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부모 밑 형제들을 보시면 답나오죠.

가난의 고찰 조회수 : 2,715
작성일 : 2012-12-24 20:10:55

베스트 글로 도움이 되신다는 분들과 심기가 불편하시다는 분들 나오는데

저는 둘다 이해는 갑니다.

단지 서로 가난과 부자의 기준을 어디에 갖다 놓는가...여기서 부터 얘기 자체가 달라지는데

구조적인 가난, 사회적 가난(즉, 빈곤한 지역, 빈곤한 국가..)등을 제외 하고 그 글의 원글님이 가난한 사람들의 특징을 묘사해달라고 하니 댓글들은 자기의 경험이나 주변에서 겪은 자기기준에서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여러가지 묘사들이 나온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원글님이 부자인데 자기가 볼때 가난한사람들은 이렇더라...하면  답글들도 그렇게 안달리고

그냥 얘 뭐래니..하고.

조용히 넘어갔을 것 같기도 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사회적인, 외부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같은 조건에서

가난해지는 사람과 덜 가난해지는 사람,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 좀더 가난을 벗어나는 사람, 가난에서 아주 멀리 벗어나 부를 축적하기 시작하는 사람, 아주 부자가 되는 사람.

이사람들에게 분명히 통계학적인 특징들은 있고 그 공통점을 찾고 싶은게 그 원글님이 글을 올린 이유가 아닐까 싶네요.

같은 부모밑에서 같은 환경, 같은 교육을 받았다고 가정할때 그 자식들이

같은 용돈을 받으면서 그돈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혹은 용돈 전혀 없는 집이라도 아이에 따라  아르바이트를 해서 집을 돕는 아이도 있고,  아르바이트는 하지만 자기만을 위해 쓰는 아이, 아르바이트는 안하고 그냥 없는대로 사는 아이, 아르바이트도 안하고 오히려 다른 형제한테 용돈을 타 가는 아이도 있고.,,,, 사람마다 분명히 돈에 대한 습관이나 개념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그들이 나중에 성인이 되어 어떻게 생활하고  어떤 직업을 선택하고, 어떤 배우자를 만나 어떻게 사는지 그걸 관찰하면 답은 나오지 않을까요.

한부모 밑에서 자라도 고등학교 지나  대학갈때 자기 돈으로 등록금 마련하는 놈도 있고  등록금은 커녕 사업한다고 혹은 다단계에 빠지거나 , 카드빚 등등 여기 저기 빚내서 부모 등꼴 빼는 자식도 나오는 법이죠. 혼자 사고치는 것으로도 모자라 부모, 형제의 재산도 날리는 경우 많고요.

하지만 그 개개인의 특징들도 결국 사회의 구조가 사회의 안전망이 얼마나 잘 되어있냐에 따라 크게 삶의 질을 좌우합니다.특히 서민들에게 더욱 더 그렇죠.

즉, 빈곤층으로 분류되는 계층과 바로 그 위의 차상위 계층, 그리고 서민 . 이 세개의 계층은 언제든지 서로 뒤 바뀌거나 ,

경제적 기준이 하향화된  커다란 한 카테고리가 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예를 들어  지방에서  공장을 다니는 맞벌이 부부가 단칸방에서 키운 쌍둥이 딸둘이 있는데 부모님이 공무원이 되라고 고등학교까지 열심히 뒷바라지를 했다고 칩시다.

딸 A는 아무도 공무원을 하고 싶어하지 않을때(예전에는 공무원 지금처럼 인기직종 아니었죠)  지방 공무원을 해서 안정적이고 걱정없는 노후를 선택하고 같은 직장에서 남편을 만나 평생 공무원부부로  아이 둘을 낳고 큰 욕심 없이 지방에서  안정적이고 서민적인 삶을 살고 소소하게 저축하며 살고 있고

다른 딸 B는 공무원은 싫다고  무리를 해서  학자금론을 얻어 서울에 있는 대학을 가고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대학을 나왔는데 대기업에 취직을 했고  대기업에서 받은 월급으로 학자금 론 갚고 결혼자금  악착같이 모아, 비슷한 배경의 남편과 결혼해서 처음엔 잘 사는듯 보였으나 아이 둘을 낳아 회사를 다니기 어려워 전업으로 아이들을 키우던중 남편의 회사가 파산하거나  명퇴로 나오거나 해서   그간 모은 돈으로  치킨집차렸다 돈 다 날리고, 집 날리고 신용불량자가 되었고, 빚은 남아아있고  반지하 월세방에 살게 되었고  아내는 학습지 교사일/마트 일을 하고 남편은 택배일을 한다면  하루 12시간 일을 해도 서울에서 아이들 키우는데 삶이 팍팍하겠죠.

