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영어공부는 너무 이른 때도 없지만 왕도도 없습니다.

singlist 조회수 : 2,143
작성일 : 2013-01-19 09:16:02

아래 영작에 관한 팁이라 해서 글 올렸던 사람인데요,

요새 유아 영어 교육에 대한 격론이 한참 진행 중이군요.

빨리 하는 게 좋다, 늦게 해도 상관없다..

제 2 cents를 던져 넣어보자면..

왜 빨리 영어 공부 시킬 수 있는데 하지 않냐입니다.

영어는 언어이기 때문에 배우는 데로 흡수가 되는 거라 어린 나이 때부터 하는 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영어 때문에 한국어도 버벅대는 바보로 만들지는 말아야죠.

어차피 어린 나이에 열심히 영어 공부시킨다고 해도 2-30대 대학생이나 professional이 되었을 때 접하는 방대한 양의 전문적인 지식을 흡수할 수 있는 것도 아닌데 괜히 한국어를 희생해가면서 공부시켜봐야 콘텐츠 없이 발음만 느끼한 바보로 만들기 쉽상입니다. 한국어 잘하는 아이가 영어도 잘합니다.

영어공부도 '적당히' 시켜야죠.

그리고 하기 싫은 애 억지로 붙잡아 시키는 짓도 하지 말아야죠.

우리애가 영어에 재미를 못 느낀다 싶으면 안 시키는 게 상책입니다. 모두가 영어를 잘해야 한다는 건 억지스러운 전체주의적인 사고입니다. 그리고 한국어

대신 영어를 잘 못하는 만큼 다룬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질 수 있게 도와주세요.

아무리 우리나라가 영미권에 사상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이 의존하고 있다 해도 못한다고 못 먹고 살 정도는 아닙니다. 성공의 기회도 많고요. 영어에 대한 집착은 그 자체로서 하나의 집착입니다. 영어잘하는 사람이 더 아는 게 많다는 건 미디어가 만들어낸 일종의 착시 현상이기도 하죠.

하지만 아무리 영어 잘 해봐야 콘텐츠 좋은 사람 못 이깁니다.

물론 둘다 잘하면 금상첨화겠죠. 이런 사람들이 대체로 성공합니다. 그런데 그렇게 애 키우려면 애 잡습니다. 하나만 잘하게 하는 건 어떻게 해보겠는데, 둘다 잘하게 하면 애 빗나갈 겁니다, 아마.

본인이 원해서, 필요하다 느껴서, 영어든 기술이든 더 공부하고 싶게끔 만들어야죠.

그러기 위해선 차라리 돈 부어 영어 가르치는 것보다 아이가 그런 열정을 가질 수 있도록 인성을 키워주고, 부지런할 수 있는 기율있는 교육을 시켜야죠.

공부에는 왕도가 없습니다.

왕도는 자신이 만들어가는 거죠.

고등학교 영어선생님의 길 또한 자신의 길입니다. 그게 적용되는 사람이 있고 안 되는 사람이 있을 겁니다.

그런데 공부 잘하는 사람의 공통 특징은 자신만의 공부법을 연구하고 개발하고 끊임없이 수정해 나간다는 겁니다. 전략적으로 사는 거죠.

아이가 스스로 전략을 짜서 영어를 공부할 수 있게 해주고 엄마 아빠는 옆에서 당근과 채찍을 가끔 활용하는 정도가 가장 좋지 않을는지요.

영어도 너무 과하게 어린 나이부터 애한테 맞지 않게 시키면 역효과만 납니다. 영어는 조금 하는데 한국어도 버벅대는 아이는 영어도 사실 깊게 이해하지 못할 뿐더러 콘텐츠도 흡수할 능력이 모자라서 이도저도 아닌 아이가 될 수 있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공부 방식이야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지 않나요. 자기한테 맞기만 하고 꾸준히 할 수만 있으면..

IP : 115.137.xxx.8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19 9:40 AM (119.202.xxx.99)

    영어 중딩부터 해도 잘할 수 있다. - 맞는말
    근데 그 사람이 유아때부터 했으면 훨씬 더~~~잘 했을거다. 그리고 힘 덜 들이고 쉽게 했을거다. - 맞는말

  • 2. 공부라는게
    '13.1.19 10:06 AM (211.234.xxx.128)

    어느정도 지식이 차올라있으면 그때부턴 가속도가 붙는거라서 초3이후에 급속히 빨리 습득되는건 맞는것 같아요.그이전엔 즐겁게 배워야 하는데 울나라 그게 안되니 문제인거고 돈이 많이 들어 문제인거지 빨리 시작하는 자체가 안좋은건 아닌듯..모국어습득에 영향을 미치는건 논외로 하고요...

  • 3. 미루82
    '13.1.19 10:26 AM (112.153.xxx.97)

    적용되는 사람이 있고, 안돼는 사람이 있다. 동감입니다. 아이들이 다 내 바램처럼 움직여 주는건 아니니까요 .

