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오바마가 ‘최저임금’을 대폭 인상한 까닭

참맛 조회수 : 1,098
작성일 : 2014-04-10 17:11:12
오바마가 ‘최저임금’을 대폭 인상한 까닭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9820

지난 2월12일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최저임금을 시간당 7.25달러(약 7800원)에서 10.10달러(약 1만800원)로 올리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묶여 있던 최저임금을 한꺼번에 큰 폭으로 인상한 것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3월12일, 연장 근로수당을 받는 노동자의 수를 크게 늘리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최근 한국의 한 경제지는 이 같은 오바마의 ‘친노동’ 행보에 대해 “대통령이 아니라 노조위원장 같다”라며 야유를 퍼부었다. 
그러나 미국 행정부의 임금 인상 정책은 나름 탄탄한 경제 이론에 근거한 것이다. 
‘소득주도 성장(Income-led Growth)’ 이론이라 부를 수 있는 흐름이다.

이 논리에 따르면, 미국 경제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 것은 노동자들의 소득이 지나치게 낮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30년간 미국 노동자 중 60%의 실질임금은 전혀 상승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1973년 이후 미국의 노동소득 분배율(국민소득 중 노동자들이 임금으로 받는 몫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이런 장기간의 임금 정체는 노동자들의 소비 능력을 잠식하면서 경제 불황을 심화시켰다.
더욱이 정부가 아무리 통화·재정 팽창으로 경기를 자극해도 노동자들의 소비 능력이 지나치게 낮은 탓에 경기가 회복되지 않는다.
이렇게 노동자들의 삶이 열악해지면 사회불안이 심화되고 이는 다시 투자의 발목을 잡아 경기 회복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소득주도 성장론’은, 경제위기의 반복을 중단시킬 수 있는 대안은 서민과 노동자들의 소득(임금)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왜 하필 서민·노동자들의 소득을 늘려야 경제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일까? 
각종 규제 완화로 부자들에게 더욱 부유해질 수 있는 기회를 주면 그 부(富)가 사회 전체로 흘러넘칠 수도 있지 않겠는가. 
이에 대한 ‘소득주도 성장론’ 측의 주장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자들이 더 많은 돈을 버는 경우, 
이렇게 추가된 소득은 소비보다 자산 투자(주식·부동산 등)로 흘러가는 비율이 높다. 
부자들은 이미 충분히 소비하고 있기 때문에 돈을 추가로 더 번다고 해서 소비를 크게 늘리지는 않는다. 
반면 서민층이나 노동자들은 소득이 확대되면 곧바로 지출을 늘린다. 돈 쓸 데가 많기 때문이다. 
이렇게 소비 수요가 증가하면 기업들은 보유한 설비를 더욱 많이 가동해서 상품 공급을 늘린다. 
또한 설비가동률이 높아지면 기업들은 이후 경기가 호전될 것을 기대하면서 신규 투자에 나서게 된다. 
투자가 늘어나면서 고용 및 총생산량의 증가, 즉 경제성장이라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것이 ‘소득주도 성장론’의 핵심 논지다.

‘소득주도 성장론’은 최근 미국 정부뿐 아니라 국제통화기금(IMF) 같은 국제기구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IMF는 지난 수십 년간 경제위기를 겪은 많은 국가들에 신자유주의 정책을 강요함으로써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킨 주범이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이런 IMF마저 불평등이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서를 연속 발간하고 있다.

2011년 IMF가 낸 <불평등과 지속 불가능한 성장:동전의 양면?>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성장 지속 기간’과 ‘소득 불평등 개선’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나타난다. 
즉, 소득 불평등을 개선하는 국가일수록 경제성장을 더 오랫동안 지속시키는 경향이 나타나더라는 이야기다.

IMF 크리스틴 라가르드 총재는 지난 2월 한 국제회의에서 “소득 격차가 사회를 황무지로 만든다”라고 경고했다. 
그녀는 IMF가 맞서야 할 가장 시급한 문제로 ‘불평등’을 꼽았다. 
사회적 불평등은 사회불안을 야기하고, 잠재력 있는 아이들의 가능성을 잠식하며, 이는 다시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는다는 것이다.
라가르드 총재에 따르면 ‘불평등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야말로 경제성장을 위한 우선 과제다.

