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강의 옛 이름 찾기(무형 문화유산 복원)

꺾은붓 조회수 : 1,114
작성일 : 2014-08-06 04:21:26
 

                한강의 옛 이름 되찾기(무형 문화유산 복원)


  한강!

  백두대간의 금강산 남서편 계곡을 따라 흐르는 수많은 지천이 강원도북단을 동/서로 가르며 흘러 화천댐과 춘천댐을 지나며 북한강본류가 되고, 백두대간의 설악산 남서편 계곡과 수많은 백두대간의 봉우리 서편계곡 물이 합수하여 흐르는 물이 소양강이 되어 인제와 소양댐을 지나 춘천의 공지호에서 북한강 본류와 만나 하나의 북한강이 된다.

  또 하나는 백두대간의 태백산 소백산의 서편 계곡을 따라 흐르는 물이 모여 남한강을 이뤄 이 물이 충청북도 충주의 충주댐과 충주조정지 댐에 잠시 머물러 있다 흘러내려 경기도 여주를 지나 양수리 두 물 머리에서 남/북한강이 합수하여 한강이 되고, 한강이 팔당댐을 지나 남북양안으로부터 흘러드는 지천 물을 받아들이며 서울을 남/북으로 가르고 김포반도와 북한 땅을 가르고 강화도 북쪽 머리의 서해로 흘러드는 전체의 강을 “한강”이라 한다.

  한강은 남한의 대표적인 강으로 남한에서는 가장 크고 가장 아름다운 강이다.

  한강이 있음으로서 서울이 있을 수 있고, 서울이 있어 대한민국이 존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강 양편에는 한강물을 젖줄삼아 사는 마을과 부락이 수도 없이 많으며 이들은 “한강”을 “한강”이라 부르지 않고 그 마을 사람들만이 부르는 다른 이름이 꼭 있었다.

  한강의 다른 이름이 없다 해도 그들은 “한강”을 “한강”이라 부르지 않고 그냥 “앞 강” 또는 “옆 강”이나 다른 이름의 “?강”으로 불렀던 것이다.


  충주사람들은 충주 앞을 흐르는 남한강을 “달래 강”으로 불렀고, 경기도 여주사람들은 신륵사 앞을 흐르는 남한강을 “여 강”으로 불렀고, 서울이 비대해지기 전에 청계천과 중랑천이 살곳이 다리에서 만나 한강으로 흘러드는 응봉과 건너편 압구정 사이를 흐르는 한강을 당시 왕십리 사람들은 “무수막강”으로 불렀고, 마포사람들은 마포 앞을 흐르는 한강을 “서강”으로 불렀다.

  강이 백리이면 사람이 모여 사는 마을마다 100개의 이름이 있었고, 강이 천리이고 마을이 천개이면 1,000개의 강 이름이 있었다.

  어떤 곳에서는 같은 강을 두고 강 양편 사람들이 그 강을 부르는 이름이 달랐던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 “한강”을 토막 쳐서 부르던 이름들은 전 국토가 도시화가 되고 인구가 늘어나고, 토착마을이 사라지면서 자연스럽게 하나 둘 소멸되어가고 있다.

  그 전설이 하도 유명하여 충주의 “달래 강”은 아직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고, 서강대학교와 서강대교가 있어 서울 한 복판을 흐르는 “서강”은 간신히 그 서강이라는 이름의 흔적이나마 남아있다.

  오늘날 청소년들은 “서강대학”이나 “서강대교”가 그 밑을 흐르는 강 이름이 “서강”이어서 그런 이름이 붙여진 것조차 아는 청소년은 드물 것이다.


  필자가 1950년대 말 ~ 1960년대 말 까지 왕십리에 살 때만 해도 왕십리 사람들은 절대로 “한강”이라 부르지 않고 “무수막강”으로 불렀다.

  온 나라가 가난했던 그 시절 지금의 성수동인 뚝섬은 채소밭만 있었고 뚝섬을 터전 삼아 거기에서 사는 사람은 드물었고 무수막강은 왕십리 사람들의 빨래터였고 여름철 물놀이 터였고 왕십리의 앞강 이었다.

  지금 청소년들은 물론 왕십리에 사는 사람들도 40대 이하에서는 뚝섬과 응봉 앞 강 이름이 “무수막강”이었던 것을 아는 사람이 거의 없을 것이다.

 이미 무수막강은 서울 사람들의 기억에서 지워진 강 이름이다.


  이 강 이름들을 그렇게 시나브로 소멸되게 놔두어도 되는 것인가?

  물론 경제적으로나 살아가는 데는 옛 강 이름이 사라진다고 해서 문제될 것은 전혀 없다.

  하지만 각각의 그 강 이름에는 애틋하고 가슴 아린 전설이 깃들어 있고, 조상님들의 시름과 애환이 배어 있고, 그 강을 젓줄삼아 살던 조상님들의 지혜가 깃들어 있고, 이게 모여 역사가 되었던 것이다.

  그 옛 강 이름들은 무형의 문화유산인 것이다.

  충주의 “달래 강”같이 유명세를 타지 않는 강 이름들은 지금 50대 이상의 장년층이 사라지면 그 강 이름도 영원히 소멸될 것이다.

  이것을 이대로 방치해도 괜찮은가?


  내 어렸을 때 왕십리 어르신들의 말씀을 들어보면 지금 응봉(산)의 동편기슭에는 옛날에 쇠를 녹여 무쇠 솥을 만드는 공장(주물공장)이 있었대서 그 강 이름을 “무수막강”으로 부른다고 했다.

