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1 공부 뭐가 문제일까요?

여름 조회수 : 2,023
작성일 : 2013-07-11 08:15:31
어제 기말이 끝나고 멘탈붕괴...
기말고사... 
수학을 제외한 국어,영어,사회,과학... 70점대로 추락. 
한달전부터 기말 준비한다고 열심히?한 듯 합니다만 
주요과목 점수를 보니 이건 아니다 싶네요. 
중간고사때는 수학,과학은 다 맞고 영어,사회 90 점대 ,
국어는 좀 못봐서 평균을 다 깍아먹었죠. 국어가 많이 헷갈리다고 본인이 말하더라구요.

성실하고 아직은 저와 소통이 되구요. 스스로 욕심도 많고 뭐 그렇습니다만  
공부하는데 뭐가 문제인지 정말 모르겠습니다. 
자습서 읽고 교과서 보고 평가문제집 풀고, 사회은 한끝,과학은 오투도 추가해서 풀었어요. 
단지 좀 중간고사때는 제가 국, 사,과 좀 서포트 해주긴 했습니다만... 
영어도 소규모 학원? 에서 교과서 지문 외우고 확인하고 문제집 플고 ,  
수학,영어는 평상시에 늘 하는 거라 크케 따로 공부시키진 않구요. 
강남 인강 필요한거 듣게하고.. 
단지 공부 방법을 몰라서 그러는 걸까요? 
아니면 건성건성 공부해서 그러는 걸까요? 
안하고 놀기라도 했으면 혼도 내고 할텐데 
그것도 아니니 뭐라 하지도 못하겠고 
시험보고 물어보면 늘 다 쉬웠다고만 합니다. 
덤벙대고 급한 성격 이지만  
한두문제 틀린거면 덤벙대서  그렇다 하겠지만 이건 단순히 그런 점수는 아닌거 같네요. 
본인도 많아 놀랜 눈치이고..
조언 좀 해주세요. 공부방법도 좀 공유 부탁해요 

IP : 116.32.xxx.66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쌤세미
    '13.7.11 8:18 AM (182.218.xxx.185)

    정서 안정과 인내력이 부족해서일꺼에요..그리고 공부 요령을 잘 몰라서 그런걸거에요...
    여기에도 정보가 많으니 참고 바래요...http://cafe.naver.com/healthymind21

  • 2. ///
    '13.7.11 8:20 AM (115.126.xxx.100)

    저희 아이 중학생때 생각나네요.
    정말 문제집 많이 풀고 열심히 했는데
    늘 시험은 80점대..
    문제는 교과서와 선생님이 나눠주시는 프린트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거였습니다.
    학교시험은 우리 학교선생님이 제출하시죠.
    문제집 많이 푸는 것보다, 인강 듣는 것보다 우리 선생님이 수업시간에 중요하다고 한 것이 중요합니다.
    그걸 놓치면 늘 어중간한 점수대에 머물러있어요.
    일단은 교과서가 제일 중요하고, 그 다음 프린트물과 수업내용.
    그게 완전히 달달 외워진 다음에 문제집과 인강 등으로 보충하는 식으로 하시면 90점 이상 나와요.

  • 3. ...
    '13.7.11 8:22 AM (211.246.xxx.22)

    6월모의어땠나요?
    우리애도중1인데
    영어 1 수학2 국어 6 이예요
    어느 정도인지 가늠이 안되네요
    국어는 너무 못하는건 알겠는데...

  • 4. 중학교때 돌아보면
    '13.7.11 9:16 AM (112.151.xxx.163)

    공부를 더 많이 했다고 성적이 딱 잘나오고, 공부를 덜해도 의외로 잘나오는대가 있었는데 아이를 보면서는 그게 잘 안되네요. 울아이도 초 6인데 자기가 평소 좋아하는 과학에서 생태계 쪽 나오면 건성건성 하는듯해도 잘보고, 조금생소한쪽 나오면 공부를 꽤 한듯 해도 안나오고...

    중학교까지는 좀더 기대려줄 필요 있다고 하는데도 그게 잘 안되네요. 휴

    엊그젠 시험기간인데 공부하라하고 외출하고 다녀와보니 자기가 읽고싶은 책 읽고 있더라구요.

    평소 가치관대로라면 책읽기만큼 포괄적인선행이 어디있냐고? 하는 사람이 스팀이.....

    지금 책읽을때냐고 시험공부 해야지.... 하고 버럭~~ 했답니다.

  • 5. 시험잘보는 조카
    '13.7.11 9:19 AM (112.151.xxx.163)

    조카아이가 다른건 몰라도 시험에 있어서 실수를 거의 안하는편, 그리고 같이 공부하는 친구하고 비교해서 단한번도 뒤쳐진적이 없을만큼 잘봐서 무슨 비결인가? 궁금했어요.

    조카의 특징은 선생님수업위주의 유인물이나 프린터, 단원평가지, 기타등등 중요하다고 한부분을 위주로 공부하다보니 공부시간에 비해서 적어도 내신은 잘나오는듯 해요.

    저도 아이에게 늘 강조는 하는데 잘 안되는 이유.. 울아이가 글씨가 좀 엉망이고 노트정리 잘 못하고, 나눠준 시험지나 요점정리한거 내가 얘기안하면 그때그때 꺼내서 안보고, 집에 있는 문제집 위주로 하는 습관이 아직 있어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내신은 적어도 선생님이 내는거니 선생님이 중요시 여기는거 위주로 나오는 기본적인 이유때문인듯 해요.

