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골집 하나 사 놓는거 어떨까요?

아줌마 조회수 : 8,827
작성일 : 2014-06-08 10:09:24

부자들처럼 삐까번쩍 전원주택 별장은 안되고

그냥 사오천짜리 촌집 하나는 겨우 어찌..

그리고 이상하게 오래된 촌집이 그립기도 하구요.

그런데 어디서 듣길 애인과 전원주택은 사놓으면 그때부터

관리로 골치라는 말도 있어서 망설여지네요.

지금 생각은 제가 자연을 좋아해서 주말마다 가고 싶은데 연고가 없음 그것도 잘 안가질 것 같고

괜히 사놓고 지인들 펜션으로 이용되서 남 좋은 일만 다 시킬 것 같기도 하구요.

그런데 현대식 주택도 아니고 오래된 촌집을 사람이 살지도 않고

어쩌다 가게되면 집도 상할것 같아 걱정도 되고 그래요.

그리고 촌집은 다 방들이 작아 살림살이 놓기도 어려워

나중에 완전 귀촌을 해서 살기도 힘들것 같고

결국 주말주택밖에는 안될것 같아 이왕 살려면 현대식 주택을

사는게 맞을 것 같기도 하구요.

가서 살지 않을거면 그냥 한번씩 돈주고 펜션에 가서 놀다 오는게 더 현명하겠죠?

IP : 112.173.xxx.214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6.8 10:17 AM (180.228.xxx.9)

    저도 하나 사 놓고 싶은 맘은 굴뚝인데 돈이 없어서...
    저같으면 맘에 들고 값이 적당한 시골집이 잇으면 돈만 된다면 무조껀 사고 보겠어요.
    사 놓고 수시로 여기 저기 조금씩 손대고 그래서 방에 누눌 정도가 되면 주말에 가서
    하룻밤 자고 오기도 하고 딸린 텃밭에 이것 저것 심기도 하고..
    러시아 사람들은 가난하게 살아도 어느 집이나 작은 별장이 있다던데요. 다차라고..
    주말에는 거의 반드시 가서 농사 짓고 자고 온대요, 그래서 러시아는 주말이면 다짜로 향하는
    차량이 줄을 잇는대요. 우리나라도 점점 그런 방향으로 갈 것 같아요.
    그리고 시골로 이사가면 그 동네 사람들의 갈굼때문에 큰 문제라는데 아주 가서 사는 것 아니고 주말에만
    가면 그런 문제가 생길 수도 없을 것 같아요.

  • 2. 러시아식 다차
    '14.6.8 10:18 AM (112.148.xxx.27)

    땅 사서 조그만한 이동식 주택 놓으면 좋을 것 같네요.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916308300&frm3=V2

  • 3. 환상
    '14.6.8 10:26 AM (112.153.xxx.16)

    답을 알고있으면서도 자꾸 눈길이 가시나본데요.
    주말주택을 가져봤던 입장에서(과거형) 반대표 던집니다.
    매주 가리라 벼르지만 실제로 한달에 한번가게 됩니다.
    걱정돼서 매주 갈 때는 무슨 빚진것같이 부담스럽고요
    한 두주만에 가면 우선 청소 열나게 해야 되고요,
    곧 장마철인데 사람이 안살면서 문 꼭꼭 닫혀있는 집...
    곰팡내 훅~~납니다. 이불 다 널어 말려야하구요.
    갈 때마다요.
    텃밭농사요? 농작물이 한 두주만에 한번씩 들여다봐서
    되는게 아닙니다.
    그래도 꼭 한번 해보고싶다면 세를 얻어서 가져보세요.
    일년짜리로요.

  • 4. ...
    '14.6.8 10:36 AM (218.234.xxx.109)

    집도 일종의 생명체 같아요. 사람이 기거하지 않으면 온기가 없는...
    지금 자주 드나들 수 있는 형편 아니시면 그냥 땅만 사두세요.

    그리고 예전에 시골에 빈 집 버리고 그냥 이사가는 집이 많아서
    행정기관에서 하는 빈집 이어주기 사이트가 있었어요.
    (경기도처럼 서울 가까운 곳 아니고, 진짜 충남, 경북 이런 시골..)

    빈집 그냥 두면 위생상 문제도 있고, 범죄소굴(가출청소년 및 기타 은닉처)이 될 가능성이 많아서 그랬나봐요.

  • 5. 환상
    '14.6.8 10:38 AM (112.153.xxx.16)

    집이 서울이라고 할 때,
    인근 여주, 이천, 남양주 그런 쪽 시골 깊숙이 들어가 보세요. 별장 멋지게 지어놓고 안 살고 세 내놓는집 많아요.