  아마 응봉에 무쇠 솥을 만드는 공장을 그 당시에는 “공장”으로 부르지 않고 “무쇠 막”으로 불렀을 것이고 “무쇠 막”을 본 따 처음에는 “무쇠막강”으로 불렀을 것이나, 이것이 세월이 지나면서 솥 공장인 “무쇠 막”은 사라지고 시나브로 “무쇠막강”이 발음하기 쉬운 “무수막강”으로 변천되었을 것이다.

  서울 한 복판에 흐르는 조상님들이 부르시던 옛 강 이름을 복원하자는 것이다.

  

  서울 시내를 걷다보면 인도 한 편에 세워진 표지 석이 눈에 띤다.

  조선시대에 관공서가 있던 앞에는 그 자리에 옛날 무슨 관청이 있었다는 표지석이 있고, 역사적으로 기억할 만한 분이 탄생하셨거나 사셨던 자리에는 그런 것을 알리는 표지 석이 인도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유사한 것을 한강에도 하자는 것이다.


  한강 둔치에는 강 양편으로 자전거 길과 보행로가 잘 닦여져 있다.

  여기에 간단한 의자와 여름철에는 햇볕을 가릴 수 있는 그늘 막을 설치하여 간이 휴게소를 만들고 자전거를 타는 시민이나 산책 나온 시민들이 쉬면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그 앞에 사람 눈높이 정도 되는 옛 강 이름을 알리는 안내판을 설치하자는 것이다.

  시내 도로에는 교통의 방해나 시야 확보에 장애가 되어 낮게 표지 석을 설치했으나, 강 둔치에는 그런 제약이 없음으로 사람 눈높이 정도 되는 위치에 표지석보다 훨씬 넒은 스테인리스강판에 옛 강 이름과 그런 강 이름이 붙여지게 된 연유를 간략하게 설명하여 안내판을 설치하자는 것이다.

  입소문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옛 강 이름이 되살아 날 것이다.


  이것을 단순히 생각하면 옛 강 이름이나 알려주는 것으로 쉽게 생각할 수도 있으나. 좀 깊이 생각해 보면 조상님들께서 물려주신 귀중한 “무형문화유산”을 복원하는 사업이다.

  한강뿐 아니라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등 전국의 강에는 그런 아름다운 이름들이 무수히 많을 것이다.

  서울의 한강에 그렇게 하면 다른 강을 끼고 있는 전국의 지자체에서도 서울을 본 딸 것이다.


  크게 예산이 들어가는 사업도 아니고, 거대한 토목공사와 같이 면밀한 검토와 준비가 필요한 사업도 아니다.

  내 고장 문화유산을 아끼고 사랑하자는 지자체의 의지만 있으면 된다.

  다만 철저한 고증과 사료의 수집은 필수다.

  지금 5~60대 이상의 장년층이 사멸하면 그런 자료의 수집이나 고증도 힘들 것이다.

  더 늦기 전에 한 번 서울이 시범적으로 이 사업을 추진해 보는 것이 어떻겠는가? 제안을 한다.


  

IP : 119.149.xxx.5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99210 홈플러스랑 이마트중에서 어디가 더 저렴한것 같으세요.?? .... 12:49:32 18
    1599209 삶에 열정적인 마인드이신분이요 몸이 유연하신가요? ㅣㅣㅣ 12:48:10 48
    1599208 전세 산지 일년 지났는데 전세대출이 가능할까요. 2 .. 12:40:27 186
    1599207 제1 금융권도 분산예치 하시나요? 4 궁금자 12:39:32 113
    1599206 원단 좋은 온라인 쇼핑몰 전멸인가요 내츄럴 12:38:43 142
    1599205 주말동안 몸무게도 좀 늘었는데 빵을 사고싶어요 2 ... 12:38:26 157
    1599204 신세계 강남 푸드코트 없어졌나요? 3 ㅎㅎ 12:37:43 341
    1599203 마늘장아찌 담굴때 궁금해요 12:37:16 61
    1599202 AI 아나운서 보셨어요 5 .. 12:27:37 546
    1599201 민주당은 왜 자꾸 계층의 사다리를 끊어 놓을까요.. 29 ㅇㅇ 12:26:45 1,035
    1599200 보톡스… 쌍커풀이 가라 앉았어요 2 ㅁㅁㅁㅁㅁㅁ.. 12:25:05 377
    1599199 대중교통으로 갈수있는 아울렛이 있을까요.. 5 싱그러움 12:20:04 349
    1599198 상속-현금 받을때 5000이상은 상속세 언제까지 내야되는가요 7 상속 현금 12:17:21 655
    1599197 네이버 쿠키 구우시는 분 ... 12:17:00 164
    1599196 방탄소년단 RM, 두 번째 '빌보드 200' 톱5…솔로 2집 5.. 7 Rm 12:16:29 498
    1599195 마리오네트주름 시술 뭐하나요 2 확 노화 12:16:16 388
    1599194 원주에서 강남까지 2 .... 12:15:00 245
    1599193 "20대 가구가 저축으로 서울 아파트 사려면 86.4년.. 2 ... 12:14:59 286
    1599192 70대 면세선물 뭐가 좋죠 4 Ss 12:11:43 265
    1599191 예쁜 아이들 5 .. 12:08:16 453
    1599190 경산시립합창단 김효종테너 출연 무료 티켓 선착순 오픈했어요. 티.. 2 오페라덕후 12:04:19 268
    1599189 intp 60대 이상은 어떻게 사시나요? 8 .... 12:03:54 789
    1599188 압력밥솥으로 삼계탕하는게 위험한가요? 21 풍년 12:02:55 1,005
    1599187 하루에 2만원을 목표로 하고 장을 봐요 20 .. 11:59:07 1,263
    1599186 드라마 크래시 보시는 분 계시나요? 지난 회 차 사고 장면 4 크래시 11:58:26 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