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영화 , 천만 넘을 듯해요

초등맘 조회수 : 1,416
작성일 : 2014-08-06 16:06:19

명량, 아침에 봤는데...

사람들이 후덜덜. 천만, 아니 최고 기록되는게 아닐지...

연령층도 너무 다양하더라구요.

 

영화보고 난 후 검색하다가 우연히 이순신 장군에 대한 칼럼을 봤는데...

아주 좋은 칼럼이더군요.

알고보니 민주당 국회의원이던데...

이 사람, 원래 이렇게 글을 잘 쓰나요? 많은 생각이 들더군요...

 

‘원균의 운주당’과 ‘이순신의 운주당’2014.08.06  (수) |
크게보기
 
  

‘명량’이라는 영화가 인기다. 정치사회적으로 우리 시대의 리더라는 사람들이 국민들의 마음에 희망이 아니라 많은 그늘을 드리우게 하다 보니 다시금 이순신과 같은 영웅이 떠오르는 게 아닌가 싶어 정치하는 사람으로서 마음속으로 죄스럽다.

명량해전은 이순신 장군의 3대 해첩 중 김훈 소설가의 ‘칼의 노래’에서 나왔던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있사옵니다”로 유명한 해전이다. 원균이 이끈 칠천량 해전으로 조선 수군이 전멸하자, 선조는 백의종군한 이순신을 수군통제사로 다시 임명한다. 조선 수군에는 고작 12척의 판옥선이 남아 있었다. 그런 사정을 알고 있는 선조는 수군을 파하고 육전에 힘쓰라 권고하지만, 이순신은 필사즉생, 즉 ‘나아가 죽기로 싸운다면 해볼 만하옵니다’라는 답변을 올린다. 그리고 결과는 300척을 동원한 일본 수군에 대항한 12척 조선 수군의 승리였다. 아니 이순신의 승리였다.

이 기적 같은 승리를 가져 온 이순신의 능력은 대체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300척과 12척이라는 비교는 단순히 숫자의 격차를 뛰어넘는다. 그 차이에는 절망과 공포, 두려움 그리고 승패에 대한 결말도 다 내재되어 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순신의 수군은 일본 수군을 대파했다. 이길 수 없는 전쟁을 이긴 것이다.

이순신의 리더십을 고민하면서 내가 주목하는 것은 ‘운주당’이었다. 운주당은 그의 집무실이자, 회의실이었다. 하지만 운주당은 그만의 공간이 아니었다. 한 편으로 그곳은 휴게공간이었다. 부하들과 늘 바둑도 두고 술도 마셨다. 군사전략을 논했고, 조선 수군을 이야기했으며, 군부대가 어떻게 돌아가고 백성들의 삶이 어떤지를 온몸으로 들었다. 딱딱하고 격식이 차려진 회의가 아니라 자유롭게 바둑도 두고, 술도 마시면서 부하들의 고충과 아이디어를 가감없이 들으면서 조선 수군의 앞날과 백성들의 생활을 걱정했던 것이다. 운주당은 그래서 항상 열려 있었고, 일반 병사들도 찾아올 수 있는 개방된 공간이었다. 즉 이 운주당이 바로 이순신의 리더십이었던 것이다.

이는 원균이 이순신이 삭탈관직 당하고 백의종군 후 운주당을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보면 더욱 잘 알 수 있다. 원균은 무엇보다 운주당을 부하들에게 폐쇄했다. 자신의 첩을 데려와 살았고, 부하들을 멀리했다. 술자리는 첩하고만 나누었고, 군사전략은커녕 부하들이 찾아오지 못하게 했다. 그 결과 그는 군사정보에 어두웠고, 군사전략은 병사들에게 전파되지 않았으며, 부하들이 칠천량 수전은 불가하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왕과 대신들이 무서워 조선 수군을 전부 이끌고 바다도 나아갔다. 그리고 결과는 알다시피 조선 수군의 전멸이었다.

운주당은 어쩌면 지금 우리 사회와 정치가 나가야 할 방향과 같다. 우리 정치도 항상 혁신과 미래를 이야기한다. 하지만 그들이 말하는 혁신은 국민들의 눈으로 볼 때 형식적인 이벤트에 불과하다. 변화와 진심을 이야기하지만 행태는 ‘원균의 운주당’과 가깝다. 이제 거짓 주인을 바꾸고 다시 운주당을 제자리로 돌릴 때다. 스스로 갇혀있지 않고 국민들 속으로 들어가 마음도 나누고, 온몸으로 듣는 것. 우리 정치에 ‘이순신의 운주당’을 기대해본다.

