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독일어 vs 프랑스어, 어떤걸 배우는게 나을까요?

언어 조회수 : 16,056
작성일 : 2013-07-08 21:48:00

취미로 배우지만 추후에 사용할 목적도 있을 때요...(유럽권과 일을 많이 해요)

 

현재는 영어, 스페인어 할 줄 알아요... 참고로 스페인어 배웠던 건 프랑스어가 배우기 싫어서 배운 건데... 지금 스페인어를 꽤 하고 보니 프랑스어도 예전만큼 싫지는 않을 것 같긴 해요.

 

그런데 네덜란드어는 독일어와 많이 다른가요?

IP : 118.38.xxx.107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7.8 9:50 PM (58.231.xxx.141)

    유럽이면 무조건 독일어에요.
    네덜란드어는 독일어+영어/2 이런식이라는데 어디까지나 원어민 입장에서 하는 이야기고 외국인 입장에서는 완전히 다른 언어에요.
    진짜 진짜 초보일경우에만 좀 비슷한 단어가 있구나.. 이정도?

  • 2. 원글
    '13.7.8 9:52 PM (118.38.xxx.107)

    왜 독일언가요? 사실 전 유럽 좀 살았고 왔다갔다 하면서 일 하는데요...
    요즘 좀 시간이 나서 혹시 배워두면 나중에 유용할 걸 하나 더 배워두고 싶은 거거든요
    근데 프랑스어를 더 많이 쓰지 독일어는 많이 안 쓰는 것처럼 보였는데... 그렇지 않나요?

  • 3. ......
    '13.7.8 9:54 PM (58.231.xxx.141)

    프랑스어는 프랑스랑 벨기에 일부 지방...
    독일어는 독일, 스위스 일부, 오스트리아 뿐 아니라 동유럽 거의 대부분이 독일 경제권으로 넘어갔어요.
    세계적으로 봤을때 아프리카 국가들이 불어를 좀 쓰지 유럽만 놓고 보면 독일어가 갑이에요.

  • 4. 유럽 내에서는
    '13.7.8 9:56 PM (14.36.xxx.68)

    독일어가 더 쓸 일이 많죠.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에서 독일어 쓰고 동유럽에서도 독일어로 의사 소통 가능한 경우가 많거든요. 그런데 스페인어 배우셨다니 같은 로만스어 계통인 프랑스어가 더 접근은 쉬우실 것 같아요. 언어학 전공자들이 인도 유럽어 공부하는 순서가 그렇거든요. 스페인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 여기서 고전어로 들어갈 사람은 라틴어,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까지. 인도 유럽어 친족간이라 이런 순서로 배우면 비교적 다른 언어로 넘어가기가 쉬워요. 스페인어 사람들은 대개 불어도 잘 합니다. 대신 영어, 독일어는 힘들어하죠. 네덜란드어는 독일어와 비슷한 데가 많아요. 영어와 비슷한 데도 있고요.

  • 5. 원글
    '13.7.8 9:57 PM (118.38.xxx.107)

    독어가 나을 것 같네요, 결정했어요.
    감사합니다~

  • 6. ??
    '13.7.8 10:08 PM (99.234.xxx.135)

    근데 월드컵. 이나 무슨 국제적 인 행사할 때 꼭 이중언어할때보면 영어담에 불어로 방송하던데요.
    그 이유중의 한가지가 우리 애들아빠 아이들 불어학교 보내는 이유였죠.본인말은 영어담에 필요한건 불어랍니다.
    전 힘들다고 차라리 중국어가 대세가 아니냐고 했다가 본전도 못찾고...
    참고로 둘째가 불어하교 나와 대학1년 마치고 방학동안 일 을찾았는데 이중언어 가능자 조건에서 제일먼저 연락이와서 지금 신나서 돈 벌고 있네요.공항에서 ..여긴 미국입니다

  • 7. 레기나
    '13.7.8 10:10 PM (203.130.xxx.254)

    원래 과거 외교어는 프랑스어였어요 지금도 불어가 상류층의 언어이긴 해요 근데 경제적인 부분에서 독일이 점점 강화되니까 독어가 프랑스어보다 유럽에서 힘을 얻고 있는 상황인 거 같아요

  • 8. 원글
    '13.7.8 10:14 PM (118.38.xxx.107)

    네, 예전에 영어 이전에 공용어가 불어나 마찬가지였죠... 사실 지금도 미국인 상류층 가정에서는 제2외국어로 불어를 많이 가르치더라구요. 그래서 불어를 별로 안 좋아하지만 배워볼까 고려도 하긴 했는데...
    그래도 실사용이 많은 언어가 더 나은 것 같아서요. 미국 쪽은 갈 일이 없고 영어에 스페인어도 하니까 별로 신경 안 써도 될 것 같고, 좀 더 실용적인건 독어인 것 같긴 해요 생각해 보니

  • 9. 독어
    '13.7.8 10:17 PM (211.108.xxx.116)

    유럽에서도 독일어 붐이라고 뉴스 가끔 나와요.
    독어권도 더 넓습니다.

