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추석을 앞두고 시어머니께 최후통첩을 받았네요.

맏며느리 조회수 : 18,928
작성일 : 2014-08-17 23:03:11

결혼하면서 시부모님과 같이 살았어요.

물론 맞벌이도 했지만 더 큰 이유는 따로 집을 얻어줄 돈이 없어서 같이 살게 되었지요.

그렇게 7년을 살다가 제가 직장을 그만두면서 분가를 하게 되었습니다.

저희시댁은 장남이 아니라 제사도 없고 큰집이 시골이라 그냥 우리들끼리 명절에 음식 만들어

같이 모여 밥 먹고 놀다가 헤어집니다.

그래서 그동안 맏며느리로써 의무감도 별로 없고 편하게 살았는데 올해부터는 시어머니께서

몸이 안 좋아 앞으로 명절에 우리집에서 하라고 하네요.

저희 시댁은 3형제에요.

언젠가는 내가 해야 한다는 생각은 가지고 있었지만 올해부터 당장 그렇게 하라고 하니

당황스럽기도 하고 어떻게 해야 하나 앞이 캄캄하네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회피하거나(회피할 수도 없지만) 싫은 건 아니에요.

그냥 너무 갑작스럽고 준비가 안된 상태에서 그런 말씀을 하시니 당황스럽네요.

IP : 116.126.xxx.80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8.17 11:05 PM (1.233.xxx.128)

    그냥 지금껏 하던 대로 하시되
    장소 제공만 님의 집으로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안 되나요?

  • 2. 바람소리
    '14.8.17 11:06 PM (175.223.xxx.192)

    생각보다 훨씬 좋아요.
    시어머니 주도하에 시키는 일 눈치보면서 하는 것보다
    내집에서 내가 하고 싶은대로 하는거 좋아요.

    동서들한테 한 두 가지씩 맡기고요..

  • 3. ㅇㄹ
    '14.8.17 11:06 PM (211.237.xxx.35)

    하겠다는 마음이시라면 그동안 시집에서 원글님네끼리? 모여서 음식만들어 같이 먹고 헤어지던 그걸
    원글님네에서 하시면 되죠.
    제사 없으니 음식만 해서 명절 당일 아침식사만 드시면 될듯..
    전날 말고 그냥 명절 당일에 오라고 하세요.
    점심땐 친정가시면 되고요.

  • 4. ..
    '14.8.17 11:10 PM (110.14.xxx.128)

    제사 없는 집이니 제사 스트레스는 없을테고요,
    동서들에게 전화해서 올해부터는 이렇게 되었다 설명 하시고
    해 올 음식(만들어 오든 사오든) 숙제 내주어
    포트럭 식으로 음식 모아 드시고 놀다 헤어져야죠.
    그렇게해도 님이 제일 힘들것은 말할거 없지요.

  • 5.
    '14.8.17 11:10 PM (221.146.xxx.234)

    아침먹고 다들 각자 집으로 가시면 다행이지만 아닌 경우 님은 친정 못가시겠네요. 이부분 다시 확인해 보세요.

  • 6. ㅇㅇ
    '14.8.17 11:13 PM (182.226.xxx.38)

    형제들 뿐이면 어차피 동서들도 친정 가느라 일찍 일어날거에요
    시누가 있다면 모임의 시간이 너무 늘어지지 않게 조절해야하고요

    제 친정은 울 엄마가 맏며느리신데
    할머니와 고모들은 다 멀리(그들끼리는 같은도시) 살아요
    명절 차례는 할머니, 작은어머님이 우리집에 오고.
    차례 지내자마자 작은 어머니는 친정으로
    할머니는 할머니집으로 가시고
    시누인 고모들은 할머니 댁에 모이는거로 알아요

    혹시 시누가 있다면 이 방식도 고민해보시고요

  • 7. 좋게 생각하세요
    '14.8.17 11:14 PM (116.32.xxx.185)

    어쩜 더 편할 수도 있어요.
    저희 집도 삼형젠데요. 각자 나눠서 음식해와서 먹고 놀다 헤어져요.
    제사 음식 아닌 걸로 편하게 준비해요.
    님네 가족도 그렇게 하심 좋을거 같아요

  • 8.
    '14.8.17 11:19 PM (175.223.xxx.40)

    동서들은 점심전에 일어날걸요ᆢ
    근데 시어머님은 모르겠네요
    음식은 나눠서 해서 당일 가져오는 게 젤 편하구요
    저희집은
    명절 아침 먹고 다들 가구 쓸고 닦고 제 볼 일 보는데
    점심까지 해야 하면 싫을 듯요

  • 9. 시부모님만
    '14.8.17 11:25 PM (115.143.xxx.72)

    그전날 모셔오고
    아래동생들은 명절당일 음식해서 일찍오라해서 밥먹고 놀다 헤어지면 되겠네요.
    처음부터 잘 하시길
    마냥 늘어지지 않게

  • 10. 맏며느리
    '14.8.17 11:30 PM (116.126.xxx.80)

    여러 댓글 감사합니다.
    그릇도 많이 없어서 새로 사야하나 걱정이고 이러다 몇년안에 제사도 지내야 할 것
    같아 그것도 걱정이고 여러가지로 걱정이 많은 밤이네요.