그 와중에 공장일을 하시던 부모님이 아프신데, 일을  더이상 할 수 없으시고 연금도 들어 놓지 않아 생활비가  해결이 안되는 상태고  지속적으로 병원비를 대야 하는 입장이라면 ( 이경우 일정기준이상의 소득이 있는 자식들이 있기 때문에 기초수급자 선정이 안됩니다.)

딸 A도 딸 B도 모두 돈을 내야 하지만 둘다 여유는 없을겁니다.

하지만 평소에 저축을 어떻게 해왔는지, 부모님의 노후에 대한 대책을 세웠는지 돈이 필요한 순간에는 그 둘은  큰 차이를 보이겠죠.

현찰 10억을 가진 사람에게는 저 집의 부모나 딸 A.B 가정 모두 10억현찰을 가진 사람보다는 가난한 사람이겠지만

빚이 있는 딸 B가 빚이 없는 딸 A 보다는 가난한 거겠죠.

그렇다고 딸 A가 혼자 부모님을 책임질 여유는 없겠죠. 자기가 부담할 수 있는 최대비용을 대 봤자 부모님의 필요를 다 지불할 수는 없을테니까요. 그런데 시댁도 비슷한 상황이라면 더더욱 경제적 궁핍은  깊어집니다.

현실적으로 지방에 가까이 부모님과 사는 딸 A 가 더 많은 시간과 돈을 부모님에게 소비하는 쪽으로 대게는 흘러가죠.

그러다 보면 작게 모아두었던 저축도 병원비로 야금 야금 쓰게 되고 지금까지의 안정적인 서민의 삶도 겨우겨우 한달을 넘기고  또 다음 한 달로 넘기는 수준으로 가는 거죠.

만일 정부가 부모의 최소생활비와 병원비와 주거비를 해결해 준다면 딸 A는 지금처럼 안정적인 서민의 삶을 살 수 있겠지만 외부의 도움이 없다면 부모의 삶은 가장 낮은 빈곤수준으로 딸 A 에게 전적으로 의지 할 수 밖에 없고 딸 A는 친정과 시댁의 양가를 경제적으로 지원해야하는 입장으로  더이상 안정적이지 않은 경제 상황을 맞을 수 있죠. 즉 빚은 없지만 저축을 할 수도 없는 상태.--이는 다시 딸 A 의 아이들에게 반복적으로 나타 납니다. 물론 그 아이들이 자랐을때 딸 A 부모는 연금이 나오니 지금과는 다른 상태이겠지만  열심히 벌고 늘 일함에도 아이들에게 더나은 교육을 시켜줄 여유는 없는것이죠.

딸 B 는 본인이 원하는 삶을 선택해서 열심히 살았지만  사회적으로 몰아닥친 경제 위기 앞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었고 일부러 그런게 아니기 때문에  부모의 병원비도 한푼 내지 못하는 지금의 가난의 잘못이 전적으로 딸 B 에게 있다고만 할 수는 없죠.

이런 삶을 살고 있는 딸 A,B 사이가 좋을 수만은 없죠.

그리고 자식에게 생활비와 노후를 온전히 도움받는 부모의 입장이 당연하다는듯, 더 내놓으라는 태도라면,

내가 여태 껏 고생했으니 너희들한테 받는 도움은 당연하다면서 자식들이 어렵게 보낸 돈으로 자식들과 손주들은 구경도 못하는 비싼 음식을 사먹거나, 좋은 옷을 입고 또 다시 돈없다고 내놓아라고 한다면  자식들은 심기 마저 불편하고 마음이 독해지고 우울하기만 하겠죠.

반면 부모가 자식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면서 아껴서 산다면 자식입장에서야 더 못해드려 미안한 마음도 들것이고요.

하지만 자식들은 자신들의 아이들에게 이 가난을 벗어나게 하기 위해 더 좋은 학교, 더 좋은 직업, 더 좋은 배우자를 만나도록 가르칠것이고 그것을 위해 또 빚을 지게 됩니다. 아이를 위해 노후를 포기하고 올인하는 부모가 되어 다시 자식에게 노후를 기대야 하는 현실이 돌아오는 것이죠.

결국은 가난은 순환하는 것입니다.

예전에는 혼자 벌어 열심히 살아도 어느 정도 가난을 벗어나는 체감속도가 빨랐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열심히 일해도 가난한 사람들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대부분은 가족이라는 끈이 더더욱 가난을 지독하게 만들고요.

독하게 자기 가족 외면하고 혼자만 잘 살겠다고 몸부림 쳐도 큰 부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빚을 지지 않을 정도지요.

