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가계 빚 1천조 시대..'한국경제 최대 뇌관'

열정과냉정 조회수 : 1,439
작성일 : 2014-01-07 15:01:54
http://media.daum.net/economic/newsview?newsid=20140107120208088

가계부채의 증가는 소비 여력을 위축시켜 이제 막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이려는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 경제의 최대 뇌관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특히 소득 증가가 따라주지 못하면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한계에 몰린 중산층이 저소득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점에서도 우려를 낳고 있다.
◇가계부채 1천조원…부동산 대책도 가속화 요인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자료를 보면 작년 11월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의 가계대출 잔액은 681조1천억원으로 한달 전보다 5조원이 늘었다.

전월 4조원이 증가한 만큼 두달새 9조원이 늘어난 것이다.

앞서 작년 9월말 현재 가계신용은 991조7천억원을 기록했다.

가계신용은 국내 가계부채의 수준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통계로, 예금취급기관과 함께 보험사, 연기금, 대부사업자, 공적금융기관 등 기타 금융기관의 대출과 함께 판매신용까지 포괄해 분기별로 산출된다.

예금취급기관 대출 잔액의 증가분만 더해도 이미 1천조원을 넘어선 것이다.

2004년 말 가계부채가 494조2천억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8년여만에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셈이다.

가계부채는 가계가 쓸 돈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늘어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지난해 가계부채는 정부의 4·1 부동산대책, 8·28 전월세 대책 등 정부 대책이 빌미를 제공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작년 6월 말 취득세 감면혜택 종료에 앞서 주택대출이 늘면서 지난 2분기 가계신용 증가액은 16조5천억원에 달했다.

작년 12월에는 4·1부동산 대책의 세제혜택 '막달효과'로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대출이 사상 최대 규모인 2조5천억원 넘게 집행되기도 했다.

◇증가 속도 가팔라…"중산층 줄어들 수도"

가계 부채의 1천조원 돌파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늘어나기 때문에 가계부채도 느는 경향을 보이는 만큼 이 자체로 문제시할 수는 없다.

문제는 소득보다 빚이 늘어나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가계의 소득 대비 빚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해 개인 가처분 소득에 대한 가계부채 비율은 136%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으며 한국은행은 작년 6월말 기준으로는 이 수치가 137%로 더 악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앞서 이 지표는 2003년에는 107%였으나 카드 사태의 여진이 수그러들면서 2004년 103%로 떨어지고서 그 이후에는 주택담보 대출과 가처분 소득 증가의 둔화 등 요인 때문에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상승했다.

한은도 가계부채의 증가속도에 대해서는 위험수위라고 보고 있다.

한은은 작년 10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국감 자료에서 "가계부채 증가율이 여전히 소득 증가율을 웃도는 점은 안정적 거시경제 운영의 잠재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비은행 가계대출·자영업자·다중채무자 등 특정 부문은 가계부채에 특별히 취약한 상황이다.

자영업자를 보면 1인당 대출이 지난해 3월 말 평균 1억2천만원으로, 임금근로자 1인당 대출(4천만원)의 3배에 달했으며 이들의 빚 가운데 부실 위험이 있는 '잠재 위험 부채'는 60조7천억원으로, 전체 가계부채의 6%를 넘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상당수가 중산층인 자영업자들의 소득이 개선되지 않아 연체에 몰리게 되면 중산층 몰락 현상이 심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부 1월 중 가계부채 대책 발표…전문가 "쉽지 않을 듯"

정부는 1월 중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한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마련해 리스크에 대응할 계획이다.

주택금융공사·국민주택기금의 장기모기지 공급을 29조원으로 확대하고 주택담보대출 구조의 장기·분할상환 방식 전환을 촉진하는 한편 제2금융권 대출건전성 규제를 정비하는 등의 내용을 담을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가계부채에 대한 관리를 세게 하면 내수에 악영향을 줄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다소 의견이 엇갈린다.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는 "이제는 가계부채를 최소한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통제할 필요가 있다"며 "단기적으로 내수 진작의 필요성이 있더라도 가계부채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비해 이필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가계부채가 늘면 소비를 제약하기 마련"이라며 과감한 성장 정책 등을 통해 가계 스스로 빚을 갚을 수 있는 자생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준협 연구위원은 "가계부채 대책은 어차피 중장기적인 접근이 될 수밖에 없다"며 "해결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가계부채의 증가는 소비 여력을 위축시켜 이제 막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이려는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 경제의 최대 뇌관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특히 소득 증가가 따라주지 못하면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한계에 몰린 중산층이 저소득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점에서도 우려를 낳고 있다.

