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에게 외국살면서..영어이름을 쓰게 해야 할까요?

고민고민.. 조회수 : 2,473
작성일 : 2013-12-05 20:13:52

아이 한국이름 끝자가 훈이여서 
 HOON으로 쓰거나 한국이름대로 SONG HOON 으로 쓸지..
아니면 부르기 쉽게 외국이름으로 바꿔서 쓸지 너무나 고민이 됩니다.
지금은 아이가 어린데 계속 외국에서 자라면 모습만 다를뿐 외국인이 되겠지요.
엄마마음같아서는 정체성도 그렇고 왜 굳이 영어이름으로 바꿔서 써야하나 하는 마음도 들어서
한국이름 쓰게 하고 싶은데
아이가 나중에 커서 취업을 하거나 할때 이름때문에 차별로 인한 불이익이 있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되어서 망설여집니다..

일본인들은 영어이름으로 바꾸지 않고 거의 다 자기 이름 그대로 쓰는 걸 보고나서 더 그런 마음이 들어서요.

정말 고민입니다. 
별로 그리 고민같지 않아 보이지만.... 제가 요즘 고민을 많이 하는 문제여서요.
남편은 뭘 그리 복잡하게..그냥 영어이름 쓰라 하는데..
다른 나라 사람들은 외국애들이 부르기 어렵거나 말거나 자기 이름 그대로 고수하는데
왜 굳이 우리가 바꿔야 하지? 하는 생각이 자꾸만 들고 우습지만 괜히 자존심도 상하네요.

그치만... 아이가 평생 살면서 불리게 될 이름이니.. 쉽게 결정내리기가 참 어렵습니다.ㅠㅠ

다른 분들 의견을 꼭 듣고 싶습니다. 
평소에 82댓글 읽다보면 정말 감탄할만큼 생각있으신 분들이 많이 계셔서요.

감사합니다!!
IP : 70.78.xxx.134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2.5 8:15 PM (118.221.xxx.32)

    평생 살거면 영어 이름 쓰고
    몇년 살거면 그냥 한국 이름 쓰면 어떨까요

  • 2. 토코토코
    '13.12.5 8:18 PM (116.41.xxx.92)

    부르기 어려운 이름 아님 한글 이름 쓰겠어요.
    몇세대 산 외국 교포도 아니고 훈으로 끝나면 그냥 Hoon 정도로 해도 될 것 같은데...

  • 3. 일본이름은
    '13.12.5 8:18 PM (94.8.xxx.64)

    받침이 없어서, 발음하기 어렵지 않거든요.. 중국이름이랑 한국이름 가진 애들은 발음하다 보면
    이상한 단어로 발음되기 때문에 놀림감도 되고.. 그래서 중국인이랑 한국인들은 이름을 영어식 닉네임 갖게 된다더군요.. 받침이 없는 이름이면 괜찮고, 받침 있다면, 닉넴 하나 가지는 셈치세요.. 외국인들도 이름이 둘 셋 되는 애들 많아요.. 이름이랑 정체성은 또 다른 문제고, 집에선 한국이름부르고 학교에선 친구들끼리 부르는 이름 있다고 보시면 됨

  • 4. 토코토코
    '13.12.5 8:20 PM (116.41.xxx.92)

    이름만 바꾼다 뿐이지 성보면 딱 티나고.. 성은 발음하기 쉬운 성인가요?
    이름으로 차별하는건 들어보지 못했네요.
    되게 어려운 이름 아니면.. 한국 이름 권해요..

  • 5.
    '13.12.5 8:20 PM (14.34.xxx.38)

    굳이 영어이름을 쓰는건 발음이 어려워서 그러는 이유가 가장 큰데 hoon정도면 발음 어렵지 않으니 그냥 써도 될것 같아요. 영어이름을 쓸때는 한국이름을 미들네임으로 쓰기도 해요. 가령 제인 영희 리 처럼요

  • 6. ...
    '13.12.5 8:27 PM (101.162.xxx.20)

    ㅎ발음 어려워요..
    준은되도 훈은 어려워해요.
    세글자를 다쓰면 훈이 미들네임으로 지맘대로 생략해서 쓰는 사람도 생겨요.
    이름이 어려우면 두번세번 소개하게 되더라구요.

