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옛날에는 다자녀라 도시락 싸기 힘들었을 것 같아요

ㅇㅇ 조회수 : 2,189
작성일 : 2013-12-05 14:44:16

3~4남매는 기본이고 
많으면 6~7명까지도 자녀들이 있었는데 
시부모 모시고 살면서
아침밥 하고 
아이들 도시락 까지 싸려면 
그것도 엄청난 노동이었겠단 생각이 들어요.
밥은 최소 10~15인분에 
계란말이를 하려고 해도 하루에 반판 가까이는 썼을 것이며 
거의 급식을 방불케하는 대용량 음식을 만들었어야 했을텐데.. 
밥에 김치랑 햄이나 계란만 싸는데도 진이 쭉빠지지 않았을까요? 
심지어 아이들 귀가하면 도시락통 설거지하고 저녁만들고.. 
저는 하라면 못할듯.. 





IP : 175.210.xxx.67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12.5 2:48 PM (58.236.xxx.74)

    저희엄마는 운동 좋아하시고 교회활동 열심히 하시고, 사교 모임 등등등에 모든 에너지를 다 부으셨어요.
    대신 앉아서 오밀조밀 손 쓰는 거 자체를 싫어하셨어요,
    다자녀라서가 아니라 도시락이 적성에 안 맞고 성의가 없으셨어요, 그래도 다른 장점이 많으시니 그냥 뭐.

  • 2. 아휴..
    '13.12.5 2:48 PM (121.147.xxx.224)

    아주 옛날도 아니고 한 30년 전에도 그랬어요.
    저희 집이 삼남맨데 언니오빠 고등학생 때 점심 저녁까지 도시락 싸니까
    아침마다 엄마가 언니 두개 오빠 두개 저 한개 엄마도 직장에서 도시락 드셔서 엄마도 한개,
    이렇게 여섯개 도시락을 죽 늘어놓고 착착착 밥 담고 착착착 반찬 두세개 담고 그러셨던 기억이 나요.
    저는 맨 마지막 도시락이라 맛있는 반찬 좀 부족하면 언니오빠는 반찬 세개 저는 두개, 막 이랬죠 ㅎㅎㅎ
    그 시절엔 몰랐는데 이렇게 나이들어보니 우리 엄마 어떻게 맨 정신으로 아침시간 보내고 출근하셨었나 싶어요.

  • 3. ^^
    '13.12.5 2:49 PM (110.12.xxx.87) - 삭제된댓글

    저도 가끔 그런 생각들어요.. 도시락 싸는거, 정말 힘들었을거 같아요.. 야자까지 하면 점심에 저녁 도시락까지.. 와우~

  • 4. 전국의
    '13.12.5 2:52 PM (112.151.xxx.81)

    어머님들을 도시락으로부터 해방시켜드린게 김대중대통령님때죠? ㅋㅋㅋ 아닌가요?!

  • 5. ...
    '13.12.5 2:53 PM (115.136.xxx.62)

    옛날 여성들, 얼마나 힘들었을까요.저라면 어찌 살아냈을지.
    저희 엄마, 30년 넘게 직장생활 하시면서 저희 형제 둘 도시락 4개씩 꼬박 신경써 싸주신 것 생각하니 새삼 고맙네요..

  • 6. ..
    '13.12.5 3:01 PM (183.101.xxx.210)

    많이 힘드셨을겁니다.
    지금처럼 슈퍼가 많길하나 인스턴트 반찬거리가 많길하나..
    중노동이셨지요.