이종걸 국회의원

ⓒ 중부일보(http://www.joongbo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IP : 211.178.xxx.87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프린세스맘
    '14.8.6 4:47 PM (218.156.xxx.218)

    글쓴 이의 올곧음과 국민에 대한 애정이 드러나는 글, 잘 읽었습니다.

  • 2. 1234
    '14.8.6 6:14 PM (183.105.xxx.126)

    이종걸 의원이 독립운동가 우당 이회영 선생의 손자분 맞으시죠?

    저도 어제 명량을 봤는데... 우리가 흔하게 자주 듣던 그 흔한 이름.. 이순신, 이순신..
    그 이름이 정말 거대하게 다가오더군요. 우리 선조에 이런 분이 있다는게.. 정말.. 가슴 벅찼어요. 세계 어디에 내놔도 자랑스러운 영웅인것 같아요. 서양의 유명한 나폴레옹..? 그 이름에 뒤질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우리 자랑스러운 조상님에 대한 존경심이 마구마구 솟더라고요.

  • 3. Oldmadam
    '14.8.6 7:13 PM (222.64.xxx.169)

    이순신=노무현 .. 너무했나요 ? ㅎㅎ
    제가 젤 좋아하는 역사속 2분 임다~~
    댓글에 살짝 사랑에 맘 올립니다 혹여 언짢으실분들 염려돼서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9692 8월중순‥왜 이러는 건지 ?? 29 대박 2014/08/18 14,814
409691 꼬리뼈가 아파 앉아있는게 고통스럽네요 2 2014/08/18 1,663
409690 바티칸라디오, 교황의 유가족에 대한 사랑 계속 9 jeunes.. 2014/08/18 2,095
409689 17분 완성 애호박전 레시피 12 Sop 2014/08/18 3,845
409688 제주 물가... 왜이렇게 비싼가요? 13 ㅁㅁ 2014/08/18 5,667
409687 탈모에 어울리는 머리스타일은? 4 끝없는길 2014/08/18 2,556
409686 머리상처 수술 후 머리감기 어떻게 하나요? 4 머리감기 2014/08/18 13,554
409685 통영의 맛집 좀 추천해 주세요 12 ... 2014/08/18 3,050
409684 밤이라 솔직하게 말하면 키즈/노키즈도 비싼데 가면 좀 괜춘하던데.. 12 극도솔직 2014/08/18 3,474
409683 스트라이프 티셔츠 봐 주실분~~! 7 .. 2014/08/18 1,176
409682 머리카락이 푸석푸석한데 윤기나게 할 수 있을까요? 15 나븝 2014/08/18 9,915
409681 사주가 아주 잘 맞아 도움 되신 분? 8 사주 2014/08/18 3,599
409680 뱃속에서 아이가 잘못 생겨서 그게 암?으로 될 수도 있는건가요?.. 8 궁금 2014/08/18 3,320
409679 장보리 일요일(38회) 즐거리 좀..ㅠㅠ 3 zzz 2014/08/18 2,620
409678 닥정부는 유민이 아버지가 죽기를 바라는 걸까요? 10 ㅇㅇ 2014/08/18 2,179
409677 남경필, 아들 폭행·성추행 알고도? [중앙] 칼럼 논란...사.. 3 샬랄라 2014/08/18 1,917
409676 박력분 밀가루가 많은데요. 5 2014/08/18 3,375
409675 기분나쁜 서프라이즈 5 2014/08/18 3,670
409674 이것 보시고 주무세요 4 췌장암등 2014/08/18 1,868
409673 더 늦기전에 배낭여행 11 42세 2014/08/18 2,698
409672 노키즈존앱 같은 것은 없나요 3 2014/08/18 1,434
409671 퀸 요리가능한 냄비 2 스뎅 2014/08/18 1,493
409670 두부찌개 맛있게 끓이는 비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1 ... 2014/08/18 6,932
409669 "왼쪽이 큰 녀석 것" 가혹행위 가해자 남경필.. 3 ... 2014/08/18 5,178
409668 점집에서 주는 팥은 어떤 의미인가요? 1 주영 2014/08/18 1,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