  • 6. ~~
    '14.6.8 11:04 AM (58.140.xxx.106)

    저희 삼촌이 예전에 강원도 산골에 흙집을 하나 사셨었는데요
    몇 년 있다가 그 자리에 새로 지으셨어요.
    몰아서 일하고 몰아서 쉬는 직업이라 쉬실 때 거기 내려가 계시는데
    초대도 많이 하시고 집 빌 때는 친척들 누구든지 가서 놀다 오라고 하세요.
    그 산골짜기에 딱 두 집 있는데 이웃 분이 둘러봐 주시고 텃밭도 손봐주시고 하더군요.

  • 7. 집이
    '14.6.8 11:33 AM (117.111.xxx.135) - 삭제된댓글

    얼마나 손을.타는데요
    매주 가다시피해서 돌보고 가꿔야 사람사는집같아요.
    아는분은 매주가서 마당 풀뽑고 청소하고 그러더라구요.
    보통일이.아니에요.

  • 8. 강화쪽에..
    '14.6.8 11:43 AM (222.112.xxx.188)

    일년간 임대하는 시골집 있었어요.
    주말농장 + 이동식 주택도 일년계약하는 곳도 있었는데..
    한번 알아보고 미리 체험해보신후 결정하심이 어떨지..

  • 9. 비슷한상상
    '14.6.8 11:43 AM (219.250.xxx.189)

    제주도가 시댁인데 시댁서 자고 며칠씩있다오는게 부담스러워서
    그렇다고 자식이 고향와서 딴데서 자고가기도 그렇고해서
    시댁옆에 작은 집하나 사면어떨까하고있어요
    근데 사실돈이 없어서 상상만ㆍㆍㅋ

  • 10. 부동산 잘 아는 분이
    '14.6.8 11:45 AM (59.15.xxx.122)

    시골에 연고 없으면 시골에다가 절대 집사지 말라고 하데요.
    위에 답글 다신 분말처럼, 집이라는 것이 끊임없이 돌봐줘야 집꼴이 나는데
    단 며칠이라도 집 비워놓으면 금세 폐가처럼 되버리고
    집 건사하느라 매주 들러야 하는 것도 힘이들것 같고
    그분말이 마음에 드는 곳이 있으면 몇달이나 1년 정도 세로 살아보라고 하더라구요.
    나중에 더 나이들면 마음변할 지 몰라도 현재까지는 교통좋고 편의시설 잘 갖추어진
    아파트에 살면서 근처에 텃밭 한뙤기 분양받아 주말농사나 지을까 궁리중이네요

  • 11. 환상
    '14.6.8 12:01 PM (49.1.xxx.226)

    그냥 집도 아니고 흙집은 사람 안살면 무너져요
    보수하고 사는게 아니고 그냥 스르르 무너져요
    흙집은 사람과 같이 숨쉬고 사는 생명체예요

  • 12. 모든 게
    '14.6.8 12:02 PM (61.247.xxx.51)

    case by case 입니다.

    잘 구하면
    주변 사람들이 좋아 텃세 같은 것은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별로 손 대지 (수리하지) 않아도 되는 집을 구할 수 있고.

    요령을 터득하면
    그리 넓지 않은 면적(대지와 텃밭) 제초하고 채소 가꿔 먹는데
    시간 많이 걸리지 않고, 손 많이 안 대도 됩니다.

    요새는 손으로 풀을 뽑지 않습니다. 그건 너무 힘들어요.
    예초기를 돌리거나, 제초제로 박멸해 버리지요.

    예초기와 제초제로 주변을 깨끗이 정리하고,
    자주 손 안 대줘도 잘 자라는 채소(작물) 위주로 심으면 됩니다.

    채소(작물)를 아주 조금만 심고, 예쁜 꽃나무들 위주로 집 주변을 단장해 놓으면 손이 훨씬 더 적게 갑니다.
    나무의 경우엔 전지만 해주면 (거름도 줄 수 있으면 일년에 한두 번 조금 주면) 되니까요.

    집도
    도배하고, 잘 수리-정리 해 놓으면 한 달에 한 번 가도
    아무 이상 없는 경우 많습니다.
    제가 아는 분, 외국 여행으로 한 달씩 시골집 비워 놓아도 별 변화가 없더이다.
    집 주변에 주로 꽃 나무를 심어 놓고 아주 적게만 텃밭을 일궈놓은 경우지요.

    시골 집에 이불을 많이 가져다 놓을 이유 없고,
    집이 잘 수리되어 있으면 손 댈 것도 없습니다.
    지붕에 이상 없으니 비 세지 않을 것이고,
    요세는 전기 시설에 아무 이상 없고,
    수도와 난방(보일러) 시설 대부분 잘 갖춰져 있고,
    이따금 들어가서
    방이 축축하면 보일러 돌려 방안을 건조시켜 놓으면 됩니다.