◇가계부채 1천조원…부동산 대책도 가속화 요인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자료를 보면 작년 11월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의 가계대출 잔액은 681조1천억원으로 한달 전보다 5조원이 늘었다.

전월 4조원이 증가한 만큼 두달새 9조원이 늘어난 것이다.

앞서 작년 9월말 현재 가계신용은 991조7천억원을 기록했다.

가계신용은 국내 가계부채의 수준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통계로, 예금취급기관과 함께 보험사, 연기금, 대부사업자, 공적금융기관 등 기타 금융기관의 대출과 함께 판매신용까지 포괄해 분기별로 산출된다.

예금취급기관 대출 잔액의 증가분만 더해도 이미 1천조원을 넘어선 것이다.

2004년 말 가계부채가 494조2천억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8년여만에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셈이다.

가계부채는 가계가 쓸 돈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늘어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지난해 가계부채는 정부의 4·1 부동산대책, 8·28 전월세 대책 등 정부 대책이 빌미를 제공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작년 6월 말 취득세 감면혜택 종료에 앞서 주택대출이 늘면서 지난 2분기 가계신용 증가액은 16조5천억원에 달했다.

작년 12월에는 4·1부동산 대책의 세제혜택 '막달효과'로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대출이 사상 최대 규모인 2조5천억원 넘게 집행되기도 했다.

◇증가 속도 가팔라…"중산층 줄어들 수도"

가계 부채의 1천조원 돌파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늘어나기 때문에 가계부채도 느는 경향을 보이는 만큼 이 자체로 문제시할 수는 없다.

문제는 소득보다 빚이 늘어나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가계의 소득 대비 빚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해 개인 가처분 소득에 대한 가계부채 비율은 136%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으며 한국은행은 작년 6월말 기준으로는 이 수치가 137%로 더 악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앞서 이 지표는 2003년에는 107%였으나 카드 사태의 여진이 수그러들면서 2004년 103%로 떨어지고서 그 이후에는 주택담보 대출과 가처분 소득 증가의 둔화 등 요인 때문에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상승했다.

한은도 가계부채의 증가속도에 대해서는 위험수위라고 보고 있다.

한은은 작년 10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국감 자료에서 "가계부채 증가율이 여전히 소득 증가율을 웃도는 점은 안정적 거시경제 운영의 잠재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비은행 가계대출·자영업자·다중채무자 등 특정 부문은 가계부채에 특별히 취약한 상황이다.

자영업자를 보면 1인당 대출이 지난해 3월 말 평균 1억2천만원으로, 임금근로자 1인당 대출(4천만원)의 3배에 달했으며 이들의 빚 가운데 부실 위험이 있는 '잠재 위험 부채'는 60조7천억원으로, 전체 가계부채의 6%를 넘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상당수가 중산층인 자영업자들의 소득이 개선되지 않아 연체에 몰리게 되면 중산층 몰락 현상이 심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부 1월 중 가계부채 대책 발표…전문가 "쉽지 않을 듯"

정부는 1월 중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한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마련해 리스크에 대응할 계획이다.

주택금융공사·국민주택기금의 장기모기지 공급을 29조원으로 확대하고 주택담보대출 구조의 장기·분할상환 방식 전환을 촉진하는 한편 제2금융권 대출건전성 규제를 정비하는 등의 내용을 담을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가계부채에 대한 관리를 세게 하면 내수에 악영향을 줄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다소 의견이 엇갈린다.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는 "이제는 가계부채를 최소한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통제할 필요가 있다"며 "단기적으로 내수 진작의 필요성이 있더라도 가계부채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비해 이필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가계부채가 늘면 소비를 제약하기 마련"이라며 과감한 성장 정책 등을 통해 가계 스스로 빚을 갚을 수 있는 자생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준협 연구위원은 "가계부채 대책은 어차피 중장기적인 접근이 될 수밖에 없다"며 "해결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IP : 222.97.xxx.74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1.7 3:11 PM (222.97.xxx.74)

    가계빚으로 나라 경제를 떠받치고 있군요.

  • 2. 6년새에
    '14.1.7 3:17 PM (124.50.xxx.131)

    보수정권이 바뀌면서 나라가 주안층이 거덜 나는군요.
    이걸 감추고 박은 4만불운운하고 ...
    그들이 뇌까리는 잃어버린 10년이 그립네요.
    이걸 또 뭘로 감축로 감출까요?? 언젠간 도 꽝 터지겠지만..
    경재 콘트롤타워도 없고 현오석도 뭔가 모르는 눈치던데.. 능력은 더더욱 없고...
    법인카드로 개인용돈으로 쓴 위인이 뭘 할까마는...
    이게 나만 빚없고 살만하다고 괜찮은 문제가 아닌데..기업들 쓰러지고 소비 감소 하고
    일저리 줄어들고 실업늘고...또한번의 위기가 닥칠 예정인가요??
    이지 많은 일자리를 보유했었던 업종인 건설이 무너지고 있어서 실업률은
    엄청 늘어나고 있는데..정확한 통계발표는 안하죠.

