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느끼는" 능력은 어떻게 키우나요?

쌘두 조회수 : 2,398
작성일 : 2012-12-07 00:33:54
저는 뭘 진심으로 "느껴서" 해본 적이 없고 매뉴얼을 따라 사는 것 같아요.

어릴 때부터 경직된 성격이었는데 성격을 유연하게 만들 계기가 부족했어요.

거기서 발생했던 인간관계 문제와 그 후폭풍이 극복이 안 되다보니
생각하는 에너지를 늘 "나는 왜 이럴까"에 초점을 맞추고 살아왔던 거 같아요.

그러다 보니 외부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 없어요.

지금까지 "세상"에서 "사람"으로 살지 않고
"학교"에서 "학생"으로 살았어요.
심지어 대학 공부도 주어지는 것만 잘 이해하고 암기하고 점수 따고 끝이었어요.

점수 따기 효율적인 사고방식이 자리잡다보니
모든 걸 분절적으로 생각하고 맥락을 읽을 줄을 몰라요.

이런 능력 부족+인간관계 능력 부족이 겹쳐서
지금까지의 인생에 대한 후회가 정말 너무너무 큰데...
앞으로라도 "느끼면서" 잘 살고 싶거든요.

그러기 위해서는 맥락을 읽어낼 줄 알아야 하는 것 같아요.
세상사 모든 것이 맥락을 읽어내고 이해를 해야 재미도 있고 대처도 할 수 있는 것 같아서요.

인간관계부터 자연스럽게 맺으면서 배울 수 있으면 참 좋겠는데
마음의 벽이 높은 사람이다 보니 그게 힘드네요.

그래서 다른 외부적인 일들을 보면서 맥락 읽기 훈련?을 하고 싶은데요.
근데 그 방법을 잘 모르겠어요.
수동적으로 사교육을 받다보니 암기력이나 학점은 좋은데 ㅡㅡ 그게 끝이에요.

예를 들면 그나마 나꼼수를 계기로 시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었는데...
내용에 실제로 분개하기보다는 재미에 치중해서 들었던 것 같아요.

세상일에 일부러라도 관심을 가지다보면 "느끼는" 능력도 점차 생기겠지, 하고
신문 뉴스를 봐도 단편적인 정보로만 입력이 되고 맥락을 읽어내는 법을 모르겠어요.

인생 선배님들 조언을 부탁드려요.
IP : 115.137.xxx.109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7 12:38 AM (182.219.xxx.30)

    고전을 많이 읽어보셨나요?
    레미제라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오만과 편견, 두 도시 이야기등... 홍루몽도 있네요

  • 2. ㄱㅁ
    '12.12.7 12:42 AM (180.182.xxx.140)

    먼저 자신을 오픈해야죠.
    풀어헤쳐작업을 하셔야해요
    그걸로 손해를 보더라도..난 손해를 보더라도 풀어헤쳐작업을 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과정없이 뭘 얻는건 없죠.
    지금까지 살아온 방식을 바꾸긴 쉽지 않겠지만요..

    전 나를 완전히 다 오픈해버립니다.
    판단은 니들이 알아서..이런마인드.
    넘 많이 느끼는 편이라..뭐이것도 고달프긴한데..
    저도 원글님과 반대로 독특한 캐릭이긴해요.

  • 3. 살다보면..
    '12.12.7 12:56 AM (223.62.xxx.139)

    감정이요 감정... 사랑 해보셨어요?

  • 4. ....
    '12.12.7 1:01 AM (182.219.xxx.30)

    영화도 좋네요...더 쉬울 수 있겠네요

  • 5. ...
    '12.12.7 2:03 AM (61.78.xxx.33)

    2000년 이후 나온 '킹콩'영화를 보면요. 석양을 보면서 킹콩이 먹먹한 표정으로 답답한 듯 가슴을 쾅쾅 쳐요. 여주인공이 그 표정에 눈치채고 그건 아름답다라는 감정이라고 말해줘요.
    첫사랑이 사랑인 줄 모르고 지나친 사람처럼 그 감정을 몰라서 없다고 오해할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예습해 가면 학교수업이 쉬운 것처럼 만화, 소설, 영화로 간접경험을 쌓으면, 나중에 약하게라도 그런 감정이 일어날 때 이게 거기서 말하던 그거구나 알기 쉽지 않을까요?
    아, 그리고 보통은 상대의 이야기에 자신의 경우를 대입해 보면서 나라도 그랬겠구나, 나같으면 안그런다 등등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개인적이고 이성적인 성격이라 상대의 이야기를 팩트, 줄거리로만 보고 감정선은 읽지않아서 그러실 수도 있을 것 같아요.

  • 6. 도보여행
    '12.12.7 2:07 AM (61.79.xxx.225)

    도보여행 추천

  • 7. 쌘두
    '12.12.7 2:24 AM (115.137.xxx.109)

    댓글 감사합니다.
    당장 할 수 있는 것들부터 해봐야겠어요 :)

  • 8. 일기를 쓰세요
    '12.12.7 7:09 AM (211.234.xxx.78)

    내가 무얼 느꼈는지를 생각하며 말로 표현하는것을 연습해야하는데 상담받을거 아니라면 일기가 가장 효과적이에요.예전에 있었던일에 대해서도 사건을기술하고 그때 내느낌을 적어보고 무슨말을 더하고싶었는지 써보세요..