  • 7. 00
    '13.12.5 8:50 PM (188.223.xxx.9)

    저희아이는 두자 다 받침이 있는 이름이에요. 영어권사람들은 발음하기 정말 어려워하죠.
    그런데 본인이 영어이름을 원치 않더라구요. 학교들어갈 4살때 물어보고 세컨더리 갈때 한번 더 물어봤어요.
    발음하기 어려워도 자긴 상관없고 주변 사람들은 어려워하지 않는다고 하더라구요.
    아이 입학하고 학교소개날 갔을때 선배들 친구들 선생님들 정확하게 이름 말하는거 보고 걱정 안했어요.
    발음에 대한 장점 단점 다 설명해주고 아이선택에 맡기시면 어때요?

    이래놓고 엄마 아빠는 영어이름을 쓰고있답니다. ㅎㅎㅎ

  • 8. ...
    '13.12.5 8:56 PM (211.246.xxx.191)

    훈...이 어려우면 발음이 이상한 거죠 ㅡㅡ;;
    그 정도의 노력도 안하는 사람이면 알고 지낼 필요도 없을 듯요.

  • 9. 태양의빛
    '13.12.5 9:45 PM (221.29.xxx.187)

    한국 이름이 발음이 어려우면 영어 이름을 쓸 수도 있지만, 한국어 그대로 쓰시는 편이 정체성도 한국인같고, 또 여권하고 일치하니 의심 받을 일도 없고, 괜찮을 것 같네요.

  • 10. ---
    '13.12.5 10:21 PM (84.144.xxx.2)

    집에서 한국 이름 부르고, 사회 생활 할거면 영어 이름이 낫죠..성은 어차피 한국 성이잖아요..
    발음 문제 있구요. 전업이어도 뭐..병원이나 어디 가서 그 사람들 발음 엉뚱하니 못 알아 듣겠더라는.
    유럽이라 더 그렇고..영어권도 뭐 다르지 않을 듯.


    그리고 일본애들 자기 이름 그냥 쓰는 건..서구 사람들 일본 정말 얼마나 좋아하는데요. 그 이유가 전부는 물론 아니지만 어쨌든 이름 바꿀 이유가 전혀 없어요.

  • 11.
    '13.12.5 10:29 PM (184.160.xxx.47)

    아이의 공식적인 이름(교육청이나 영주권,여권...)은 한국 이름이고요, 학교에서 사용하는 이름은 영어이름을 사용해요.
    한글학교는 한인교회에서는 한국이름만 사용해요. 아이가 이렇게 하길 원해서요.
    시민권 받으면 한국이름만 미들로 넣어주려구요.
    저랑 신랑은 그냥 한국이름 사용하는데, 신랑왈.. 직장구하려고 이력서 낼때 영어이름 사용하는게 조금 더 유리한 것같다고 했어요.

  • 12. 저희
    '13.12.5 10:49 PM (99.226.xxx.54)

    아이들은 학교에서 세례명을 영어 이름으로 쓰고 있어요.
    각종 서류,성적표에는 법적이름인 한국이름으로 표기되어 나오구요.입학서류 쓸때 official name과 preferred name을 표기하는 란이 있더라구요.교직원에게 물어보니 워낙 이민자도 많고 어려운 이름도 많아서 어떤 애들은 middle name을,어떤 애들은 애칭을 preferred name으로 쓰는등 다양하다고 설명하더군요.