최근에는 이념과 학파를 넘어 다수의 정책 당국이 ‘경기 회복에 노동자 집단의 소득 향상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상식처럼 수용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오바마 정권이나 IMF만 그런 것이 아니다. 
국제노동기구(IL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같은 국제기구들도 소득주도 성장론에 주목하고 있다. 
좌우파를 넘어 경제정책 입안자들 간의 지구적 합의가 형성되어가는 듯한 형국이다. 
심지어 일본의 우익 근본주의자인 아베 정부까지 기업들에게 ‘노동자 임금을 올려주라’고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IP : 121.182.xxx.194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4.4.10 5:20 PM (223.33.xxx.119)

    오바마의 8년은 진짜 신의한수인거같네요
    미국 최저임금은 너무 적어요 비록 이민자들 차지지만

  • 2. 공화당이
    '14.4.10 5:52 PM (211.52.xxx.242)

    오바마의 정책에 사사건건 발목을 잡았는데...
    미국은 행정명령으로도 시급을 올릴수 있군요. 부럽습니다.~~

  • 3. 숭미주의자인 수구들이
    '14.4.10 6:15 PM (211.194.xxx.54)

    저런 정책은 절대로 안 따라하죠. 정답만 피해다니는 꼴... 그 바람에 궁민이 되어가고...

  • 4. 수시로
    '14.4.10 9:44 PM (118.41.xxx.95)

    대규모 인원감축 해대는 우리나라에서 불평등 해소라니 ... 어색한 단어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2549 조국혁신당, 이해민, 가을^^ ../.. 16:34:26 19
1772548 반년만에 만나자마자 첫마디가 상사욕인 사람 지인 16:34:17 35
1772547 슈퍼마켓에서 가끔 실수이겠죠? 고의가 아니라. 수퍼마켓 16:34:12 61
1772546 전세 계약 2년 만기가 오늘인데 이런 경우.. 1 전세 16:33:17 61
1772545 상간녀 응징 1 16:32:15 125
1772544 생리하는 날 힘든거 맞죠 16:31:24 36
1772543 실리콘으로 된 식기,도구들, 열에 안전한가요? .. 16:31:04 41
1772542 레티날 부작용, 화끈거림 3 ㅁㅈ 16:28:06 151
1772541 펀드하시는 분은 없나요? 3 .... 16:26:12 116
1772540 무나물에 소금만 넣고 하는분 4 123 16:24:07 225
1772539 베스트에 한효주 엄마 데뷔글이요. 5 댓글 16:22:16 713
1772538 경매 낙찰 후 1 고소미 16:20:18 145
1772537 밥솥 뚜껑 고무패킹이 2중인 것과 3중인 것이 밥맛에 차이가 많.. ... 16:18:00 41
1772536 문재인 정부때 개정된 국정원법 때문에 구속된 조태용 2 그냥 16:17:57 278
1772535 태권도에 카드 단말기가 없을수가 있나요 5 .. 16:15:25 301
1772534 저렴한 드라이클리닝 센터(?) .. 16:14:07 101
1772533 노래의 날개위에 임시 진행자 ... 16:12:58 169
1772532 "김건희 구치소서 혼자 중얼거려" 보석 호소 15 111 16:12:33 1,183
1772531 요즘엄청난 금액의 월세들 보면 1 ㅇㅅ 16:10:42 410
1772530 개혁적인 사람보면 젊네요 1 ㅁㄴㅇㅁㅇㅈ.. 16:07:05 187
1772529 남편이 60세인데 8 준호씨 16:06:33 1,187
1772528 종목 부페 주식 16:06:18 186
1772527 1000만원 내외 목걸이 추천해 주세요. 4 ... 16:03:33 498
1772526 중증치매 어머니 콧줄 어떻게 결정해야할까요.. 11 .... 16:02:54 605
1772525 애들 어려서 갖고 놀던 장난감을 새끼냥이가 가지고 놀아요 3 장난감 16:02:01 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