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희 부부 돈관리법..어떤가요? 개선여지 있나요?

커피한잔 조회수 : 1,396
작성일 : 2012-12-27 13:19:52

저희 부부는 맞벌이구요..애는 아직 없어요..결혼한지 1년됐고요..

 

지금 돈관리하는 방법은 그냥 하다보니 이렇게 자연스럽게 굳어진거에요

제 월급이랑 남편월급은 연봉으로 따지면 같은데..단지 저는 성과급 나오는 달이 일년에 4번이라서..월급이 좀 들쭉날쭉하고 남편은 고정적이에요

 

일단 제 월급의 50%는 제명의로 저금하고요

남편 월급 50%는 남편명의로 저금하고요

결혼전부터 하던 저금이라서 그냥 쭉 하게되었네요

만기가 지났는데 그냥 서로 한사람한테 몰거나 하지않고 계속 각자 재예치 중이고요 ㅎㅎ

 

그리고 남편 월급 나머지 반 중 본인 용돈과 핸드폰비 등을 내고 나머지를 생활비조로 저한테 주는데

그 금액은 매월 유동적이에요

많을때는 남편월급의 30% 정도,,적을땐 0%였던 적도 있어요..남편이 뭔가 큰 거 사느라..

대신 출장비가 많이 들어왔다거나 하는 정기적이지 않은 소득이 생기면 저한테 다 보내줘요(물론 확인은 안해보고 그냥 믿음) 그리고 그돈은 그냥 거의 그대로 저금...

 

제 월급의 50%와 남편이 생활비조로 준 돈으로 생활비+제 용돈+각 집안에 드리기도 하고+ 비상금조, 여행자금 마련 등으로 저금도 조금씩 하고

그렇게 1년간 살았네요

 

처음엔 결혼하면 제가 완전히 남편월급통장 현금 흐름을 쫙 꿰고 관리를 하려고 했는데!!! 그러진 못하고 있어요

일단 남편 인증서가 저한테 있긴 하지만..남편 거를 딱 한번 들어가보고 그후론 그냥 주는대로 받아요

제가 좀더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할까요?

그래야 돈이 더 물샐틈 없게 되려나요?

 

남편이 용돈을 허투루 쓰는 스타일은 아니에요..감정적 소비는 없는 스타일...

저는 약간 감정이 업되거나 할 경우 소심하지만 만원 이만원 저를 위해 쓰기도 하고

너무 불쌍하거나 할 경우 불우이웃돕기성금도 턱 질러버리는 스타일.. 

돈관리에는 남편이 사실 더 적임자일 수도 있지만

또 남편은,,안쓰고 모으기 하나는 잘하는데 예금 금리 비교나 관리비 할인 카드 이런거 이용할 줄은 몰라요..

 

조언 좀 주세용..^^
IP : 211.181.xxx.31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27 2:02 PM (115.178.xxx.253)

    결과만 놓고보면 남편이나 원글님 모두 저축이 50% 이상이고 과외로 생긴 돈은 모두 저축하시니 나쁘진
    않습니다.
    그렇지만 이제 전체소득을 놓고 계획성있게 쓰셔야 합니다.

    우선 주택마련, 자녀양육, 노후준비 이런 식으로 큰 목적을 두고 각각 어떻게 대응할지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특히 노후준비는 기간이 매우 중요하니까 하루라도 (복리효과)
    빨리 시작해야 합니다.

    10년통장 이라는 책을 읽어보세요. (저 이책관 관련없어요. 저도 독자)
    보통 재테크에 관심이 없는데 관심을 두셔야 합니다. 저처럼 너무 늦지 마시고..

  • 2. 커피한잔
    '12.12.27 2:11 PM (211.181.xxx.31)

    아..댓글 감사합니다..무대뽀로 저축만 하고있는데 목적에 대응방안을 마련해야하는군요...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8577 꼭 사진도 찍어애 할까요. 유방초음파만 보면? 1 유방암 2013/01/14 1,190
208576 저도 남자랑 달달하게 데이트한지 오래됐네요.. 3 . 2013/01/14 1,289
208575 거실 테이블에 발 올리시나요? 18 용도 2013/01/14 2,970
208574 거제여행 3 매한향원 2013/01/14 851
208573 90년대초 파일럿 드라마 1 드라마 2013/01/14 721
208572 드럼세탁기, 이불 꽉차게 들어가도 세탁되나요? 13 .... 2013/01/14 18,562
208571 백화점에서 산 옷 택이 뜯어지면.. 3 ........ 2013/01/14 905
208570 레미제라블 전 별로였는데요... 34 2013/01/14 3,497
208569 기가 센 아이를 어떻게 훈육하면 좋을까요? 2 기센 사람 2013/01/14 1,928
208568 6cm굽 정도 되는 구두는 찾을래야 찾을수가 없네요 10 ㅠㅠ 2013/01/14 1,907
208567 택배기사의 24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은? 1 우리는 2013/01/14 1,448
208566 만화 얘기가 나온김에 저도 만화 제목좀 알려주세요 3 제목 궁금 2013/01/14 960
208565 확실히 남자는 코가 높고,잘빠져야되요.. 8 ,, 2013/01/14 21,692
208564 해외에서 세금환급 받지 않고 산 물건들도 국내 반입시 관세 내나.. 7 모범시민 2013/01/14 1,385
208563 상위권대 들어가는 아이들....필요한 스펙이 과연 뭘까요?(댓글.. 7 ... 2013/01/14 1,930
208562 엑셀 고수님들 이것좀 알려 주시면 안될까요 1 ??? 2013/01/14 827
208561 만만하게 보이는 이유??? 가 있을까요? 7 왕따? 2013/01/14 3,241
208560 5세 아이 가진 어머님들께 질문있어요~ 22 궁금해요. 2013/01/14 1,878
208559 인구가 줄어든다고 살만해지지는 않습니다. 3 2013/01/14 1,195
208558 쿠폰에있는비데문의 코스트코 2013/01/14 699
208557 초보운전자 중에 휠아이 써보신 분 계신가요? 2 질문요 2013/01/14 4,673
208556 호텔에서 매출증대팀? 매출증진팀? 어떤일 하는 건가요? .. 2013/01/14 512
208555 양송이 스프 캔이 너무 많아요 ㅠㅠ 6 요리고수님들.. 2013/01/14 3,946
208554 문화부 수백억 국고보조금 관리 '수수방관' 세우실 2013/01/14 400
208553 옥수수습격을다시보기하는데요. 3 2013/01/14 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