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식이 비효율적이라 생각하는 점이

ㅇㅇ 조회수 : 2,666
작성일 : 2013-11-25 21:28:13

한때 잠깐 고깃집 알바했는데요
한식집도 다르지 않을거라 생각해요

반찬 가짓수가 너무 많고 
그만큼 설거지거리가 너무 많이 나와요. 
그만큼 인건비면에서 불리하고 
버려지는 음식쓰레기 양 등 

다른 나라의 음식이 어떤 지 자세히는 모르지만 한식과는 달리 한그릇 요리가 많은 듯 한 느낌이 들고 
이런 점 때문에 가짓수가 많은 한식은 비슷한 재료를 쓰더라도 가격경쟁에서 불리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정말 고깃집 알바할때 그릇 치우는게 너무 힘들어서 한식이란거 참 비효율의 극치구나 하는 생각 여러번 했어요. 



IP : 175.210.xxx.67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1.25 9:30 PM (1.247.xxx.201)

    정작 음식을 해보면 중식이나 양식이나 다 귀찮아요.
    그게 한그릇에 담아서 설거지를 줄이느냐 마느냐지
    요리를 한번 시작하면 재료손질부터 요리과정은 다 비슷해요.

  • 2. 요즘은
    '13.11.25 9:31 PM (223.62.xxx.27)

    식기세척기 있잖아요
    전 한식 좋아요
    어릴때는 하루에 한끼는 양식 먹을만큼
    양식 특히 이탈리안 음식 좋아했는데
    나이든 요즘은 한식만큼 정갈하고 맛있는
    음식 없는것 같아요

  • 3. 제 생각에
    '13.11.25 9:32 PM (223.62.xxx.71)

    옛날에 먹고 살기 힘들고 식재료도 푸성귀말곤 부족하니
    풀떼기 하나로 장아찌 만들고 김치담고 데치고 볶고 무치고 해서 여러 그릇에 나눠 담으면 풍족하게 먹는 것 같아 그렇게 먹어버릇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해요.

    저녁 때 거하고 굽고 지지고 끓여서 한 상 차릴 땐 식구들 배가 볼록볼록 나오더니
    요새 간단히 과일 샐러드 고구마 떡 이런 걸로 먹으니까 살이 빠지긴 하네요.

  • 4. ㅓㅏ
    '13.11.25 9:39 PM (112.161.xxx.224)

    외국살던 친구가 그런말 하더라구요.
    한국 주부가 제일 힘들다고..
    반찬 하나 하는데도 씻고 삶고 볶고 양념하고 복잡한데
    양식은 한끼니가 반찬하나 하기보다 쉽다고요.
    맞는 말 같아요.

  • 5. 근데..
    '13.11.25 9:52 PM (121.181.xxx.203)

    먹는재미가 있어요..반찬종류 여러개.......
    요샌 김치도 그리맛있고..
    한식 좋아요..조금 짜다는 단점이 있긴하지만..^^

  • 6. 저는요
    '13.11.25 10:00 PM (176.199.xxx.160)

    가장 좋은 점은 시간이 없을 때
    미리 만들어 놓은 반찬을 냉장고에서 꺼네서 데펴먹으면 된다는 거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중국요리나 서양요리는 그 때 그 때 즉석에서 요리해서 먹지 않나요?
    그래서 영양소 파괴가 적을 거 같아요.

    한국음식은 주로 나물이나 밑반찬 냉장고에 몇일 씩 두고 먹으니
    영양소가 조금씩 없어지고요.

  • 7. ....
    '13.11.25 10:59 PM (58.238.xxx.208)

    전 오늘 간만에 서양식으로 아스파라거스 요리하다가 너무 지쳤어요 ㅠ.ㅠ
    아스파라거스 껍질 다 벗기고 계란 삶고 햄 자르고...음??
    그러고 보니 소스를 만들 생크림을 안사왔네요 ㅠ.ㅠ 생크림을 사러 갈까 말까...
    그냥 우유를 졸여보기로 해요....그 사이 삶은 계란을 까요.
    앗! 우유가 넘치네요 ㅠ.ㅠ 불에서 내려놓고 큰 냄비로 일단 옮겨놓고...식으면
    다 말라붙을 거 같아서 설거지를 해요. 어휴...우유가 엉겨붙은 스텐냄비란 참...
    그지같더군요 ㅠ.ㅠ 이쯤에선 정말 폭발 직전...우유 비릿내에...엉겨붙은 건 왜
    그렇게 안떨어지는지. 한그릇 음식인데 만들다 정말 지쳤어요. 처음 만드는 것도
    아닌데, 좀 오랫만이긴 했고 재료도 부족했지만 그래도...정말 짜증이 솟구쳐서!!