    실제 시골 생활을 전혀 해보지 않았거나, 요령을 모르는 사람들이 반대를 하는 것 같은데..
    무엇이든 잘 하면, 시골집을 아주 유용하게 잘 활용할 수 있기도 하고, 전혀 할 줄 모르면 그리고 운이 없으면, 안 가진 것만 못한, 골칫덩이를 떠 앉는 경우가 될 수도 있습니다.

  • 13. 원원
    '14.6.8 1:08 PM (39.119.xxx.152)

    원글님이 원하시는 그런집 가지고 있어요~*^^*
    도시 아파트 집에서 딱 한시간 거리 시골에 시골집(구들 있는 흙집?)을 매입한지 2년차 들어갑니다.
    다 하기 나름이에요.
    주말에 한번 혹은 한달에 한두번 가지만 좋아요.
    궁금하신거 있음 메일주세요~kmrs0620@hanmail.net
    우리가족이 살고 있는 그리고 주택 매입해서 보수하고 지금 생활 하고 있는 거 알려드릴게요~

  • 14. 진홍주
    '14.6.8 1:29 PM (221.154.xxx.157)

    우리동네 아줌마가 그런 새컨하우스 가지고 계세요
    물 좋고 공기 맑은 곳에다 땅사서 정원 꾸미고
    요즘 조립식주택 이쁘게 잘 나오거든요

    조립식 3500만원 들였다는데 온가족이 다 이용한데요
    여름에는 거기서 휴가 보내고요

  • 15. ,,,
    '14.6.8 2:45 PM (203.229.xxx.62)

    저도 관심 있어서 여기 저기 알아 보다가

    도시 여자의 촌집 개조 프로젝트
    2천만원으로
    시골집 한 채 샀습니다 란 책을 구입해서 읽었어요.

    읽어 보시면 도움이 될거예요.

    시골집에 대한 로망이 있다면
    시골엔 1년이나 2년 개념으로 깔세라는게 있어요.
    100만원 선불 주고 일년 살아 보세요.
    살면서 그 동네에 익숙 할 수도 있고
    왔다 갔다 지내다 보면 그 지역을 중심으로 원글님 마음에 드시는 곳에 집을
    장만 하실수 있어요.
    덜컥 구입했다 후회하고 팔려고 내 놓으려면 잘 안 팔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5273 푸켓 전문가님들 봐주세요~ 1 00 2014/07/03 1,107
395272 제왕절개 앞두고 있는데 택일 및 작명 잘하는곳 부탁드려요 4 둘째 2014/07/03 2,086
395271 간고등어 얼려도 되나요? 2 베뮤다 2014/07/03 1,052
395270 저 사고쳤어요.... 2 누엘라 2014/07/03 1,631
395269 장윤정 귀엽네요 ㅎㅎ 25 ㅋㅋ 2014/07/03 13,689
395268 토요일에 친구들이랑 축구? 1 중1맘 2014/07/03 894
395267 해경 "이미 인양한 시신 단계별로 나눠서 보고하자&qu.. 11 브낰 2014/07/03 2,959
395266 비오는 날에 드시는거 있나요 8 2014/07/03 1,574
395265 위나 대장 내시경.. 자주하면 안좋은가요?? 3 ... 2014/07/03 5,211
395264 조언 3 ㅠㅠ 2014/07/03 967
395263 이런 증상은 무슨과로 가나요? 4 ** 2014/07/03 1,189
395262 전세 사는 것도 쉬운거 아니었어요. 12 처음살아보는.. 2014/07/03 3,311
395261 턱밑에..여드름? 2 !! 2014/07/03 1,629
395260 아이들시험 4 ㅠㅠ 2014/07/03 962
395259 클린징오일 끊고 피부 좋아졌어요. 5 나비잠 2014/07/03 4,450
395258 朴대통령 지지율 36.1%로 폭락 21 샬랄라 2014/07/03 2,277
395257 강아지 간식 추천합니다 1 ........ 2014/07/03 1,047
395256 앞치마 x자형 많이 불편한가요? 3 궁금^^ 2014/07/03 1,525
395255 김태용 감독은 영화계 평이 좋나봐요. 10 샤롬 2014/07/03 4,074
395254 영어 한마디도 못하는 5살 아이, 적응하기 힘들까요? 8 영어 2014/07/03 1,445
395253 세월호 관련해서 이해안가는게 3 f 2014/07/03 917
395252 무자식 상팔자 절절한 아침이네요..저 같은 분 계시나요ㅠ 13 그네하야해라.. 2014/07/03 4,314
395251 백화점 10억 경품이요. 10 2014/07/03 3,100
395250 운전면허 어떻게 따셨어요? 8 .. 2014/07/03 2,086
395249 질좋은 실내화는 어디서 사나요?? 2 힘내자 2014/07/03 1,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