    단, 독어권에선 영어도 같이 쓰기도 하는데
    불어권은....막상 필요한 정보는 불어로만 되어있을 때 답답하더군요. 이래서 불어를 배우는구나...싶을 때 많음.

  • 10. 독어
    '13.7.8 10:19 PM (211.108.xxx.116)

    더치는 독어하시면 접근하기 쉬워요.

  • 11. 유럽내에서는
    '13.7.8 10:27 PM (14.36.xxx.68)

    그런데 원글님이 업무 때문에 필요하신 거라면 불어가 더 나으실 것 같기도 해요. 어차피 독일어 사용자들은 영어를 잘하고 인터내셔널하게 업무 처리할 때 상대방이 독일어를 할 줄 알아도 영어를 쓰려는 경향이 있어요. 이건 독일의 과거와도 관계된 상당히 복잡 미묘한 문제죠. 어떨 땐 자신이 독일인인 걸 눈에 띄지 않게 하려는 것도 느껴지고요. 그리고 EU 내에서 독일어의 입지라는 게 좀 애매하거든요. 사용자는 많은 편이지만 유럽 내에서 비독일어 사용자들이 독일어를 구사하는 경우는 잘 없어요.
    그리고 윗님 말씀대로 불어로만 접근 가능한 1차 정보들이 있어요. 영어로 번역 안 된...그런 걸 고려하면 원글님 입장에서는 불어 배우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12. 노랑별
    '13.7.8 10:55 PM (74.101.xxx.166)

    불어 쓰는 데가 더 많아요.
    프랑스가 식민지 만들어 놓은 데요.

  • 13. ---
    '13.7.8 11:08 PM (92.75.xxx.144)

    독어하세요. 독일이 유럽에서 갑인데. 프랑스는 기운지 꽤 됐죠.

  • 14. 이건
    '13.7.8 11:37 PM (218.50.xxx.30)

    딴얘기지만 남자건 여자건 독어 발음 너무 멋있어요. 불어는 그런 생각안들던데.

  • 15. 딴소리
    '13.7.8 11:38 PM (116.121.xxx.226)

    스페인어 하시라고 하려했더니 이미 하시는군요. 급 부러워진다는...

  • 16. 원글
    '13.7.8 11:45 PM (118.38.xxx.107)

    에고고... 독어로 맘 정했었는데 지금 들어와서 리플 보니 진짜 맘 흔들리네요
    사실 공부하는데 드는 품은 같을 것 같아요 어려우나 쉬우나... 결정을 못 하겠네요 ㅠ

  • 17. ...
    '13.7.8 11:48 PM (121.166.xxx.141)

    독일에서 유학했는데, 네덜란드어는 전혀 다르던데요? 스페인어-이태리어 처럼 쉽게 넘나들 수 있는 건 아닌듯요... 스페인어 하셨음 불어가 나을 듯한데... 전 갠적으로 불어가 훨씬 듣기좋아요. 독일어는 매우 논리적인 언어이긴 하나 소리는 영 매력없죠.

  • 18. ...
    '13.7.8 11:51 PM (121.166.xxx.141)

    그리고 독일이 유럽에서 갑이라는 건 쫌 아닌듯요... 독일은 그야말로 로컬한 느낌이 강해요. 불어가 여러모로 쓸모있을 거예요. 독일애들은 영어 다 잘해서 굳이 독어가 필요치도 않구요.

  • 19. 원글
    '13.7.8 11:53 PM (118.38.xxx.107)

    근데 어느 쪽이 더 배우기 쉽냐-는 건 전혀 고려 대상이 아니라서요.
    그저 시간 있는 김에 배워두면 그래도 나중에 어떤 게 더 쓸모가 있을까. 이게 가장 큰 고려 사항이에요

  • 20. ..
    '13.7.9 12:22 AM (119.69.xxx.103)

    둘다 하세요~ㅎㅎ
    그럴수 있는 능력있는분 같아보여서요~

  • 21. francais
    '13.7.9 1:47 AM (67.40.xxx.49)