  • 11. ....
    '14.8.17 11:39 PM (118.221.xxx.62)

    제사도 아니고 모여 먹고 노는건데...
    시어머니도 귀찮은가봐요
    음식 한두가지씩 해서 그날 모이자고 하세요
    잠은 안자고요

  • 12.
    '14.8.17 11:43 PM (175.223.xxx.40)

    밥그릇 국그릇 몇개 사시구요
    제사 별거아닙니다ᆢ생선찌고 나물하고 전부치고 탕국 끓이고 낚지볶고 닭이랑 돼지고기 삶고 나머진 과일 유과 등
    사서 놓고ᆢ제가 부엌살림 싫어해서 밥도 한끼만 하는데
    제사음식은 혼자도 금방해요ᆢ나물이랑 전은 동서들한테
    가져오라하시구요ᆢ나중일이니까 나중에 생각하세요

  • 13. .....
    '14.8.18 12:19 AM (180.228.xxx.26)

    음식을 어떻게 준비하냐를 떠나서
    집을 제공한다는거 자체가 부담아닌가요?
    손님 오기 전부터 집안청소해야지 그릇꺼내놔야지 ....손님치루기전 준비라는게있어요
    그리고 명절끝나고 다른 며느리들이 일찍일어난다고 해도
    원글님은 그때부터 집안정리 청소 시작이죠
    언제 친정을 가나요 그냥 하루노는건데 집제공만 한다고 생각하면 안되시냐는 분들,...
    자기네 집에서 그리하자고 하면 쉽사리 오케이 하실지 궁금하네요
    그냥 어머님네 집에서 하는게 제일 좋을 거 같은데,,,
    원글님 마음이 무거우실꺼 충분이 이해됩니다

  • 14. 윗님 의견에 동의
    '14.8.18 12:39 AM (180.228.xxx.26)

    돌아가면서 모이는게 좋겠네요
    형제들이 각자 어떻게 사는지 둘러보기도 할 겸
    부담도 덜고 공평하게요

  • 15. @@
    '14.8.18 1:02 AM (221.148.xxx.115)

    그렇게 형제들 집으로 돌다가 완젼 돌아버림....

  • 16. 3형제면
    '14.8.18 3:04 AM (84.133.xxx.96)

    설은 장남 추석은 둘째 부모님 생신은 막내 이렇게 분업하세요.

  • 17. ㅇㅇㅇ
    '14.8.18 10:23 AM (203.251.xxx.119)

    차라리 그게 낫죠.
    님 집에서 하면 님이 알아서 가짓수도 좀 줄이고 간단하게 하세요

  • 18. 오ㅗㅗ
    '14.8.18 10:48 AM (211.199.xxx.4)

    그렇다면 님께서도 처음이니 동서들에게 최후통첩을 하세요.
    무엇무엇은 큰동서가 맡고
    무엇은 둘째가 맡고요.
    시간도 엄수히 지켜서 도와달라고요.

    이왕 맏이어서 책임을 다해야 된다면 님은 형제들이 고루 제사에
    참여하도록 분배를 정확하고 깔끔하게 하시는 게 좋을것 같아요.
    혼자 다 하시려면 힘들기도 하고요.

  • 19. Vb
    '14.8.18 11:13 AM (116.127.xxx.188)

    제사 별거아닙니다ᆢ생선찌고 나물하고 전부치고 탕국 끓이고 낚지볶고 닭이랑 돼지고기 삶고 나머진 과일 유과 ㅡㅡㅡㅡㅡ

    이런 눈치더럽게없는여편네. .

  • 20. 돌돌엄마
    '14.8.18 11:29 AM (203.226.xxx.48)

    윗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21. .....
    '14.8.18 12:23 PM (121.136.xxx.27)

    제목에 최후통첩이라고 해서 무슨 어마무시한 일이 있는 줄 알았는데...

    제 친구는 시부모님 다 생존해 계시고..독실한 기독교집안이라 추도식만 하는데요.
    큰 며느리가 돌아가면서 하자고 하더래요.
    시아버님,시어머님 생신, 명절...너 한 번 나 한 번 하는 식으로 아들이 둘이니 돌아가면서 한대요.
    시부모님은 따로 사시는데 큰 아들네 한 번 작은 아들네 한 번 ..그런 식으로 오시고요.
    그것도 괜찮지 않나요.
    제사는 이집 저집 다니는 게 아니니 그러면 안되지만...성경책 한 권 들고 예배보고 밥먹는 건데요.
    삼형제니 돌아가면서 하자고 하세요.
    이번 추석때 상 차리시고 먹으면서 다른 집들은 돌아가면서 모이더라...집에도 서로 가 보고 좋지 않냐고..
    미리 남편에게도 협조와 응원을 구해 놓으시고요.
    혼자 음식하면 힘드니 나눠서 해서 가자고요.
    다들 모인데서 말하면 며느리들이 대놓고 싫다 소리 못하지요.