    한식도 한식 나름이고 양식도 정말 양식 나름이에요. ㅠ.ㅠ

  • 8. ㅣㅣㅣㅣ
    '13.11.25 11:14 PM (115.136.xxx.86)

    일반적으로 보통의 사람들이 평상시 늘 해먹는, 데일리 푸드로 비교하는 게 적당하지 않을까요.
    서양식은 보통 아침엔 씨리얼팩 식탁 위에 올려놓고 대부분 간단히 먹고, 점심은 직장에서 주로 샌드위치 많이 먹고, 저녁에 파스타(일일이 토마토 으깨고 해산물 사서 씻고 다듬고 거의 안하던데)... 그냥 면 삶고 시판 소스 얹어 먹고 샐러드 곁들이고.. 아니면 각종 채소 깍둑 썰어 후추 뿌리고 오븐행..
    한식보다는 간단하다 여겨집니다.

  • 9. jaechun
    '13.11.26 8:47 AM (67.129.xxx.14)

    다들 맞는말씀 들이신데 원글님 질문에는 좀 비껴간 글들 뿐이네요.

    한식 = 가격면 노동면 시간소비면 음식물 낭비면에서 (다른 나라음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효율적

    맞습니다.

    안먹는데 나오는 음식 많아요.

    여러가지 준비하는데 들이는 시간 많이 들어요.

    안 먹고 냉장고 갔다 쓰레기통행 많아요.

    지금은 많이 나아졌지만 전통한식 음식만봐도 전통적으로 과함이 있죠.

    식당에서 일도 해보고 다녀도 봤지만 판이하게 달라요.

    나오는 그릇수 그에 따른 음식물과 인력소모등등.

  • 10. jaechun
    '13.11.26 8:54 AM (67.129.xxx.14)

    한마디 더하자면 식당 가격 경쟁에서 불리해지는것도 당연하다는 것.

    일단 다른 나라 음식점에서는 필요없는 반찬 아줌마가 필요하고

    그릇이 많이 필요하니 서버와 그릇 닦이도 배로 들고

    설마 버릴지언정 허접하게 나오면 컴플레인부터 들어오니 가게에

    존망이 걸린문제라 과하게 준비하게되고 또 그만큼 버리고....

    음식 자체의 호불호나 우월성을 떠나서 효율만을 따지자면

    원글님말씀대로 가히 최악이지 싶네요. ㅋㅋ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2719 미국인 사위의 인사.. 7 문화의 차이.. 2013/12/14 2,806
332718 전교1등 아이 컨닝하다 걸렸대요 9 ... 2013/12/14 7,932
332717 과외나 학습지 선생님들 시간잘 지키시나요? 12 시간 2013/12/14 2,149
332716 명동에 중학생들이 좋아할만한 팬시점같은 곳 있을까요? 9 외국여학생들.. 2013/12/14 1,159
332715 큰 실수한 것 같아요 2 실수 2013/12/14 2,586
332714 뉴발란스 보라색 파카 좀 봐주세요. 8 ..... 2013/12/14 1,988
332713 의료제도 바로세우기 궐기대회 동참 부탁드려요 3 의사여러분 2013/12/14 667
332712 미레나 부작용? 4 유정 2013/12/14 3,200
332711 월세계약할때 복비 언제 부동산에 드려야 할까요? 3 아파트 2013/12/14 2,396
332710 휴일인데 알바들이 저리 날띠는걸 보니 12 알바 2013/12/14 1,523
332709 오늘 1호선 노약자석에 타신 할머님들 고맙습니다. 고마운이. 2013/12/14 1,387
332708 175.223.xxx.4 님 글 지우셨나요? 24 아니... 2013/12/14 1,619
332707 김치냉장고에 보관한 갈비... 3 aaa 2013/12/14 1,133
332706 여기 통진당 알바들 설치는거 진짜 꼴보기 싫어요 35 짜증 2013/12/14 1,484
332705 과외비 어느정도면 될까요... 7 러블리 2013/12/14 2,369
332704 점심으로 짜장면이 먹고싶은데요 2 ㅎㅎ 2013/12/14 1,219
332703 갑상선기능검사 결과 "미세소체 항체&qu.. 갑상선 기능.. 2013/12/14 4,496
332702 마트로 돌진한 승용차... 만1세 아기 부상. 1 ........ 2013/12/14 1,537
332701 군제대 뒤에... 희망을 가지긴 힘들겠죠? 2 그레인키 2013/12/14 886
332700 대구대, 부산대 대자보들도 떴네요! 4 참맛 2013/12/14 1,619
332699 국영수는 잘해도, 기본 상식은 잘 모르는 딸을 보면 16 이과생엄마 2013/12/14 3,630
332698 내년 7세되는 남아 데리고 해외여행 가는거 말이에요. 18 고민 2013/12/14 2,251
332697 요즘 돌잔치 부조 얼마나 하나요? 6 2013/12/14 2,506
332696 이번 북 장성택 사건에서 완전 배꼽쥐는 코메디 장면 ㅋㅋㅋ 6 호박덩쿨 2013/12/14 3,291
332695 저 어쩌면 좋을까요.. 3 하늘바라기2.. 2013/12/14 1,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