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남 행복하게 해주는 것이 내 행복의 지름길"

릴리 조회수 : 1,464
작성일 : 2014-09-15 13:55:32
"남 행복하게 해주는 것이 내 행복의 지름길"


행복학 총론
공동체 안에서 함께 나눌때 행복 배로
행복 추구는 개인 권리이자 모두의 의무

행복에는 두 가지 기본 요건이 있다. 첫째 요건은 다른 사람들이다. 혼자서는 도저히 행복해질 수 없다. 모든 쾌락적 욕구를 충족시킨다 해도, 혼자 있는 한 행복해지기란 불가능하다. 톨스토이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은 지금이고, 가장 중요한 사람은 지금 나와 함께 있는 사람이며, 가장 중요한 일은 지금 나와 함께 있는 사람을 행복하게 해주는 일이라고 했다.

타인을 행복하게 해주는 게 행복에 이르는 길

누군가를 행복하게 해주는 것이야말로 행복에 이르는 가장 확실한 길이다. 봉사 활동에 푹 빠져서 지내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도와줄 때 느끼는 짜릿한 쾌감에 거의 중독되었다고까지 말한다. 나로 인해 누군가가 도움을 받게 될 때, 그 사람이 나에게 감사해한다는 것을 느끼게 될 때, 나로 인해 누군가가 행복해하는 모습을 볼 때 우리는 행복해진다.

우리의 뇌는 그렇게 공동체 생활에 보탬이 되는 일을 해야 깊은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진화돼 왔다. 다른 사람을 더 배려하고 사랑하는 일은 그래서 이타적이면서도 동시에 지극히 이기적인 일이다. 다른 사람을 위하는 길이 곧 나를 위하는 길이다. 이것은 도덕이나 철학적인 이야기가 아니다. 21세기의 뇌과학이 발견한 과학적 사실이다.

다른 사람에게 나의 행복을 나눠줄 때, 다른 사람도 행복해지지만, 나도 행복해진다. 행복은 절대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사람들은 나를 행복하게 해주는 사람을 진심으로 따르게 마련이다. 행복을 나누어주는 사람이 곧 이 사회의 진정한 리더다. 참된 리더십은 행복을 나눠줄 수 있는 능력이다. 자신의 신념이나 이념을 국민에게 강요하는 것은 19세기식 정치지도자다. 행복을 나눠줄 수 있어야 21세기의 리더다. 이제는 국민총생산량이 아니라 국민행복지수가 한 나라의 진정한 발전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가 되는 시대다.

행복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다

행복은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공동체의 문제다. 행복이나 불행감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다. 가까이 생활하는 가족이나 직장 동료 중에 한 사람이 불행해지면 그 불행한 감정은 주변 사람들에게 곧 전염된다. 나의 불행감은 나만의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우리는 행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것은 공동체 일원으로서의 의무다. 내가 행복해야 다른 사람도 행복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행복 추구는 개인적 권리이자 동시에 공동체적 의무다.

행복의 또 다른 요건은 자아의 성장이다. 자아 실현을 통해서만 인간은 행복해질 수 있다. 오늘 보다는 내일의 나의 모습이 더 나아지리라는 막연한 기대라도 있어야 오늘 하루를 살아갈 힘을 얻을 수 있다. 지위든, 사업이든, 학교 성적이든, 아니면 취미생활이든 어제보다 더 성장한 나의 모습을 느낄 때 우리는 깊은 행복감을 느낀다.

행복은 성공에 이르는 수단

행복은 목적이자 동시에 수단이다. 긍정심리학자인 바바라 프레드릭슨의 확장과 수립이론에 따르면 행복감은 우리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높여준다. 지능에는 감정통제 능력까지 포함된다. 똑똑하고 머리 좋다는 평을 듣는 사람들은 그냥 머리가 좋은 것만이 아니다. 그들은 감정조절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다. 해결해야 할 문제가 닥치면 긍정적 감정을 스스로 불러일으켜 신나고도 재미있게 일할 줄 아는 사람들이다.