    스페인어 하신다니 불어가 훨씬 쉬울 것 같네요. 독일어와 불어 다 배워본 입장에서 말하면 처음에는 불어가 훨씬 쉽게 느껴지실 거에요. 대학에서 초급불어 6개월배우고 초급독일어 6개월 배웠을때 할 줄 아는 말이 불어가 훨씬 많았어요. 독일어는 처음에 문법 배우는게 아주 많아서 초기에는 할 줄 아는 말이 별로 없었어요. 그리고 네덜란드어는 독일어랑 영어랑 반반 섞어놓은 것 같은 것 맞아요. 기차에서 저 사람 독일어하나보다 하고 해서 들어보면 가끔 영어단어도 나오고 그럼 네덜란드어더라고요. 그런데 잘 알아듣지는 못하겠지만 네덜란드어 글로 써있는 것을 보면 해독이 대충 가능해요. 네덜란드어가 영어보다는 독일어에 조금 더 가까운 것 같아요. 저는 그냥 취미로 독일어 c1 레벨까지 배웠는데요 정말 쓸데는 없어요. 독일 여행가면 영어 대신 독일어로 소통하는 것과 독일의 지인들과 독일어로 편지 쓰는 것 등등.

  • 22. 독일사람들
    '13.7.9 9:40 AM (110.9.xxx.91)

    영어를 너무 잘 해서 독일어 배울 필요 없다던데요.
    러시아는 상류층이 독일어를 너무 잘 해서 러시아어 배울 필요없다는 말도 들었구요 ^^

  • 23. Arch
    '13.7.9 3:42 PM (211.217.xxx.242)

    윗님 말씀에 동감.
    독일어하는 사람 대부분 영어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0221 중3 국어 공부에 대한 조언 좀... 고민.. 2013/07/31 848
280220 도깨비방망이 샀는데요..이거 어떻게 써요ㅠ 3 뽕남매맘 2013/07/31 2,384
280219 커피 아줌마'와 '불륜 산악회'를 아시나요 25 호박덩쿨 2013/07/31 21,127
280218 엄마가 등이 좀 굽으셨는데 교정 안될까요? 6 60대중반 2013/07/31 1,544
280217 17일 유럽배낭여행시 사용할 배낭 추천해주세요(60 L) 5 코인 락커에.. 2013/07/31 1,297
280216 불성실하고 끈기 없는 성격 원인이뭘까요 8 dd 2013/07/31 4,410
280215 세입자가 내용증명을 보낸다는데요 9 집주인 2013/07/31 4,323
280214 최근에 갯벌 체험 해보신 분~~~~ 2 제부도 2013/07/31 1,507
280213 멀버리 베이스워터 핑크색 어떨까요? 1 sdg 2013/07/31 1,470
280212 외국서 와서 한국사 전혀 모르는 아이 인강이든 뭐든 추천 좀... 5 뿌끄 2013/07/31 1,233
280211 내일 해운대 해수욕장으로 갑니다.맛집, 볼거리 추천 부탁드려요 4 많이 기다렸.. 2013/07/31 1,862
280210 재산세 내세요 ~~^^ 4 ㅁㅁ 2013/07/31 1,724
280209 朴 후보시절 ‘NLL 발언’ 모아보니 ‘이미 알았네’ 국정원 댓글.. 2013/07/31 1,014
280208 체격작은 딸아이 옷사줄수가없네요 8 엄마 2013/07/31 1,268
280207 곰팡이핀 창문 실리콘제거하고 새로 바를려고 하는데 조언좀 .. 1 ..... 2013/07/31 3,443
280206 크록스 에이에스 되나요? 아이신발 뒷끈 분실했는데,,, 4 수박나무 2013/07/31 2,275
280205 청소년 봉사활동요 5 중학생 2013/07/31 1,305
280204 7월 31일 [신동호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3/07/31 814
280203 정청래 “증인채택 거부시 중대결심, 촛불 들 수밖에 2 ㅍㅍ 2013/07/31 1,087
280202 귀태 표현’ 강상중 교수, 일본 종합대 총장 발탁 ㅁㄴ 2013/07/31 1,285
280201 이혼하자는 남편 114 .... 2013/07/31 20,915
280200 새어머니도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수 있나요? 알려주세요 2013/07/31 1,275
280199 언제쯤 혼자키우는게 수월해질까요? 3 힘들다 2013/07/31 858
280198 강아지 키우시는 분들 집안 분위기 어떠세요? 10 바람 2013/07/31 1,908
280197 쎄스코 말고 저렴한 해충방역업체들도 효과 좋던가요?? 1 쎄스코 2013/07/31 9,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