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번엔 어떤 명절이 될지 궁금....

새댁 조회수 : 1,525
작성일 : 2014-09-03 16:59:46

저는 이번이 결혼하고 나서 세 번째 맞이하는 명절이에요.

 

첫 번째 명절은 추석이었어요.

양가 부모님들 차로 30분 거리 이내에 사시는데다, 차례도 안 지내고

'원래 부모님은 명절 대목에는 장사하시느라 음식준비 안하는데?'하는 남편의 말만 철썩같이 믿었어요.

평생 음식할 줄 모르던 제가 딴 건 못해도 약식 정도는 할 수 있을 거 같길래

명절 전날 오전에 약식을 시작했으나 약간의 시간조절 실패로 시댁에 도착한 건 오후 3시쯤...

어차피 음식 별거 안한다고 하셔서 편할대로 하라고 하셨었는데

시어머니 생각하시기엔 너무 늦은 시간이었던거죠-_-;;

제가 만들어 온건 거들떠도 안 보시고 짜증을 막 내셔서 바로 저는 부랴부랴 전을 굽기 시작했어요.

남편은 전 몇 개 굽더니 텔레비젼 앞에 가서 빈둥거리고...

 

저는 원래 결혼하기 전에는 명절 연휴 끼워서 늦은 여름휴가를 가곤 했었는데,

(저희 집은 차례나 제사는 지내지 않았어요.)

결혼을 하고 나서 처음으로 유부녀의 현실을 자각;;;

원래는 안하던 음식을 산더미 같이 하시고, 그것도 또 저만 시키고... 

밥 한 번 먹을 때마다 국그릇, 밥그릇, 반찬그릇 하여간 오만가지 식기 총출동 한거 설거지 하고

차로 2시간은 가야 하는 시외가댁 투어까지 한 다음에

연휴 마지막날에는 친청 갔다오는 길에 다시 들러서 시누이 부부 왔다고 밥 한 번 더 먹고...

 

하여간 그렇게 뭐가 뭔지 모르겠는 명절을 보내고 두 번째 명절인 구정을 맞이하기 며칠 전,

솔직히 남편한테 첫 번째 명절처럼 못 하겠다고 했어요.

왜 갑자기 안하던 것들을 결혼해서 하냐고, 원래 명절 그렇게 지내시던 분들 아니니

냉동실에서 굴러다닐 음식 만드느라 힘빼는 대신 좀 합리적으로 쉬면서 보내고 싶다고요. 

이에 남편도 적극 찬성했으나 남편을 통한 시댁과의 커뮤니케이션 실패...ㅡㅡ

 

저 아침 출근길에 시어머니 전화오셔서 별별 얘길 다 들었어요.

하지만 결국 굳은 심지로 설날 당일 아침 찾아뵙고 아침 먹고 치우고 저희 부모님댁으로 출발.

저희 부모님댁에서 점심 겸 저녁 먹고 당일로 다시 집으로 돌아와서 충분히 쉬었고요.

저 없었는데도 구색맞춘 음식이 조금씩 있는 걸 보니, 불고기만 재워서 하시고 전은 구입하셨던 듯...

 

이제 곧 세 번째 명절인 추석인데요, 일단 봉투에 용돈 좀 준비했고,

평소에 갖고 싶으시다던 효도라디오에 노래 꽉꽉 채워넣어서 선물해드리려고요.

그리고 전날 저녁에는 전골 해먹으려 하는데 괜찮으세요? 문자 보내놨고

추석 당일 아침에는 조조로 영화 보려고 계획했어요.

그리고 나서 아점 먹고 저희 부모님 댁으로 가는걸로.

 

원래 명절에 해왔던 가풍이 있었다면 차라리 저도 그러려니 적응했겠는데 그것도 아니고

사실 시어머님도 명절음식 하는거 좋고 신나서만 하시는 것도 아니란 걸 알거든요.

남편네 집 분위기가 허례허식 없고 소탈한 분들이라 결혼을 결심했던 이유도 있고요.

 

하여간 이번 명절에도 실험적인 시도는 계속 됩니다..

이러다가 보면 언젠가 명절이 괴롭지 않은 날도 오겠죠..?