한정된 자원,땅, 재화를 많은 인구가 공평히 나눈다는 것은 영원히 인류의 이상이겠지만

정부의 개입이 없고, 부자의 자발적인 희생이 없다면  대다수의 가난한 사람들은 열심히 일해도 가난한 사람들은 언제나 가난할 수 밖에 없습니다.

비난 받아야 할 가난한 자들은 열심히 일하지도 않는 가난한 자들일지 모르나

가난한 자들이 모두 비난을 받기엔,

현재 자본주의를 너머 신자본주의라는 경제체제는  너무 혹독하고 교묘한 가면을 가진 제도입니다.

IP : 125.152.xxx.197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2.12.24 8:59 PM (203.226.xxx.34)

    끄덕끄덕..공감 가는 글이네요. 개인의 게으름 그런 것을 넘어 서는 문제죠.

  • 2. 바람
    '12.12.24 9:04 PM (175.213.xxx.204)

    공감이 가면서도 참.. 슬픈 글입니다.
    특히나.. 가진것 없이 애들 많은 집은 어떨까.. 생각하면 더 그렇네요.
    결국 가난하면 아이도 마음대로 가질 수 없는 게 당연한 세상..
    슬픕니다.

  • 3. 하늘바다
    '12.12.25 3:32 AM (116.123.xxx.4)

    많은 분들이 이 글을 읽었으면 좋겠어요
    이 시점에서 우리들에게 필요한 내용인 것 같습니다
    요점은 개인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경우..
    저도 아는 게 별로 없어서 확실하게 짚을 수는 없지만
    개인의 노력으로 안되는 것은 국가가 도와야 하는 게 아닌가 싶어서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8427 이동흡 헌재 소장 후보자 법원장 때 ‘삼성 협찬’ 지시 1 주붕 2013/01/14 719
208426 아이들 책상 어디꺼 사야할까요~? 4 공부좀하자 2013/01/14 1,302
208425 제몸의 무슨 신호인지... 증세여쭙니다 6 그래도맑음 2013/01/14 1,780
208424 jmw드라이기 젤 싼 걸로 사도 괜찮을까요?? 8 드라이기 2013/01/14 4,302
208423 문재인의 공약중 최저임금 50%인상안 말예요 6 새시대 2013/01/14 937
208422 문화부 수백억 국고보조금 문화원연합회 경리직원 6억 횡령 참맛 2013/01/14 629
208421 대구에서 불면증 치료 잘하는 한의원 있을까요? 3 푸른연 2013/01/14 3,060
208420 애견미용비가 이렇게 올랐나요. 38500원. 12 토욜미용 2013/01/14 2,631
208419 전기 민영화로 전기요금 올라간다면.. 12 .. 2013/01/14 1,896
208418 중요한 시험 앞두고 극도의 스트레스 받는 딸 어느 병원가야 할깡.. 5 엄마의마음 2013/01/14 1,168
208417 무조건 살빼기 2 크하하 2013/01/14 1,664
208416 설연휴 다음주( 종업식 하는 주)체험학습 신청 가능한가요? ........ 2013/01/14 724
208415 광장시장 녹두전처럼 맛난 전 분당에 안팔까요? 5 너무멀어요 2013/01/14 1,777
208414 대전에서 신경치료 꼼꼼하게 잘하는 치과 추천 부탁드려요. 5 12345 2013/01/14 2,372
208413 아침에 일어나니 눈꼽이 잔뜩....ㅠㅠ 3 엘엘 2013/01/14 1,738
208412 현관문 사이드쪽 곰팡이 해결해보신분? 1 ... 2013/01/14 820
208411 영어전집 추천해주세요~ 2 8세 남아 2013/01/14 846
208410 국민은행 말하는 적금 1 ,,, 2013/01/14 1,250
208409 한동안 안그랬는데.. 이번기회에 엄마는 내가 만만하구나 느꼈어요.. 4 만만한게나지.. 2013/01/14 2,174
208408 도시락은 어느 메이커(?) 맛있나요? 7 한솥이 대세.. 2013/01/14 1,515
208407 남편과 살빼기 내기했습니다... 14 ^^ 2013/01/14 2,033
208406 비립종이 저절로 터지기도 하나요? 3 화초엄니 2013/01/14 4,003
208405 1월 14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세우실 2013/01/14 463
208404 감기가 단단히 들었는데 갈비뼈있는데가 너무아파요 8 갈비뼈 2013/01/14 3,642
208403 고(故) 조성민 자필 유서 발견, 아이들에게 남긴 글... 4 오늘도웃는다.. 2013/01/14 7,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