실제로 행복한 사람일수록 성취동기가 높고, 주어진 일에 몰입도 잘하고, 창의적이고, 문제해결 능력도 뛰어나고, 따라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은 성공이 가져오는 열매라기 보다는, 성공에 이르는 수단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성공하지 못해서 불행감을 느끼는가? 오히려 당신의 불행감이 당신의 성공을 가로막고 있는 근본 원인일지도 모른다. 새해에는 독자 여러분들 모두 행복 증진을 통해 원하시는 모든 것들을 다 잘 이루시기를 기원해 본다.

"어려운 일 있어도 행복 느낄 수 있다"
서은국 연세대 교수

1984년 심리학계에 작은 반란을 일으키게 될 논문 한 편이 출판되었다.
일리노이대학의 에드 디너(Diener) 교수가 안식년 동안 쓴 '주관적 안녕감' (subjective well-being)이라는 다소 생소한 제목이 붙은 논문이었다. 요지는 간단했지만, 그 당시 심리학자들을 포함하여 많은 일반인들이 가지고 있던 생각과 정면 충돌하는 내용이었다. 그 때까지 심리학은 불행과 행복을 특별히 구분하여 생각하지 않았다. 불행이 감소되면 자동적으로 행복감은 올라간다는 식의 직관적인 믿음이 대세였다. 하지만 디너 교수의 논문을 계기로 이 오래된 심리학의 믿음은 급격히 바뀌기 시작하였다.

디너 교수의 연구는 행복과 불행은 본질적으로 다른 심리적 기제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중요한 사실을 알려 주었다. 쉽게 비유를 하자면 불행은 냉수조절기에 의해, 행복은 온수 조절기에 의해 각각 따로 조절되는 경험인 것이다.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기 위해서는 찬물을 잠그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당연히 온수 조절기를 돌려야 한다.

그러나 지금껏 불행 연구에 전념해왔던 심리학은 이것에 대해 아는 바가 거의 없음을 깨닫게 되었다. 다급한 마음으로 1990년대 초반부터 심리학자들이 행복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에서는 3,4년 전부터 행복론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행복에 대해 새로운 사실들을 많이 알게 되었다. 어떤 사람들이 언제 왜 행복감을 느끼는가에 대한 초기 의문은 어느 정도 풀렸다. 또 최근에는 행복 연구를 뇌, 문화와 같은 영역으로까지 확장시켜 진행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행복에 대한 연구를 오랫동안 하면서 자주 느끼는 것은 우리는 행복에 대해 꽤나 안다고 생각하지만 결정적인 오해들을 하며 살고 있다는 것이다.

인물로 묘사를 한다면 행복은 모두에게 친근감을 주면서도 결코 쉽게 자신을 드러내지는 않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일보의 행복 특집 기사들이 행복에 대한 우리의 오래된 오해들을 찾아내고 되짚어 보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우리 아이들에게 행복을 가르칠 때"
김은주 연세대 교수

부모라면 누구나 자식의 행복을 바란다. 좋은 학벌을 갖춰 주기 위해 온 가족의 희생을 바탕으로 사교육에 아낌없는 투자를 한다. 다 아이의 행복을 위해서다. 아이에게는 무조건 참고 공부할 것을 강요한다.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재의 고통을 감내하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최근 교육학과 심리학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이들은 우선 행복해져야 비로소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긍정심리학의 창시자인 마틴 셀리그만이나 확장과 수립이론의 바바라 프레드릭슨 등에 따르면 긍정적 정서는 호기심과 창의성을 유발시키고, 아이의 능력을 발달시켜준다. 능력의 발달은 연쇄적 상승을 일으켜 더욱 큰 긍정적 정서를 유발한다. 이러한 순환 과정 속에서 아이들은 행복해지고, 동기유발이 잘 되며, 자신의 능력을 한껏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사교육이 판치는 우리의 교육 현실은 단지 아이들을 불행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잠재적 능력까지 말살시키고 있다. 아이들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잡는다'는 표현이 어울리는 극성스러운 엄마들을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과도한 선행학습이 학습력 향상에 도움이 안된다는 것을 뇌과학은 분명히 보여준다.