  • 3. 지나가다
    '14.1.7 3:21 PM (218.50.xxx.134)

    개인적으로 지금 전세가나 매매가가 고공행진을 할 수 없으리라 보는 이유 중 하나죠.
    가계부채만 1000조 자영업자 대출 500조에... 기업이며 지자체며 다 빚 투성인데...
    거기에 해마다 갚아야할 이자는 늘어나고...
    사람들이 부동산에 돈을 너무 많이 가져다 부어서
    다른 데 쓸 돈이 거의 없어서 지금의 불황이 생긴건데
    거기다가 대고 계속 집 사라 부채질 하고 있으니
    어떻게 보면 정부가 불황을 더 가속화 하고 있죠.
    파티 끝날 시간은 다가오는데 아직도 정신 못차리고 즐겨라 하고 앉아 있으니...
    자기 임기내에만 안 터지면 된다고 방관하고...
    아주 무책임하고 무능한 정부입니다.

  • 4. 변호인
    '14.1.7 3:24 PM (211.171.xxx.129)

    여성 대통령시대 제 2의 IMF가 아니 더 큰 Perfect Storm 이 오고 있죠, 가계빚 남편들이 철야해서 벌어도 왜 1천조를 넘을까요? 누가 그 빚을 갚을수 있나요? 누군가 더 벌어 그 빚을 줄일 생각을 왜 안하는 걸까요?
    오늘도 김진표만 씹고 있으면 가정에 돈이 벌어지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3419 저 이따 먹을거... 돈까스세트 03:54:46 47
1743418 자식들한테 섭섭한데요. 제 탓이겠죠 그냥 03:27:12 334
1743417 신세계백화점 폭파 협박범 아직도 못찾았았나봐요 ........ 03:22:35 182
1743416 동물병원 고소하고 싶네요ㅜㅠ 동그라미 02:51:38 475
1743415 갑자기 퍼붓는 비소리에 깼네요 2 oo 02:04:22 1,085
1743414 김건희 '최측근' 이종호 구속영장 발부 2 ,,, 02:01:37 650
1743413 딸이 귀여워요 6 풍요로운 삶.. 02:00:44 686
1743412 늙은 공주의 한탄 20 .. 01:34:07 2,188
1743411 직장에서 내주는 자녀 등록금 신청이 복잡한가요? 2 ㅇㅇ 01:27:59 480
1743410 손흥민은 왜 벌써 빅리그를 떠날까요? 12 .... 01:04:49 2,758
1743409 아파트 승강기 디지털 광고 3 .. 00:59:30 672
1743408 여기서 보고 주문한 토마토캔이 왔어요. 1 싱글 00:57:52 620
1743407 단백질 음식이 자꾸 먹고 싶어요 2 ??? 00:51:11 692
1743406 폴란드여성들은 결혼전에 같이 자보고 결혼을 결정한다고 하네요 11 현명 00:45:09 2,648
1743405 1965년 중국집 메뉴판 13 배고파 00:39:22 1,468
1743404 연예인 찐친 종류 누구누구있어요? 9 00:08:54 1,734
1743403 이번 돌싱글즈 7은 재밌네요 .... 00:05:27 823
1743402 요즘 동호회는 어디가 활성화 되어 있나요? 1 요즘 2025/08/05 401
1743401 다이소 1~2시간 배송서비스 도입 ........ 2025/08/05 1,232
1743400 이언주 페이스북: 아니...어떻게 이렇게 상세한 내용이 통째로 .. 2 ... 2025/08/05 2,902
1743399 김일병 사망 당시 현장 지휘관은 차에 남아 '게임' 4 우리의미래 2025/08/05 1,870
1743398 넷플릭스 드라마 7 넷플릭스 2025/08/05 2,393
1743397 이야밤에 짜파게티 먹고싶어요 ㅜㅜ 8 ........ 2025/08/05 861
1743396 조선시대 일본인이 그린 한국 길냥이 3 마이퉁퉁해 2025/08/05 2,419
1743395 부모와 손절하신분 어떤 맘으로 사시는지.. 9 ㅣㅣ 2025/08/05 2,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