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주방구조를 추성훈네 집 처럼 할수 없나요?

사랑이 조회수 : 6,502
작성일 : 2014-07-31 11:04:25

싱크대 있는쪽을 밖으로 보게 하고싶은데요..

보통 우리나라 주방구조는 뒤를 돌아보면서 설겆이나 음식을 하는구조인데

설거지나 음식손질 또는 가스요리를 밖으로 보게 주방구조를 바꿀수 있는지요??/

예를들면 이런집 처럼요...

http://blog.naver.com/tthae/90187984472

http://blog.naver.com/flower2nd/60120521128  

http://blog.naver.com/luke73/100128028934

이렇게 주방을 오픈형으로 하면

설거지 할때나 요리할때 애들이 뭘하는지 볼수있고 시야가 답답하지 않을것같거든요...

우리나라 보통집의 일자형주방이 많은데 이렇게 바꿀수가 있는지요?

IP : 211.192.xxx.191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대공사
    '14.7.31 11:06 AM (61.102.xxx.34)

    공사 하시면 가능 한데요.
    문제는 바닥까지 다 까내고 배관까지 다시 심어야 가능 해요.
    그래서 물쓰는 개수대부분을 옮기는것보다는 가스렌지부분을 옮기는게 더 수월 하긴 한데요.
    이 경우에도 윗부분에 후드를 옮겨야 하기 때문에 이 배관때문에 또 천정을 뜯어 공사 해야 할수도 있어요.
    말하자면 돈과 시간과 정성만 있다면 가능 하긴 해요.

    저도 일본식 주방구조가 마음에 들던데 알아보니 공사가 너무 커지고 견적도 많이 나와서 포기 했어요.ㅠ.ㅠ

  • 2. 그거야
    '14.7.31 11:06 AM (221.143.xxx.203) - 삭제된댓글

    돈만있으면 가능한일 아닌가요.

  • 3. ...
    '14.7.31 11:08 AM (121.160.xxx.196)

    오래전에 일산에 큰 주상복합 갔더니 그렇더라구요.
    요즘 주방에 아이랜드 놓으면서 전기렌지 1구, 싱크볼 작은거 등등 하더라구요.

  • 4. mm
    '14.7.31 11:10 AM (59.10.xxx.65)

    돈과 시간만 있다면 뭔들 못하겠어요

  • 5. 사랑이
    '14.7.31 11:12 AM (211.192.xxx.191)

    아.. 공사가 보통공사가 아니였군요...ㅠㅠ
    요새 짓는집들 이렇게 주방구조를 하면 더 실용적이고 좋을것같은데 기본적으로 다들 일자형이라서 아쉽긴 하네요...ㅠㅠ

  • 6. 이런 집은 보통 커야죠
    '14.7.31 11:18 AM (117.52.xxx.130)

    작으면 ㄷ자형태가 안나오자나요. 주방이 가로세로 면적을 일정량 차지하기때문에 배치도면에서 비효율적이고. 벽에 좌르륵 붙여놓으면 나머지공간은 사용할수 있는공간이자나요.

  • 7. 00
    '14.7.31 11:26 AM (183.101.xxx.24)

    요즘 새로 지은 아파트 중에 개수대가 거실쪽 바라보는 곳 있으니 이사가 더 나을 것 같아요...

  • 8. ...
    '14.7.31 11:31 AM (203.234.xxx.205)

    저희집이 세번째 블로그 주방과 거의 똑같은데
    완전 오픈형이라 주방이 항상 깨끗해야 합니다.
    냄비하나만 올라와 있어도 정신 사나워요.
    그거 말곤 좋긴해요.

  • 9. 어쩌면
    '14.7.31 11:34 AM (210.205.xxx.161)

    저희집주방시스템이 저렇다고 보면 되는데요.
    1.환기 지럴맞구요.
    김치썰어도 냄새 안방까지 납니다.오늘반찬은 김치..
    그래서 찌개류는 무조건 보조주방으로....그런셈이라 일이 이중삼중 늘어납니다.
    2.살림이 얼마없는 집은 모르겠지만 한국주방은 정말 도구니 주방가전 정말 많아요.
    다 버리고 딱 3종만 올려다놓고 쓰면 모를까?죄다 올려놓으면 정말 지저분해보입니다.
    거실서 주방만 쳐다보면 턱허니 숨이 막혀요.
    추성훈님 주방에 올려진 것들을 일일이 체크해보세요.저집도 만만찮아요.
    3.주방시스템이 어떠냐보다는 그기에 맞는...늘 애매한 김냉이나 냉장고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편의성이 달라져요.