  • 9. 동일시
    '12.12.7 9:11 AM (116.37.xxx.141)

    위에 ... 님 말씀대로.

    제가 좀 많이 감상적이고. 남의 일도 매일처럼 그래요
    어느날 깨달았어요
    저는 그 상황이 눈앞에 영화처럼 장면으로 그려져요. 그 주인공이 저가 되구요
    노래도 그래요. 그 가사대로 한편의 영화가 시작되요. 주인공이 저구요
    그래서 그런지 누가 주변의 좀 않된 얘기를 하면 듣다가 눈물나고, 제가 전해주다가도 눈물나고.
    감동적이고 아름다운 얘기도 그래요. 이렇게되면 다른 사람 얘기인데도 제가 막 가슴 찡하고 행복하고 .
    그 사람의 마음이 느껴져서 그런가봐요
    책을 읽어도 이렇게 되던데요

    좀 다른 얘기지만, 전 나쁜 사람이 별로 없더라구요
    누구 험담을 들으면 , 사정이 있겠지.....오죽하면.....뭐 그런 맘이 먼저 들더라구요

    남편과 얘기하다 알았어요 전 모두 그렇긴한데 줄 알았는데. 아니더라구요
    전 좀 심하구요.
    님도 이런식으로 연습해보시면 어떨까요

  • 10. 조심스럽게..
    '12.12.7 11:11 AM (121.157.xxx.155)

    이런 말씀 드리기 좀 조심스러운데요.. 아스퍼거증후군이라고 들어보셨어요?
    가까운 지인 아들이 그런데요..
    인지력이 발달하고 지능도 좋고 학습적인 면에서는 매우 뛰어나요.
    그런데 사회성이 좀 떨어지고 공감능력이 떨어져요.
    다른 사람의 감정과 상황판단력이 떨어지지요. 사람마다 경중의 차이는 있겠으나, 대체적인 소견이 그래요.
    원글님이 쓰신 내용을 보니, 혹시 님이 그런 경우는 아닌가..하는 생각이 드네요.
    그게 어린아이한테만 나타나는 증세는 아니예요. 사회생활이 불가능할 정동의 장애는 아니라 모르고 커갈수도 있거든요.많은경우..한번 진지하게 생각해보고 상담받아보시면 어때요?
    그냥 혹시 해서 조심스럽게 드리는 말씀입니다. 불쾌해하지 마시길 바래요.

  • 11. 나이들어감에 따라
    '12.12.8 9:29 AM (211.58.xxx.120)

    점점 심각해지던 제 문제였어요.
    댓글님들 참고해서 저도 성찰해야 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7391 머리 길러본적 없어요. 기를까요? 자를까요. 머리 06:46:28 26
1737390 잇몸치료한데서 계속 피가 나요. 3일 후 06:37:59 80
1737389 알바 면접 비온다고 안오네요 4 개념 06:29:42 721
1737388 이런날에 골프 간 남편 3 미친다 06:28:58 704
1737387 수영강습 고비는 언제오나요 4 ... 06:17:34 300
1737386 컴공은 진짜 멸망했네요 7 ㅇㅇ 06:17:31 1,661
1737385 강선우 의원 전직 보좌관 페이스북 1 00000 06:15:23 562
1737384 민생회복 소비 쿠폰 아줌마 06:12:07 235
1737383 갤럭시 업데이트 되돌리는법 2 .. 06:04:10 460
1737382 월요일쯤 돼야 더워지나봐요 ㅇㅇ 06:03:14 348
1737381 민생 회복 신청 카드 1 보아스 05:59:30 444
1737380 네이버멤버십) 뚝심 대박쌉니다 5 ㅇㅇ 05:49:20 985
1737379 반려견들 산책때 쉬하는 것도 문제라네요 5 ..... 05:49:17 1,165
1737378 오산에서 옹벽붕괴로 사망사고가 있었네요 aa 05:18:18 932
1737377 강선우 "나 국회의원이야"…코로나 때 병원 갑.. 1 .. 05:09:48 925
1737376 옛날 가정대.가정학과 뭘로 바꼏나요? 5 ㅡㅡ 04:19:45 1,484
1737375 그러고보니, 일본지진 이야기 있지않았나요 5 ........ 04:15:13 1,454
1737374 명품과 유럽여행 얘기 이제 좀 지쳐요. 7 에너지고갈 04:10:54 1,596
1737373 나는솔로 질문 ... 03:35:04 642
1737372 좋아하는 여름노래 있으신가요? 9 덥다 03:25:32 471
1737371 연상연하 40대 중반 주말동거.. 46 하.. 03:10:16 5,060
1737370 강아지 산책시 우산 3 우산 02:49:32 613
1737369 7월 중순 기온이 이런적이 또 있긴 있었겠죠? 2 ..... 02:31:39 1,826
1737368 내란당과 기레기들 무지 당황함 8 o o 02:07:06 1,873
1737367 저는 이력서 지원하면 연락은 많이오는데요. 통화를 하면 연락이 .. 1 ..... 01:48:35 1,296