  • 13. xiaoyu
    '13.12.5 11:17 PM (211.216.xxx.229)

    제 생각도 발음하기 쉬운 한국이름이 제일 좋은 거 같아요. 참고로 서양애들은 오히려 동양인이 너무 서양적인 이름을 쓸 경우 약간 괴리감을 느낀다고 하더라구요(친구 얘기가. 그게 옳다 그르다를 떠나서)

  • 14. ㅇㅇ
    '13.12.6 1:47 AM (189.124.xxx.108)

    외국이름은 정해져있잖아요
    톰 존 리차드 .. 뭐 이렇게
    그래서 들으면 어떻게 쓰는지 아는데
    외국이름은 발음이나 어떻게 쓰는지를 꼭 물어봐서 불편할때가 있어요.
    길가다 그냥 눈마주친 사람도 애 이름이 뭐냐고 묻는데 일일이 뭐라고 알아들을때까지 말해주기 지쳐서 저희는 여기이름 한국이름 성.. 이렇게 출생신고 했어요. 리차드 영수 김 뭐 이런식.
    근데 어떤 사람들은 기대 (?)하고 물어봤는데 자기네들 이름이라 실망하는 기색을 보이기도 하네요 ㅋ

  • 15. hoon
    '13.12.6 12:08 PM (60.242.xxx.224)

    저는 그냥 무난하게 영어 이름 만들어 쓰시는 거 추천해요,
    가끔은 우리가 모르는 슬랭 같은 거랑 한국 이름이랑 겹치는 경우가 있어요.
    아드님 이름도 hoon 이 제가 사는 호주서는 좀 안 좋은 의미로 쓰이는 단어인지라.

    아이에게 오히려 안 좋을 수 있어요. 외국인으로서 우리가 영어는 알지만
    가끔 속세적으로 쓰는 단어들은 다 알 수 있는게 아니라서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2029 차에 눈이 엄청 쌓였네요. 눈 치워야겠죠? 8 고민 2013/12/12 1,207
332028 카페 글 캡쳐 못했는데 신고 가능한가요? ^^* 2013/12/12 661
332027 새누리와 정부에서 부정선거 의혹에 관해 한 번이라도 해명한 적 1 솔직히 2013/12/12 595
332026 아들의 입영통지서 10 무아 2013/12/12 1,865
332025 이 오리털 패딩 어떤가요? 11 봐주세요 2013/12/12 2,544
332024 장터 중고 옷값 40 우리가 봉이.. 2013/12/12 4,875
332023 코트 소매가 어디까지 와야 맞는걸까요? 5 5cm만컸어.. 2013/12/12 1,386
332022 초등 1학년 눈썰매장 가는데 고글 꼭 가져가야할 필수품인가요? 5 눈썰매장 2013/12/12 807
332021 도어락 쓰시는분들 어떤거 쓰세요? 4 기계치 2013/12/12 1,352
332020 볼만한 주간지 추천 좀 해 주세요 1 요즘 2013/12/12 892
332019 카시오 전자사전 5 일본어 2013/12/12 1,077
332018 우리 아기 말이 빠른 건가요? 14 아가야 2013/12/12 2,230
332017 눈 아주 안좋은 노인 분들이 읽을 수 있는 성경책 추천 부탁드립.. 2 사랑 2013/12/12 809
332016 국정원의 자체개혁안. 국민에게 큰 웃음을 주려는걸까? 1 세우실 2013/12/12 696
332015 아파트 씽크대 공사 여쭤보아요 4 조심스레~ 2013/12/12 2,005
332014 8살 버스비나 지하철료, 목욕탕비 1월부터 제값 주고 내야 하죠.. 3 ... 2013/12/12 1,115
332013 단어 줄여서 쓰는거 짜증나지 않으세요 남대문-남댐 18 ^^* 2013/12/12 1,623
332012 겨울방학때 이사와 아이들 전학문제 ... 2013/12/12 1,162
332011 아이스크림홈런에 대해서 1 두아이맘 2013/12/12 1,364
332010 고학년 남자애들 부츠 뭐 신나요? 2 신발 2013/12/12 774
332009 일산인데 하늘이 샛누렇네요 9 ㅇㅇ 2013/12/12 1,911
332008 꾹꾹 참고.. 직장 다니면 언젠가는 더 좋은날 오겠죠? 6 워킹맘 2013/12/12 1,246
332007 저희도 아직 난방 안해요. (전기장판도 안켜고 있음) 19 겨울 2013/12/12 4,180
332006 이마트 마누카꿀 괜찮을까요 2 2013/12/12 2,132
332005 '두개의 냉전, 박근혜정부가 끝내야' 美허핑턴포스트 세우실 2013/12/12 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