  • 7. 먀자요.
    '13.12.5 3:04 PM (72.213.xxx.130)

    고딩땐 두개씩 쌌는데 같은 반찬 며칠 계속 올라오믄 막 승질냈던 기억이 ㅠㅠ 엄마, 미안~ 내가 미쳤었나봐;;;;;;

  • 8. ㅁㅁ
    '13.12.5 3:07 PM (112.151.xxx.165)

    저희엄마도 많을때는 도시락을 여섯개 싸셨어요 .. 맛은 별로없었지만
    싸주신것만으로도 고맙게 생각합니다 초등학교때 화려하게 반찬싸오는애들땜에 스트레스 받았었지만 병약한몸. 빠듯한살림속에 항상 애쓰시던 엄마를 생각하면 눈물나고 나는 죽어도 못할꺼란 생각이 드네요

  • 9. 어떻게 하셨는지...
    '13.12.5 3:08 PM (144.59.xxx.226)

    까칠한 딸년 때문에 새벽부터 도시락 싸야 했던 울엄마!
    70년대초반에는 학교 가려고 버스를 타면, 버스 차장 언니들 있을 때 입니다.
    이시대에 버스타고 통학했던 님들은 기억할거에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버스에 실려서 통학을 하고, 통근을 했는지....

    그 많은 사람들속에서 어깨끼고 숨소리 듣고 맞기 싫어서,
    새벽 일찍이 등교 한다고 난리 쳤던 까칠한 딸,
    학교 가면 전교 1등 아니면 2등이였던 까칠한 딸,
    그때문에 도시락 2개를 준비해야 했지요.
    학교 가자마자 아침 도시락 먹고! 또 한개는 점심!
    그와중에 아침반찬, 점심 반찬 다르게 해주었으니,
    그당시는 당연하다고 생각했지만, 지금 생각하면 ㅠㅠ
    그러니 시어머니때문에 맘고생은 안했어도,
    까탈스러운 딸년때문에 고생했다는 말씀!
    훗~~ 가끔 하셨네요.

    너, 이뿌다, 사랑하다, 등....이런 간지러운 말은 없었어도,
    이런 마음이 없으면 절대 할 수 없었던 6년간의 두개의 도시락이였네요

  • 10. 입력
    '13.12.5 3:31 PM (123.109.xxx.66)

    계란말이 아니고 계란후라이만 싸와도 부잣집이었어요
    대부분 김치, 깍두기 반찬
    멸치볶음이나 오뎅볶음 많았고
    요즘처럼 예쁘게 가지가지 아니에요
    밥만 싸오면 다행.
    보리밥싸오라그래서 콩, 보리 친구꺼 얻어 검사받고 그랬네요

  • 11. 댓글에...
    '13.12.5 3:36 PM (59.0.xxx.231)

    맞아요...김대중 대통령께서 학교 급식....^^;;;

  • 12. 도시락
    '13.12.5 4:27 PM (182.212.xxx.51)

    제 나이 41살인데 4형제 초등 3학년부터 일주일에 한두번씩 쌌던거 기억나요. 고학년되고 부터는 매일 4개씩 도시락을 싸셨는데 저희집 정말 가난했거든요. 단칸방에서 6식구 살았고, 부엌도 정말 협소해서 연탄과 난로로 식사 준비하셨어요.

    가난함에도 저희 엄마는 예쁘게 모양내고 그렇게는 못싸주셨고, 계란말이,분홍소세지,어묵볶음,김,오징어채묶음 같은 마른반찬 위주로 싸주셨어요. 중학교 올라가서는 반찬 2-3개 해서 마른반찬과 김,김치볶음 정도 같이 싸주셨구요. 그냥 김치만은 단 한번도 싸주신적이 없네요. 생각해보니...

    겨울에는 보온도시락에 물끓여서 밑에 넣고, 국과 반찬 같이 싸주셨네요. 생각해보니, 그 좁은 부엌에서 아침 식사준비와 도시락 4개까지 전부 가스렌지 3-4개 사용해도 힘든 일을 연탄불과 석유난로만으로 하신거 참 대단하시네요. 그당시에 전기밥통도 보온만 되는거라 아침일찍 일어나 밥도 하셨던거 같아요.