  • 4. 맞아요
    '13.1.19 10:26 AM (110.1.xxx.228)

    빨리 시작하는게 문제가 아닌거 같아요,,문제는 빨리 시작하는데 어.떻.게 시작하고 같이 나아가느냐가 문제인거 같아요,,억지로 끌고 가느냐,,재미있게 함께 가느냐,,

  • 5. ..
    '13.1.19 10:44 AM (110.14.xxx.164)

    그러게요
    똑같이 가르쳐도 받아들이는 아이에 따라 많이 다른거 보면 답이 없어요
    근데 저도 15년간 가르친 우리 아이 보면..
    조금씩 유치원 무렵부터 익숙하게 해줄 필요는 있어요
    초등만 되도 아이가 쑥스러워서 표현력도 줄고 ...
    본격적인 공부는 초등 고학년에 시작하더라고요

  • 6. 정말 답은 없는것 같습니다
    '13.1.19 10:59 AM (58.231.xxx.80)

    저희 시어머니가 그러더라구요 tv에 나왔는데
    산골에 할머니랑 단둘 사는 여자아이가 라디오만 듣고 영어 다 알아 듣고 유창하게 말도하더라고
    너희들도 학원 보내지 말고 미국 라디오 방송틀어 주라고
    산골에 사는 여자아이가 라디오만으로 영어 성공했다고 니들도 라디오만 들으면
    성공한다고 강조해서 좀 답답했어요

  • 7. singlist
    '13.1.19 12:58 PM (116.127.xxx.114)

    크레이그리스트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사이트네요.

    네 밑에 분 말씀하신대로 피나게 공부하지 않으면 영어 아무리 일찍 깨우친다 해도 소용없습니다. 겉멋만 들고 자만하게 되죠.

    애기 때 배웠든 나이 먹어서 배웠든 머리 싸매고 공부해야 영어도 잘합니다.

    미국애들도 중고등학교 대 공부열심히 안 한 애들 글쓰는 거 보거나 어휘력 보면 정말 웃음도 안 나옵니다.

    결국 아이들의 initiative가 중요하죠. 시킨다고 다 되는 거 아닙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7526 요즘 비과세 정기 예탁금 이자 가장 높은 은행이 어디인가요? 3 .... 2013/02/05 2,095
217525 어제 엄마와 7번방의 선물을 봤어요. 6 2013/02/05 2,145
217524 카스댓글 좀 봐주세요(남편 보여줄거에요) 48 무념 2013/02/05 11,034
217523 초등학생 스마트폰 구입 3 초등용 2013/02/05 1,033
217522 엑셀 질문 드려도 될까요 3 .. 2013/02/05 993
217521 임신 테스트기 사용하는 시기가요.. 8 2013/02/05 16,308
217520 els상품 어떠한가요? 1 ㄷels 2013/02/05 1,774
217519 밤12 시까지 윗집 수업소리 9 소음 2013/02/05 2,680
217518 치매에 관심있는 사람 모여 봐요! 8 궁금타!! 2013/02/05 3,349
217517 국정원 관권선거 드러나 박근혜 당선은 무효 8 뉴스클리핑 2013/02/05 1,556
217516 네이트 왜 이렇게 됐죠? 2 촌철 2013/02/05 1,390
217515 큰애를 참기힘들어요 8 ㅇㅂ 2013/02/05 1,868
217514 시트콤(?) 같은 ..시어머니와의 갑작스런 점심 식사 3 인생은..... 2013/02/05 3,421
217513 요즘 제일 귀찮은일은 미용실 가기... 8 ... 2013/02/05 2,712
217512 박원순 "정책 지속성 위해 시장 재출마" 17 .. 2013/02/05 1,693
217511 진짜 명절에 가기 싫네요 4 누나 2013/02/05 1,558
217510 오늘따라 추레한 제 모습이 우울해요. 11 추레 2013/02/05 3,416
217509 또 눈이 오네요 11 눈이 싫다 2013/02/05 1,767
217508 300만원 빌리기... 어떻게 하는게 젤 나을까요? 16 너무 고민이.. 2013/02/05 4,245
217507 댓글달아주는분요 ㅋ 1 .. 2013/02/05 559
217506 천만원 어떻게 할까요? 4 은행 2013/02/05 2,298
217505 혹시 <그라치아>라는 잡지에 관심 있으.. 12 진쓰맘 2013/02/05 1,413
217504 머리숱이 이렇게 중요한지 몰랐네요 3 관리 2013/02/05 2,833
217503 물건배송받고 계좌이체해준다니까 확인하고 간다고 안가네요 24 나무 2013/02/05 3,271
217502 말끝마다 꼭 토다는 직장 상사분 1 왜그럴까 2013/02/05 1,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