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계획과 부모의 경제적 의무는 어디까지일까요?
- 1. ㅇㅍ'13.12.1 9:14 PM (203.152.xxx.219)- 저도 원글님하고 비슷한 생각이였으나 자식낳고 세상 살아보니 대학 등록금을 아이한테 짐지우는것은 
 너무 가혹합니다. 아이가 장학금받고 한단계 낮은 대학간거면 그것도 나름 부모로서 못할 짓이고요..
 어쨋든 현실적으로 대학 졸업할때까지의 등록금까진 의무라고 생각해요. 그 이후엔 본인이
 헤쳐나가야죠.. 혼수도 뭐 해줄수 있음 조금은 보태줄 생각입니다. 저희 아이는 이제 고3 될거예요.
 저도 이렇게 생각한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 2. ooo'13.12.1 9:14 PM (175.195.xxx.42)- 전 대학등록금 전세금까지는 줄 생각이예요 그네들이 살아갈 세상에 출발부터 뒤지면 너무 뒤쳐질 것 같아서요 학자금 다 갚고 전세빚 다 갚고 뭐하고 뭐하고 죽을때까지 빚만 갚는것 보고 싶진 않아요 글서 열심히 모으는 중이예요 노후대비까지 하려면 열심히 모아야죠 
- 3. 음'13.12.1 9:15 PM (58.236.xxx.74)- 남친이 책임감이 너무 강해서 그런걸 거예요. 님은 님이 잘 헤쳐왔으니 자신만만한거고. 
 근데 대학등록금까지는 부모가 해줘야 하지 않을까요 ? 학비 벌거나 갚는거 전 힘들더라고요.
- 4. ㅎㅎ'13.12.1 9:16 PM (77.2.xxx.206)- 이건 솔직히 개개인의 생각일뿐이니.. 
 내가옳다 니가틀리다 이런건 절대 아닌거 아시죠. 그냥 다른거죠
 물론 부부라면 가치관이 통일되야겠지만(그래야 잘사니깐요)...
 전 개인적으로 원글님 남친분이랑 생각똑같아요
 저와 남편.. 친구들 많지만... 그 누구도 학자금대출같은거 몰라요
 등록금은 당연히 부모님이 내주셨고 장가가는경우 집 전세는 당연히.. 사주는건 자유..
 그렇지만 다들 지극히 중산층이고 사는거 팍팍해요
 저와 제남편은 남친분 의견과 똑같습니다
 저희부부도 양가에 받을 유산이 있으니 그거 감안해서 둘째 가졌어요.
- 5. ...'13.12.1 9:18 PM (175.119.xxx.199)- 전 남친쪽에 한표. 전세자금까지야 어떻게 없으면 못해줄수도 있지만 대학등록비는 해줘야 하지 않나요. 남친분 말처럼 글쓴이님은 물론 힘드셨겠지만 직장 잡으셔서 대출을 잘 상환하신 경우고 ( 어쨋든 취직하셔서 잘 풀리신 경운거죠) 그게 말처럼 쉬운게 아니잖아요. 물론 자립 참 말은 좋지만 그게 우리 한국사회에서 쉬운게 아니잖아요. 뭐 다 떠나서 내 욕심으로 자식을 낳았으면 최소한 공부는 시켜줘야 한다고 봐요. 
- 6. ...'13.12.1 9:23 PM (118.222.xxx.122)- ㅋ ㅋ 결혼도 안했고 애도 안낳았고 애가 대학갈지도 모르는걸 가지고 싸우다니.. 
 결혼 그남자랑 확실히 할지도 모르고
 둘다 그때까지 살지도 모르는거고
 불임일수도 있고 애가 가출할수도 있는걸
 복권 당첨되면 뭐할까
 고민하는 사람들만큼 한심
- 7. o익명'13.12.1 9:34 PM (175.117.xxx.103)- 저도 그래서 한명만 낳았어요. 혼자 노는게 안쓰럽고 미안하지만 둘 키우면 저희 노후대책이 안될거같아서요. 6살이고 일반 유치원다니고 미술심리 일주일에 하나 다니는데 한달에 원비만 65만원예요 ㅠㅠ 아이가 원해서 나온게 아니잖아요. 그리고 솔직히 우리나라같이 각박하고 경쟁이 치열한 나라에서 태어나게 한 것도 아이에게 미안하구요. 적어도 대학학비랑 결혼할때 전세금 정도는 해 줄 생각이예요. 저희도 양가에 그렇게 받았고 사실 그정도 받아도 노후 생각하면 깜깜하기는 하거든요 ㅠㅠ 
- 8. 저희부부'13.12.1 10:16 PM (221.139.xxx.56)- 도 아이 공부마치는것과 (대학이든 대학원이든) 전세금 까지는 계획하고있어요 저희는 단칸방에서 시작했지만 아이는 좀 수월하게 갔으면하는 바램입니다 둘까지는 힘에 붙일것같아 하나만 낳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