    아침도 단 한번 거르지않고 꼭 국,찌개,반찬 차려서 주시고, 고등학교때는 야자까지 해서 하루에 도시락 7-8개씩 싸셨네요. 저희 4남매가 거의 연년생이라 중.고등학교 겹치곤 했거든요.

    오빠는 재수해서 도시락 2개씩 싸가던때 동생들과 저 고등생,중학교.. 정말 매일 매일 그 많은 도시락을 아침에 어떻게 하셨을까
    소풍날은 김밥을 또 얼마나 예쁘게 말아주셨나 몰라요. 같은날 다같이도 아니고 4형제가 날짜가 틀린날 엄마가 새벽에 일어나 김밥싸시던거 생각나네요.

    막내 고등학교 졸업하던때 몇년을 싸던 도시락 해방이라고 하시던거 생각납니다.
    제가 회사 취직하고 부서여직원들끼리 도시락 먹기로 했다고 도시락 싸달라 했을때 1년을 싸주셨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엄마한테 참 미안하네요.

    회사가 멀어서 아침 6시30분에 집에서 나왔는데 그전에 도시락 싸놓으시고, 아침상 매일 차려주셨어요.
    지금 아이가 둘인데 급식없이 매일 도시락 싸야 한다면 아~~~ 할 수 있을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1545 대불련 총동문회장, 시국선언 비판 성명 책임지고 사퇴 2 참맛 2013/12/11 943
331544 50대 남자옷 어디서 사나요? 1 남편옷 2013/12/11 2,806
331543 혹시 허벌라이프제품 자세히 아는분요 1 2013/12/11 1,019
331542 친척이 하는 치과경우 어느 정도 할인받나요? 17 궁금 2013/12/11 2,235
331541 흔한 노린자 분리기 1 ououpo.. 2013/12/11 541
331540 휴대폰은요? 정보^^ 2013/12/11 468
331539 CGV에 개봉하는지 전화해봤어요 13 변호인 2013/12/11 2,431
331538 지나친 업무 강도…"내가 자리 비우면 남이 떠안.. 익명 2013/12/11 598
331537 김치양념 김냉에 보관해도 내년여름까지 괜찮을까요 10 쭈니 2013/12/11 2,728
331536 운암호근처 매운탕집 찾아요 3 전주분들께 2013/12/11 979
331535 "고양이가 사람을 보고 도망가는 나라는 한국뿐".. 8 ~ 2013/12/11 2,063
331534 머리속에 생각만 무지 많고 막상 실천은 안해요 1 ㅠㅠ 2013/12/11 701
331533 성당 새신자 과정 질문해요~~ 2 bloom 2013/12/11 1,118
331532 불곰국 위성이 촬영한 지구 1 우꼬살자 2013/12/11 670
331531 교학사 친일·독재 더욱 미화…교육부는 묵인 후 최종 승인 4 세우실 2013/12/11 627
331530 망사 커튼 하나로 1년 내내 버티는 분 안계신가요? 2 ㅁㅁ 2013/12/11 1,062
331529 오늘 서울역에서 민영화 촛불대회 있네요 1 푸르른v 2013/12/11 546
331528 김치 먹고 무청만 한가득 남았어요. 8 밥도둑이자냐.. 2013/12/11 1,916
331527 늘푸른영농조합에서 절인 배추 구입 후 황당함 2 2013/12/11 1,762
331526 쌍화차에 우유타먹으니 맛있네요 9 눈이다 2013/12/11 1,793
331525 82선생님, 이 문장 한개만 보주셔요 5 ^^ 2013/12/11 630
331524 원두커피 내려먹는거 좋아하시는 분~!! 쿠쿠쿠쿡 2013/12/11 1,165
331523 너무 마른 남자 2 뭘 먹어야하.. 2013/12/11 1,187
331522 밥 지어본 느낌으로는 물 많은게 적은것보다 낫네요 3 ㅇㅇ 2013/12/11 1,263
331521 김지수은 왜ㅠ한혜진을 싫어하나요? 26 ... 2013/12/11 13,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