  • 6. maxi
    '13.7.11 10:41 AM (124.63.xxx.17)

    교과서 보고 자습서 읽고 문제집 여러개 푼 우리 아이보다 교과서만 본 옆집 아이가 시험 점수가 훨~~좋았습니다.우리 아이가 점수가 낮았던 이유는 교과서나 자습서를 읽지만 꼭 알아야 할 개념을 완벽하게 익히지 않았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자긴 안다고 생각했으나 사실은 잘못 이해한 경우도 많았고 정말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깊이 파고들어야하는 내용이었는데도 슬쩍 넘어가버리고...이런 경우 문제집을 많이 풀어도 공부를 많이 하는 듯 보여도 성적은 생각보다 안 나오더군요.

  • 7. 동감
    '13.7.11 11:24 AM (119.207.xxx.52)

    위에 maxi님 말씀이 정답이에요
    비슷한 얘기인데,
    공부의 본질은
    "자기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별해서, 그 모르던 것을 자기것으로 만드는 과정"인데요
    이것을 [메타인지능력]이라고 IQ 보다 더 중요한 거라고 하더군요.
    공부를 다 했다고 하는데 물어보면 구멍이 많은 아이들,
    시험을 보고 어땠니 물어보면 다 쉬웠다고 말하는 아이들
    자기가 뭘 정확히 알고, 뭘 정확히는 모르는지 스스로 판별을 못하니 그냥 범위 전체를 똑같은 비중으로 공부하는 것이죠.
    이런 아이들은 메타인지능력이 낮다고 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공부법은,
    자기가 공부한 내용을 남에게 설명을 시키는 겁니다.
    따라서, 저학년때는 부모님이 하시면 되고 나중에는 과외가 효과적일 거에요.
    학원은 효과가 없어요.

    많이들 들어보셨겠지만 공부의 핵심을 말해주는 유명한 구절이 있죠.
    "세상에는 두 가지 종류의 지식이 있다.
    첫 번째는 내가 알고 있다는 느낌은 있는데 설명할 수는 없는 지식이고
    두 번째는 내가 알고 있다는 느낌뿐만 아니라 남들에게 설명할 수도 있는 지식이다.
    두 번째 지식만 진짜 지식이며 내가 쓸 수 있는 지식이다"

  • 8. 제제
    '13.7.11 11:33 AM (182.212.xxx.69)

    오오~~동감님 말씀 정말 공감이에요..
    어떤유명 자사고 애들이 그렇게 수업한대요.
    알고 있는것,풀이법을 칠판에 써서 친그들에게 설명하면서 공부한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한때 화이트보는 사서 세운집 주위에 있어요..

  • 9.
    '13.7.14 10:10 PM (49.1.xxx.81)

    저장해요...감사합니다

  • 10. 세아이맘
    '13.7.19 9:09 AM (175.115.xxx.239)

    공감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2727 라섹수술많이아픈가요? 10 걱정 2013/08/01 2,598
282726 목동 현대 식품관에서 반찬 사보신 분 계세요? 3 불량주부 2013/08/01 2,012
282725 옥수수만 먹으면 위가 아프고 토할것 같은데 7 그런 성분이.. 2013/08/01 2,968
282724 8월 1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1 세우실 2013/08/01 786
282723 제 인생은 질투와 화로 가득찬 것 같아요 9 ... 2013/08/01 3,368
282722 압력솥에 옥수수찔때 갈비찜하듯 하면 되나요? 4 휘슬러 2013/08/01 1,305
282721 평택 어느 동네가 살기 좋을까요? 6 이사 2013/08/01 4,459
282720 정말 시댁이랑 휴가 가는 사람이 많나요? 25 .. 2013/08/01 5,136
282719 뒷좌석이 베라크루즈 정도면서 연비는 좋은차 뭐가있을까요? (국산.. 5 차를 잘 아.. 2013/08/01 3,321
282718 음식물쓰레기처리비용 얼마나 나오셨나요? 3 1234 2013/08/01 1,148
282717 초6 영어학원첨가는 아인데요,문법공부에관한 4 질문좀 드려.. 2013/08/01 1,371
282716 효과보신 분들의 추천 부탁드립니다. 수능대박 2013/08/01 619
282715 옥수수에 검정 곰팡이가 ㅜㅜ 1 보관못한 옥.. 2013/08/01 1,418
282714 아랫글 "이거 진짜일까요" 오원춘 장기매매 어.. 덥다더워 2013/08/01 2,013
282713 개들 늙는다고 꼭 눈이 머는 건 아니죠? 19 2013/08/01 2,835
282712 네살, 젖먹이 애들 데리고 갈만한 가까운 서해 해수욕장 좀 알려.. 4 플리즈ㅠㅠ 2013/08/01 1,642
282711 성재기 자살 방조로 비난-알자지라 방송 한글자막 동영상 2 light7.. 2013/08/01 2,304
282710 설탕이 소화를 시켜주잖아요. 3 2013/08/01 1,801
282709 임신했는데 배를 따스하게 하는 방법 2 방법 2013/08/01 2,312
282708 직장 상사님이 주변에 괜찮은 여자 소개시켜달라 하시는데 고민이요.. 4 82쿡님들안.. 2013/08/01 2,277
282707 김치에 생강 안들어가도 될까요? 4 수퍼도 닫고.. 2013/08/01 1,680
282706 고현정이 왜 눈길을 끄는지 이제 알겠어요.. 29 --- 2013/08/01 19,755
282705 잠 못 이루시는 분들 많으신가요? 5 ... 2013/08/01 1,491
282704 오늘 설국열차 두 번 보았습니다 21 샬랄라 2013/08/01 6,921
282703 설국열차 미국에서도 개봉했나요? 1 봉준호퍈 2013/08/01 4,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