 중간에 껴있는 입장이라면 ㅠ 16 답답 2014/12/05 3,697
443699 연금보험 관련 잘 아시는분 급 질문 드립니다. 3 보라동이 2014/12/05 1,283
443698 이정도면 저축을 더 열심히 해야겠죠? 7 재테크 2014/12/05 2,199
443697 의사단체 ”음주수술, 단순 봉합 시술이지 중요 응급 수술 아냐”.. 6 세우실 2014/12/05 1,584
443696 정윤회 문건으로 국회에 출석한 문체부 차관의 쪽지.jpg 2 허참 2014/12/05 1,346
443695 카톡 내용 삭제하면 5 궁금 2014/12/05 1,767
443694 토요일 서울에서 인천가는데 차 가져가는게 나을까요? 지하철이 나.. 3 ㄷㄷ 2014/12/05 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