강요된 선행 학습은 아이의 뇌에 지나친 부하를 줌으로써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 부위의 발육을 저해하며, 장기적으로 전체적인 뇌 발달마저 어렵게 한다.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강요된 선행학습을 통해 만들어진 수많은 '수재'들이 고학년으로 가면서 스러져가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이런 의미에서 극성 엄마들은 '한번 뒤쳐지면 끝'이라는 헛된 믿음보다는 '초반에 무리하면 먼저 지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한국일보의 행복 특집 기사를 통해 아이들의 행복감을 높여줄 수 있는 교육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행복해져야만 아이들은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우리는 아이들에게 행복을 가르칠 의무가 있다.
< 김주환 연세대 교수>
IP : 59.6.xxx.189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4.9.15 1:56 PM (211.209.xxx.23)

    감사합니다.

  • 2. ..
    '14.9.15 2:19 PM (210.217.xxx.81)

    좋은 내용 잘 읽었습니다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5504 절운동, 운동으로 어떤가요? 9 오늘도.. .. 2014/10/13 2,206
425503 중1 여 성장호르몬 치료 2 중1 여 성.. 2014/10/13 1,277
425502 청인 효소 먹어보신 분 있어요? asd 2014/10/13 2,227
425501 리큅건조기 3 선택 2014/10/13 1,401
425500 치과치료 견적 조언 주세요!! 4 큰 공사 2014/10/13 699
425499 시장나물 어때요? 1 나물 2014/10/13 303
425498 청국장, 집에서 만들어 드시는 분 있나요? 3 매니아 2014/10/13 829
425497 도우미 군기를 잡아야 되나요? 29 .. 2014/10/13 10,296
425496 식구들 다 나가고 집에 혼자 있으니 살 거 같아요 2 아싸 월요일.. 2014/10/13 1,129
425495 수돗물 끓이면 하얀 게 생기는데 괜찮을까요? 2 수돗물 2014/10/13 1,705
425494 "이통사들, 지난해 개인정보 1천만건 공안당국에 넘겨&.. 3 샬랄라 2014/10/13 440
425493 사라브라이트만 작년공연.... ..... 2014/10/13 453
425492 칼로라 또는 gi수치가 정말 다이어트랑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9 다이어트중 2014/10/13 1,371
425491 쩔어있는 노예근성 -- 2014/10/13 536
425490 달팽이크림 7 홈쇼핑 2014/10/13 2,101
425489 예금과 적금 어디로 딸 둘 중 .. 2014/10/13 544
425488 1월 세부 항공권을 사려는데 거의 모두 대기예요. 원래 이런가요.. 7 비행기 2014/10/13 1,540
425487 고등 아이 수학 인강 뭐가 좋을까요? 16 걱정맘 2014/10/13 2,294
425486 아기낳을때 가진통과 진진통 구별이 되는지요?? 8 39주 2014/10/13 3,416
425485 이별후 술에 의지하게 되는데... 다들 그런가요? 10 아효 2014/10/13 3,142
425484 악연인 집이 있나요? 4 ㅇㅇ 2014/10/13 1,613
425483 아파트 중도금대출중 카드론 낙옆 2014/10/13 768
425482 치아갯수 24개 정상인건가요? 8 치아 2014/10/13 10,340
425481 슬림한 몸매와 볼륨있는 몸매. 12 ... 2014/10/13 4,112
425480 전세세입자인데 계약서를 잃어버렸어요 1 전세세입자 2014/10/13 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