 

 

 

IP : 211.109.xxx.97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9.3 5:55 PM (175.223.xxx.236)

    다같이 즐거운 명절,
    시댁부터 먼저가는게 당연한게 아닌 명절,
    설은 친정, 추석은 시댁 한번씩 가는 명절,
    쓸데없는 음식들로 스트레스주지 않는 명절
    전주에 식사같이하고, 당일엔 연휴처럼 여행가거나 쉬는 명절

    님같은 분들이 하나둘씩 모여
    모두가 자유롭고 즐거운 명절문화가 되겠죠...

  • 2. 제제
    '14.9.3 6:26 PM (119.71.xxx.20)

    아~부러워요.
    새사람 들어와 새로운 분위기 당당하게 만들고 이해해주시는 시부모와 남편..
    그리고 그 여유까지..
    윗님말처럼 모두가 즐거운 명절이면 얼마나 좋을까!!!

  • 3.
    '14.9.3 6:39 PM (175.223.xxx.124)

    용돈 안바라는 명절도요..

    우리나라는 너무 어린이랑 노인들을 과하게 떠받드는 경향이 있어요
    날까지 지정해놓고 억지로 놀아주고 효도하게 만들고

    평상시 잘지내면 따로 저런 날들 만들 필요가 있을까요..
    국가에서 지정해서 강요하는 날들 다 없어졌으면..

  • 4. 그게
    '14.9.3 7:05 PM (115.140.xxx.74)

    며느리들어오면
    없던 가풍도 생긴답니다 ㅋ

    우리가문의 위신이 있지 ㅋ

    몇번하다보면 시부모님도 지칠거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5126 "김현을 범죄자 취급한 표창원, 옳지 않다" 10 샬랄라 2014/10/07 1,255
425125 방문 뒤에 거는 행거 중 문에 손상안가는 것도 있나요? ... 2014/10/07 643
425124 지금 핸드폰 바꾸면 많이 손해일까요? 1 yolo 2014/10/07 1,504
425123 초록수세미로 유리창을 문질러서 아주 넓은 면적으로 기스가 났어요.. 16 금둥이 2014/10/07 6,899
425122 술만 끊어도 살빠지나요? 5 2014/10/07 3,177
425121 82쿡 운영자들 로그인 못잡는거 보니... 12 무능력한듯 2014/10/07 1,312
425120 신입사원 아들이 회식서 너무많이마셔서 정신을잃었는데ᆢ 37 다다미 2014/10/07 15,503
425119 2014년 10월 7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4/10/07 797
425118 날씨 추워지는데 올해는 무슨 겨울옷이 유행할까요? 1 궁금 2014/10/07 2,012
425117 요미우리, 韓 인권과 언론자유 규제 우려 홍길순네 2014/10/07 538
425116 인터넷 사진 저작권 잘 아시는 분.. 2 저작권 2014/10/07 1,254
425115 한세영양 생존 사일간.. 33 디옴. 2014/10/07 12,200
425114 정보기관을 잘 하려면 홈랜드 2014/10/07 463
425113 2014년 중앙일보 대학평가라네요. 17 문배동마미 2014/10/07 3,592
425112 앞동 할머니 오지랖에 영혼까지 털릴뻔... 25 아짜증 2014/10/07 11,700
425111 수원에 청담 고센같은 수원 2014/10/07 1,034
425110 모던패밀리 시즌6 2화 1 # 2014/10/07 2,741
425109 이제야 자는 중학생... 3 쩝... 2014/10/07 1,630
425108 성남 모란시장 개고기 안보고 이용할수있나요? 3 ... 2014/10/07 1,976
425107 70대 후반 노인네가 국회의장이었어요????????? 6 박희태 영감.. 2014/10/07 1,579
425106 오늘 저녁 출산한 친구 내일 문안가도 될까요? 9 하늘 2014/10/07 1,468
425105 아진짜 지겨워서 6 stop 2014/10/07 2,564
425104 거실에 커텐과 블라인드 동시에 달고 싶어요. 5 ^^ 2014/10/07 6,842
425103 잠안올때 기도문? 3 82쿡스 2014/10/07 1,622
425102 서울대 전과에 관해.. 12 조언 구함 2014/10/06 5,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