    요즘 새로이 입주하는 아파트.....저런 시스템주방 많아요.
    막상 살아보면 하루3끼 밥먹는 집이라면 비추~

  • 10.
    '14.7.31 11:44 AM (110.10.xxx.192)

    우리 아파트는 오래된 아파트인데도 그런 형태에요 ㄷ자 형태로 설거지 할 때 거실 쪽을 바라보는
    음 근데 56평이라는 큰 평수 때문에 그런 구조가 나온 건지 이 아파트 전체가 그런 건지는 모르겠는데 어느 정도 평수가 커야 그런 구조도 나올 것 같아요

  • 11. qas
    '14.7.31 11:49 AM (112.163.xxx.151)

    요새 신축 아파트는 그렇게 많이 나와요.
    저희 동네에 새로 분양하는 아파트는 34평인데도 부엌이 그런 식으로 빠졌더라구요.

  • 12. **
    '14.7.31 11:58 AM (211.198.xxx.67) - 삭제된댓글

    일본 인테리어책을 봐도
    거실로 면한 곳에 레인지 넣는 건 실용적이지 않다는 설명이 나와요.
    기름튀고, 냄새나고 안좋다고...

  • 13. 우리집
    '14.7.31 2:48 PM (112.148.xxx.5)

    가스렌지랑 냉장고는 벽면, 개수대는 거실쪽을 향하고 있어요..
    일하면서 tv도 보고 이야기도 나눌수 있고 좋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0522 저는 어떻게 살야야할까요?? 3 맘을 비워야.. 2014/08/20 1,949
410521 문재인 단식하는거 답답하고 국회가서 싸우길 바라시는 분들 보세요.. 31 ... 2014/08/20 2,339
410520 비싼 타이즈, 스타킹 좋은가요? Tights.. 2014/08/20 1,215
410519 침대생활하면 물걸레질 안해도 되나요 13 거지가 2014/08/20 3,874
410518 1985년도(1984-1986) 나이키 운동화 가격 29 다시 한번 .. 2014/08/20 8,747
410517 코팅 궁중팬 28 필요한가요? 7 새잭 2014/08/20 2,205
410516 문재인 의원이 단식에 들어가며 올린 글 44 문재인의원 2014/08/20 3,085
410515 운동이란 운동은 다 잘하는 아이 두신분? 18 ?? 2014/08/20 2,164
410514 약은 우편으로 보낼수있나요? 3 뽀로로 2014/08/20 1,963
410513 잘생긴 영국 남자와 줄리엣 비노쉬, 사랑을 카피하다 3 영화추천 2014/08/20 2,541
410512 전 직장에 들려야 하는데 뭘 사가는 게 좋을까요? 8 에효 2014/08/20 1,648
410511 10년전 땅 매매계약서(계좌송금내역)를 찾을수가 없어요. 양도소.. 앙~ 어뜩해.. 2014/08/20 1,868
410510 사이버사 수사결과…與 ”유감” vs 野 ”꼬리자르기” 세우실 2014/08/20 805
410509 여의도 영산아트홀(국민일보 건물)에서 가장 가까운 전철역이 어디.. 1 전철 2014/08/20 1,015
410508 포항 살기 어떤가요 3 ㅈㅅㅂㄱㄴㄷ.. 2014/08/20 3,074
410507 여기에 돈 많고 자산 많으신 분 많네요 13 ... 2014/08/20 5,305
410506 연애의발견에 나오는 토끼는 어디로? 3 ㅁㅁ 2014/08/20 1,799
410505 김수창 체포직전 CCTV 공개 1 2014/08/20 2,589
410504 파견회사의 전무 2 으허 2014/08/20 1,020
410503 힘드네요.. 모든게... 1 뭐야 2014/08/20 951
410502 시모 생일에 오지 않는 며느리 궁금하네요 53 정녕 2014/08/20 12,586
410501 새누리는 다른나라 정당같아요 10 진짜 2014/08/20 1,017
410500 컴 윗부분에 도구창이 없어요 7 엉!! 2014/08/20 1,139
410499 강남 싱크홀 82곳. ㅡㅡ;;; 15 2014/08/20 4,390
410498 공무원 연금 개정에 대해.. 31 ㅁㅁㄴㄴ 2014/08/20 3,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