  • 22. 그냥 받아들이세요
    '14.8.18 12:28 PM (125.178.xxx.133)

    제사를 안지내니 동서들에게 각자 음식 해오라고 하세요.
    고기, 과일 나눠서 하시고 나머진 집주인이 하면 되지요
    힘들거 없어요.
    그래봐야 한두끼 먹고 헤어질건데 맏며느리다 생각하고 하세요.
    그리고 그릇은 홈플러스나 이마트 자연주의에 가시면 저렴한 백자 많아요.
    저도 맏며늘인데 동서랑 음식 나눠서 하구요..시누이들도 뭔가를 해오긴 하지요.,나물이라던가..

    일년에 두번이니 크게 마음 먹고 하세요..다 내 아이들을 위해 덕쌓는다 생각하시고.

  • 23. 나무
    '14.8.18 12:42 PM (121.169.xxx.139)

    집 청소하는 거,
    그릇 식기 준비하는 거(이건 한 두 번으로 해결될 듯)
    김치류 미리 준비하는 거
    전날 온다면
    이불 베개 준비하는 거(이건 처음에 마련하는 것보다
    평소 계속 갖고 있어야 되는 게 짜증날 듯)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 손님 특히 시부모가 언제 집으로 가시느냐...
    시누이들까지 맞이해야 된다면?

    그건 정말 싫을 듯.

  • 24. 몇번 해보다 보면
    '14.8.18 1:16 PM (220.76.xxx.62)

    스스로 대견해할 정도로 상차림에 익숙해져서
    내 인생에 플러스가 될거에요.
    아이들에게도 산교육이 되구요.
    당장은 걱정이 되겠지만 해보면 별거 없어요.
    동서들에게 한두가지씩 나누어 해오라고 맏겨 보시구요.

  • 25. ,,,
    '14.8.18 9:38 PM (116.34.xxx.6)

    청소 해 놓으시고
    국 밥 과일 고기 밑반찬 두세개만 준비하시고
    전이나 잡채등 요리 한 두가지는 형제들한테
    해오라고 해서 나누어 먹음 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6546 너무 매운 고추간장절임 1 ... 2014/09/13 1,201
416545 30-40대 여성복 사이즈는 제각각인가요?.. 1 cozy12.. 2014/09/13 1,126
416544 대전에서 춘천가는 버스나 기차가 있는지요? 4 ... 2014/09/13 2,529
416543 대하가 풍년이래요 7 ^^ 2014/09/13 3,469
416542 질긴 등심 스테이크용 고기 어떻게 처리할까요? 9 질기다 2014/09/13 3,683
416541 사회생활하면서 더 배운게 1 오래 2014/09/13 1,286
416540 日의 두 얼굴, 시오노 나나미의 위안부 망언과 혐한 반대 운동 4 샬랄라 2014/09/13 1,318
416539 식품건조기 쓰시는분?? 찐빵하나 2014/09/13 559
416538 암극복에 좋은 음식 추천 23 암환자가족 2014/09/13 4,112
416537 찢어진 청바지가 자꾸 더 찢어져요. 8 바지 2014/09/13 3,873
416536 이병헌은 어떻게 될까요? 12 ??? 2014/09/13 6,796
416535 오늘도 또 올리네요 운전연수 세째날 ~~ 3 두근 두근 2014/09/13 1,705
416534 김치 냉장고에 과일 야채 보관할 때 질문 있어요. 3 사용법 2014/09/13 1,304
416533 외국친구 한국에 2주정도 초대하려고 하는데 뭐하면 좋을까요. 7 외국친구 2014/09/13 948
416532 세월호 유족 앞에서…이번엔 ‘초코바’ 조롱 9 샬랄라 2014/09/13 1,616
416531 제2외국어 선택 2014/09/13 598
416530 천만원 모았는데 어떻게 관리해야할까요 2 손님 2014/09/13 2,555
416529 잠꼬대 하는 동물들.swf 2 .. 2014/09/13 1,197
416528 설거지가 힘드세요, 요리가 힘드세요? 16 새댁 2014/09/13 2,772
416527 물걸레청소기 아너스와 오토비스 머가나을까요 6 2014/09/13 7,986
416526 꽃보다 청춘 유연석... 참 호감가는 배우네요 4 ㅎㅎ 2014/09/13 4,043
416525 남편과 말 안하기 5 ㅇㅇ 2014/09/13 2,172
416524 흉기차 독과점 내수용 수출용 적나라한 비교 1 일제앞잡이나.. 2014/09/13 873
416523 일본산 멸치를 국내산으로 `박스갈이 3 2014/09/13 1,439
416522 배가 어느정도 부르면 음식맛이 잘 안 느껴지는 분 있으세요? 2 궁금 2014/09/13 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